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KT, 5G 서비스 핵심기술인 NFV 국제표준항목 승인


KT가 제안한 ‘NFV 라이선스 관리’ 문서, 국제표준 항목으로 최종 승인
지난 5월부터 글로벌 통신사, 솔루션 벤더들과 표준화 작업을 진행
5G, 차세대 B2B 등 미래 네트워크 시대 위한 핵심적인 역할 기대

KT는 지난 9월 프랑스에서 열린 15차 ETSI(유럽통신표준기구)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표준 회의에서, KT가 제안했던 ‘NFV 라이선스 관리(NFV License Management)’가 국제 표준 항목으로 승인되었다고 3일 밝혔다.

NFV란 기존 네트워크 장비를 소프트웨어로 제공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기술로 효율성이 요구되는 5G 네트워크 및 B2B 서비스에 핵심 사항이다. 통신사는 새로운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으며, 고객은 필요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신속하고 유연하게 제공 받을 수 있다.
세계 최고 전기통신 국제표준기구 중 하나인 ETSI는 NFV 기술의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글로벌 통신사와 주요 ICT 벤더가 참여하여 표준화 회의를 통해 기술규격을 정의한다.
KT는 지난 5월 ETSI 14차 회의에서 단독 기고한 ‘NFV 라이센스 관리’를 기반으로 브리티시텔레콤(British Telecommunications), Verizon, 도이치텔레콤 [Deutsche Telekom] 등의 글로벌 통신 사업자 및 넷크래커(NetCracker Technology), 리프트닷아이오(RIFT.io) 등의 솔루션 벤더들과 함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해왔다. 이번 15차 ETSI 회의에서 작업 결과 발표를 통해 국제 표준 항목으로 최종 승인 됐다.

NFV 라이선스 관리’ 국제 표준 항목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장비를 생성하고 제거할 때 라이선스 정보를 중앙에서 신속하고 유연하게 설정하는 기술로, 이를 이용하면 복잡한 라이선스 관리과정이 단순화되어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를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다.
특히 KT는 ‘NFV 라이선스 관리’가 각 사업자 별로 상이한 연동 규격을 맞추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어, 5G 및 차세대 B2B 서비스 등 미래 네트워크 시대를 앞당기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 전망했다.
KT 융합기술원 이동면 원장은 “KT는 현재 NFV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기업 B2B 시장 및 무선망 가상화를 시범서비스하고 있다”며, “이번 NFV 라이선스 관리 기술 표준화를 주도함으로써, 국내 통신사를 대표하여 기업 인프라 및 5G 차세대 네트워크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보충문의: KT 홍보실 김정준 대리(02-730-0610)
 사진설명: 
KT는 지난 9월 프랑스에서 열린 15차 ETSI의 NFV 회의에서, KT가 제안했던 ‘NFV 라이선스 관리’가 국제 표준 항목으로 승인 되었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KT 직원들이 우면동 KT 융합기술원에서 NFV 라이선스 관리 기술을 이용해 가상으로 신규 장비를 추가하는 모습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딸기가 지하보도에서 자란다고?… 고양시, 스마트팜 도시 선언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도심형·농촌형 스마트팜을 병행 추진하는 농업 혁신 전략을 입체적으로 펼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지하보도에 수직형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화 온실과 스마트팜 보급 확대에도 집중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지난 2일 도심형 스마트팜 4곳을 차례로 방문해 다양한 기술 기반 농업 모델을 점검하고 스마트농업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민간 기술과 현장 경험이 결합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하고, 지하보도 스마트팜 등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시민친화공간을 조성하겠다”며 “나아가 도시계획 관점으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미래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스마트농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지하보도 딸기는 어떤 맛일까… 고양시, ‘도심형 스마트팜’ 실험 첫선 고양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하보도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민간기업 ㈜착한농부의 전액 투자(5억 원)로 238㎡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설치를 마치고 지난 15일에 딸기 모종 3,420주를 심었다. 이 스마트팜은 이용률이 줄어든 도로 시설 지하보도를 활용한 전국 첫 사례로, 적법성과 안전성 등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