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아차, 야구장서 자율주행 기술 시연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 시구차량 운행


프로야구 경기 전 이벤트로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가 시구자 태우고 등장 
일반도로 아닌 야구장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자율주행 기술 깜짝 시연 
고르지 못한 노면 등 제약 극복 위해 자기위치 인식, 경로추종 성능 등 개선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 미래 스마트카 핵심인 자율주행과 친환경기술 접목 
최고시속 120km/h 내 차선 변경, 추월, 제동 등 다양한 자율주행 가능
국내외 실도로 면허 취득, 완전자율주차 영상 유튜브 공개 등 기술력 입증
기아차의 자율주행 미래 비전을 담은 지능형 안전기술 브랜드, ‘드라이브 와이즈’ 
주행 보조/편의 제공 통해 안전을 넘어 ‘기분 좋은 운전’, ‘운전의 즐거움’ 추구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커넥티비, 친환경 등 다양한 미래 기술 확보에 주력”

기아차가 프로야구 경기 전 사전 이벤트로 펼쳐지는 시구 행사에서 쏘율 자율주행 전기차를 깜짝 등장시켜 독자 개발한 자율주행기술을 선보였다. 

기아자동차㈜는 8일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에서 열린 프로야구 KIA-NC 경기의 사전 시구 행사에서 시구자로 선정된 탤런트 이해인 씨가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를 타고 등장하는 자율주행기술을 시연했다.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는 운전자가 없는 상태로 시구자만을 태우고 야구장 외야 방면 좌측 게이트에서 출발해 3루 쪽으로 이동 후 시구자를 내려주고 홈을 거쳐 출발한 곳으로 퇴장하는 자율주행 퍼포먼스를 펼쳤다. 

이번 행사는 야구장을 찾은 관중뿐만 아니라 TV 중계를 통해 경기를 관람하는 시청자들에게 기아차의 우수한 자율주행 기술력을 선보이기 위해 마련됐다. 

시구 차량으로 깜짝 등장한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는 올해 1월 2016 CES에서 처음 공개된 국내 최초 전기차 기반의 자율주행차로, 스마트카의 핵심인 자율주행 기술과 친환경 기술을 접목한 것이 특징이다. 

▲고속도로 자율주행(HAD) ▲도심 자율주행(UAD) ▲선행차량 추종 자율주행 (PVF), ▲혼잡구간 주행지원(TJA) ▲긴급제동(ESS) ▲자율주차 및 출차 등 기아차가 독자 개발한 자율주행기술이 기본 탑재됐으며, 실도로 환경에서의 주행 안정성 제고를 위해 ▲자기위치인식 기술 ▲경로생성 기술 ▲경로추종 기술 ▲장애물 인지/판단 기술 등이 추가로 적용됐다. 
쏘울 자율주행차는 이 같은 핵심 요소 기술을 기반으로 보행자, 신호등, 교차로 등 실제 도로에서 최고 시속 120km/h까지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선 변경, 추월, 제동, 주차 등 다양한 자율주행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이번 야구장에서의 자율주행 시연은 일반도로가 아닌 명확한 차선이 없고 흙과 잔디로 이뤄진 특수한 환경에서 이뤄져 더 큰 관심을 모았다.  

기존 자율주행기술은 바닥이 고른 실내 및 일반 도로의 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으나, 야구장은 노면이 잔디와 흙으로 이뤄져 기존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시 자동차 바퀴가 미끄러지고 울퉁불퉁한 노면에 따른 센서 측정의 정확도가 낮아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기아차는 새로운 환경에 맞춰 자기위치 인식기술과 경로추종 성능 등을 대폭 개선해 적용했다. 
이처럼 기아차는 미래 자동차 시장 생존 경쟁의 핵심 기술로 평가 받는 자율주행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연구 개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기아차는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로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미국 네바다주 및 국내 실도로에서 시험 운행이 가능한 면허를 취득해 자율주행기술 상용화에 한발 바짝 다가섰다. 
지난 8월에는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의 완전자율주차(AVP) 영상이 유튜브에 공개돼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 영상에서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는 운전자 없이 이동해 지상, 지하 주차공간을 탐색하고, 실내 복합 공간에서 주차는 물론 출차까지 스스로 진행한다. 교통 혼잡 지역에서는 주변의 주차장까지 주차대상 공간을 확장해 주차하는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또한 지난 1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2016 CES에서는 기아차의 자율주행 관련 미래 비전을 담은 지능형 안전기술 브랜드 ‘드라이브 와이즈(DRIVE WISE)’를 공개하며주행 보조 및 편의 제공을 통해 안전을 넘어 기분 좋은 운전, 운전하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기아차의 자율주행 기술 방향성을 제시했다. 

드라이브 와이즈’는 ‘번거롭고 성가신 운전으로부터의 완전한 해방 (Hassle-free, Delightful Driving)’을 콘셉트로 다양한 자율주행 기반 기술을 통해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시킴으로써 기분 좋은 운전을 지향한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친환경 기술과 텔레매틱스, 내비게이션 및 IT 등 커넥티비티 관련 융복합 기술 등이 함께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자율주행 기술 구현을 추구한다. 

기아차는 현재 ▲차선이탈 경보(LDWS) ▲차선유지 지원(LKAS) ▲자동 긴급제동 (AEB) 등 양산화에 성공한 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주행지원(HDA) ▲부주의 운전경보(DAA) ▲후측방 충돌회피지원(SBSD) ▲고속도로 자율주행(HAD) ▲도심 자율주행(UAD) ▲선행차량 추종 자율주행(PVF) ▲혼잡구간 주행지원(TJA) ▲긴급제동 시스템(ESS) ▲자율주차 및 출자 등 다양한 자율주행 선행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기아차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를 통해 기아차의 미래 기술 역량을 고객들에게 알리고자 마련됐다”며 “기아차는 미래 기술 리더십 확보 및 시장 선점을 위해 자율주행기술뿐만 아니라 커넥티비티, 친환경 등 다양한 미래 기술 분야의 핵심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끝)

<사진설명> 기아차, 야구장서 자율주행 기술 시연 

기아차가 프로야구 경기 전 사전 이벤트로 펼쳐지는 시구 행사에서 쏘율 자율주행 전기차를 깜짝 등장시켜 독자 개발한 자율주행기술을 선보였다. 

(사진1~3) 쏘울 자율주행 전기차의 주행 모습
 참고1. 미래 자율주행(Future Autonomous) 관련 기술

1) 고속도로 자율주행 시스템 (HAD, Highway Autonomous Driving)
고속도로 주행 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 및 페달을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이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능으로, 카메라로 차선을 인식하고 센서와의 조합을 통해 선행 및 주변 차량을 인지하여 차선 유지 및 변경이 가능함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킨 기능임)
2) 도심 자율주행 시스템 (UAD, Urban Autonomous Driving)
도심에서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능으로, GPS, 차선 및 구조물 정보 등을 활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고 V2X 통신 및 센서를 통해 신호등, 보행자 및 주변 차량을 인지함
3) 선행차량 추종 자율주행 (PVF, Preceding Vehicle Following)
차선이 없는 구간이나 도심 내 공사 구간 등에서 선행 차량의 주행 경로를 인식 및 계산하여 자동으로 추종 주행하는 시스템
4)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 (TJA, Traffic Jam Assist)
교통 체증 및 혼잡구간에서 차선 및 주변 차량 정보를 계산하여 자동으로 가다 서다(Stop & Go) 및 끼어들기를 수행하는 시스템
5) 긴급제동 시스템 (ESS, Emergency Stop System)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DSM, Driver Statue Monitoring) 시스템과 연동, 운전자의 얼굴 및 시선을 통해 비상상황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주행 중 운전자가 운전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인식해 차량을 자동으로 갓길에 정차하는 시스템

6) 자율출•주차 지원 시스템
스마트워치 조작만으로 운전자의 위치까지 차량을 자동으로 출차하고, 빈 공간을 인식해 자동으로 주차하는 시스템

참고2.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Current & Future ADAS) 관련 기술

1)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 (HDA, Highway Driving Assist)
고속도로 주행 시 차선유지 제어 시스템,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콘트롤, 내비게이션 연동을 통해 앞차와의 차간 거리 자동 조정, 차선 유지, 자동 정지 및 재출발, 과속위험 지역 속도 제어 등의 기능을 지원함

2) 부주의 운전경보 시스템 (DAA, Driver Attention Alert)
주행 중 운전자의 피로 및 부주의 운전패턴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여 필요 시 운전자에게 휴식을 권유하는 시스템

3) 후측방 충돌회피 지원 시스템 (SBSD, Smart Blind Spot Detection)
차로 변경 중 후측방 시야 사각지대 차량과의 추돌 위험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변경 방향의 반대편 바퀴를 제동시켜 차량이 기존 차선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서울교통공사 “직원 참정권 보장”… 공직선거법 개정 반영
서울교통공사가 개정된 공직선거법을 반영해 직원들의 정치 참여 권리를 보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지방공기업 직원의 참정권을 제한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른 해명과 후속 조치로, 공사는 내부적으로 개정된 법령을 정확히 안내하고 재발 방지에 나섰다.공사 감사실은 지난 5월 8일,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 의무와 복무 기강 유지를 강조하는 내용의 공문을 사내에 시행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공문이 올해 1월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내용을 반영하지 않고, 이전 법령을 기준으로 작성된 사실이 확인되며 논란이 일었다. 개정된 공직선거법은 지방공사와 지방공단의 상근직원을 선거운동 금지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지방공기업 직원의 정치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해당 직원들의 기본적인 참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취지에서 비롯된 개정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언론 일부는 서울교통공사가 법 개정 사실을 무시한 채 직원의 정치 활동을 제한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교통공사는 설명자료를 통해 당시 공문이 개정 이전의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인정하며, 이후 전 직원에게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핵심 내용을 별도로 안내하는 공문을 추가로 시행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