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자영업자 등 26만명 2월부터 가스요금 신용카드 결제 가능

- 서울시, 수도권 최초로 4개 카드회사와 협의하여 가스요금 카드 결제 대상 확대
- 2월부터 서울시 내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 가스요금의 신용카드 납부 가능해져
- 서울지역 도시가스 사용자의 약 99.9%가 가스요금 카드 결제 대상자


□ 서울시는 물가 상승, 내수경기 악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힘보탬의 일환으로 가스요금에 대한 신용카드 결제 허용 대상을 대폭 확대한다. 2월부터 서울시에서 영업 중인 자영업자·소상공인·중소기업인 등 약 26만 명은 가스요금의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 ’13년부터 도시가스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일부 가스요금에 대해 카드 결제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도에서 주택용 가스요금만 해당되고,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이 이용하고 있는 일반용, 업무난방용, 산업용 가스요금은 제외되어 있었다.

□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4개 카드회사(국민, 삼성, 신한, 현대카드)와 협의를 통해 대부분 자영업자·소상공인 등이 사용하고 있는 일반영업용1* 및 업무난방용 가스요금도 카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합의를 이끌어냈다.
   * 일반영업용1 가스요금 : 목욕탕 및 폐기물처리시설을 제외한 영업시설에 공급되는 가스요금

□ 또한 4개 카드회사간 합의에 따른 가스요금의 신용카드 납부 범위 확대를 위해 지난 1월 서울시는 「서울특별시 도시가스회사 공급 규정」의 개정을 완료했다.
 ○ 가스요금의 신용카드 납부 범위 확대를 위해서는 가스요금 납부 방법을 규정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도시가스회사 공급규정”*의 개정이 필요하다.
  ※ 공급규정 : 「도시가스사업법」 제20조에 따라 도시가스사업자가 정하고 시·도지사가 승인하는 도시가스 요금이나 그 밖의 공급조건에 관한 규정

□ 이로써 서울지역 도시가스 사용자 약 99.9%가 가스요금을 현금이 아닌 카드 결제가 가능해졌다. 신용카드 납부로 요금 납부의 편의성 증대뿐만 아니라 일시적 현금유동성 확보, 카드회사의 리워드 혜택 등도 기대할 수 있다. 
   ○ 서울시 용도별 도시가스 수요가수   
                                                                                                      (단위 : 수요가수, ’24년 기준)

합계

주택용

일반 영업용1

업무용

산업용 등 기타

4,702,161

4,436,883

186,436

74,571

4,271


도시가스 요금 카드 결제 대상 변동 내용

구 분

 

종 전

변 경(’25. 2~)

 

대 상

주택용

주택용, 일반영업용1, 업무난방용

 

수요가수

(’24. 12월 기준)

4,436,883

(구성비 : 94.4%)

4,697,890

(구성비 : 99.9%)

 


□ 가스요금의 신용카드를 통한 납부는 도시가스회사 홈페이지, 콜센터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능하다. 현장에서 직접 카드로 납부하고자 하는 경우 관할 고객센터에 찾아가서 진행할 수 있다. 세부적인 방법은 관할 도시가스회사 콜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 정순규 서울시 녹색에너지과장은 “내수경기 악화로 영업이 힘든 자영업자, 소상공인의 부담을 덜기 위해 도시가스회사, 신용카드회사와 협의하여 2월부터 카드결제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카드회사가 참여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붙임

 

도시가스회사 문의처 및 가스요금 카드납부 방법

          
서울지역 도시가스회사 문의처

회사명

통합콜센터

홈페이지

공급권역

서울도시가스

1588-5788

www.seoulgas.co.kr

서울 중서부

코원에너지서비스

1599-3366

www.ko-one.co.kr

서울 동남부

예스코

1544-3131

www.lsyesco.com

서울 중동부

대륜E&S

1566-6116

www.daeryunens.com

서울 북동부

귀뚜라미에너지

1670-4700

kituramienergy.co.kr

서울 남서부


  가스요금 카드납부 방법

 

 ㅇ 일반영업용1, 업무난방용 가스요금 납부 가능 카드
   - KB국민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현대카드
    ※ 주택용 가스요금의 경우 모든 카드로 결제 가능
 ㅇ 신용카드 결제 방법
   - 도시가스회사별 홈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 
   - 도시가스회사별 고객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 결제 가능
 ㅇ 신용카드 자동이체 등록 및 해지 방법
   - 도시가스회사별 홈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자동이체 등록 및 해지
   - 도시가스회사별 콜센터에 전화하여 자동이체 등록 가능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