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일류경제도시 대전, 주민생활만족도 6개월 전국 1위

- 경제성장, 개인소득, 삶의 질 등 삼박자 고루 갖춰, 살기 좋은 도시로 우뚝 -


대전시는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14일 발표한 2024년 12월 전국 주민생활 만족도 지수' 조사 결과에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특히 2024년 한 해 6개월 1위를 차지하며 시민들의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시민 중심의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며, 경제, 복지, 삶의 질 개선 등 전방위적 성과를 이뤄낸 결과이다. 

민선 8기의 경제적 결실은 주민생활만족도 1위를 뒷받침하는 핵심 요인이다. 지난달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지역소득(잠정)’에 따르면, 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3.6% 성장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1인당 개인소득은 2,649만 원으로 전년 대비 33만 원 증가했는데 이는 전국 평균(2,554만 원)을 상회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상장기업 수가 62개로 늘어나며 광역시 중 3위를 기록했고, 시가총액은 부산을 제치고 광역시 2위로 올라섰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발표한 ‘2024년 외국인 직접투자동향’에 따르면 대전 지역 내 외국인직접투자액(FDI)도 도착금액 기준 비수도권 2위, 투자액 5억 9천1백만 불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첨단산업 육성, 기업 지원 강화, 투자 유치 확대 등 민선 8기의 경제 정책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광역시 승격 이후 최초로 자살사망률도 2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기록 중이다. 이는 전국 최초 정신응급의료기관을 지정·운영하고 대전형 민관협력 자살예방상담전화 집중 캠페인 추진 등 시민들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한 결과이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일·생활 균형 지수에서도 대전은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3위를 기록했다. 지수 총점은 66.5점으로 전국 평균 60.8점보다 5.7점 높고 지난해 점수보다 7.2점 올라 8위에서 다섯 계단이나 상승했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 기업의 노동환경 개선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추진해 온 좋은 일터 조성사업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장우 시장은 “대전의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과 시민 중심의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온 결과가 주민생활만족도 6개월 1위라는 성과로 이어졌다”라며 “앞으로도 시민 모두가 행복하고 자긍심을 느끼는 일류 경제도시 대전을 만드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지표 개요


연번

분야

명 칭

순 위

기 관

주기

기준

1

경제

상장기업 수

광역시 3(62)

한국거래소

(KRX)

매일

현재

시가총액

광역시 2(50조 원)

2

지역소득

경제성장률 전국 2(3.6%)

1인당 개인소득 전국 3(2,649만원)

통계청

매년

2023

3

생활

주민생활만족도

5개월 전국 1

(2~5: 1/ 10, 12: 1, 11: 2)

리얼미터

매월

2024.

11

4

자살사망률

낮은 도시 대전

전국 13(10만 명당 23.2)

 

·광역시 6

 

 

지역안전지수자살분야

5등급 2등급

통계청

행정안전부

매년

2023

5

·생활

균형지수

전국 3(66.5)

 

(’21년 전국 4, 60.3)

고용

노동부

매년

2023



붙임 2

 

상장기업 현(2024. 12. 30.)

    
전국 상장기업 수 및 시가총액 현황

 

연번

지역명

상장기업 수

상장기업 시가총액

비고

총 계

2,750

23,039,225

 

1

서울특별시

1,111

9,478,913

 

2

경기도

793

8,262,146

 

3

충청남도

107

188,308

 

4

경상남도

96

695,670

 

5

인천광역시

94

1,311,327

 

6

충청북도

93

407,065

 

7

부산광역시

82

271,551

 

8

경상북도

73

559,602

 

9

대전광역시

62

507,526

 

10

대구광역시

58

175,193

 

11

전북특별자치도

36

109,196

 

12

강원특별자치도

29

140,640

 

13

울산광역시

29

360,743

 

14

전라남도

24

166,807

 

15

기타(미국, 일본 등)

22

45,482

 

16

광주광역시

21

27,769

 

17

세종특별자치시

13

134,364

 

18

제주특별자치도

7

196,923

 


 민선 8기 상장기업 현황

연번

기업명

주요제품

상장일

1

토모큐브

3차원 현미경 광학기기, 의료장비 제조 및 판매

2024. 11. 07

2

한켐

OLED 소재, 촉매 소재, 전자 및 에너지 소재

2024. 10. 22.

3

아이비젼웍스

2차전지 비전검사기, 기타 검사 및 측정 장치

2024. 09. 03.

4

케이쓰리아이

XR 미들웨어 솔루션 개발, 디지털트윈

2024. 08. 20.

5

아이빔테크놀로지

생체현미경, CRO 서비스

2024. 08. 06.

6

민테크

배터리 진단시스템, 배터리 시스템,
충방전 검사장비

2024. 05. 03.

7

코셈

주사전자현미경(SEM)

2024. 02. 23.

8

한빛레이저

산업용 레이저 가공장비

2024. 01. 04.

9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체의약품 및 항체후보물질 연구개발

2023. 12. 05.

10

큐로셀

CAR-T 세포치료제

2023. 11. 09.

11

컨텍

지상국 시스템 엔지니어링 솔루션,

위성영상 생성을 위한 데이터처리 솔루션

2023. 11. 09.

12

나노팀

전기차용 방열제품

2023. 03. 03.

13

LX세미콘

Display Driver IC

2022. 11. 03.

14

플라즈맵

플라즈마 멸균기 및 표면처리기기

2022. 10. 21.


붙임 3

 

경제성장률 및 1인당 개인소득


년도

경제성장률(%)

1인당 개인소득(만원)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P

시도별

성장률

순위

성장률

순위

성장률

순위

개인소득

순위

개인소득

순위

개인소득

순위

인천

4.7

8

6.8

1

4.8

1

2,305

7

2,439

7

2,466

8

대전

2.3

16

1.8

11

3.6

2

2,477

4

2,616

3

2,649

3

경북

2.5

15

0.6

16

3.2

3

2,125

17

2,243

17

2,292

15

울산

6.8

2

3.8

4

3.2

3

2,567

2

2,708

2

2,810

2

제주

3.1

13

4.6

2

3

5

2,140

15

2,248

15

2,289

16

강원

5.3

6

1.3

13

2.7

6

2,210

12

2,303

14

2,333

14

경남

2

17

3.5

5

2.2

7

2,126

16

2,245

16

2,277

17

광주

4.1

10

1

15

1.4

8

2,365

6

2,520

6

2,538

6

세종

7.4

1

2.2

9

1.3

9

2,535

3

2,585

4

2,600

4

대구

4.9

7

2.2

9

1.2

10

2,220

11

2,343

12

2,376

12

전남

4.4

9

-0.7

17

1.2

10

2,227

10

2,375

9

2,460

9

경기

5.9

3

3.2

6

1.1

12

2,396

5

2,525

5

2,570

5

부산

2.6

14

1.7

12

0.8

13

2,234

9

2,373

10

2,403

11

서울

3.9

11

2.6

8

0.7

14

2,712

1

2,819

1

2,937

1

충남

5.7

5

2.8

7

0.5

15

2,205

13

2,318

13

2,365

13

전북

3.3

12

1.3

13

-0.2

16

2,203

14

2,363

11

2,416

10

충북

5.9

3

4.2

3

-0.4

17

2,287

8

2,418

8

2,467

7



붙임 4

 

자살사망률 2024. 10. 7.(통계청 발표)


  대전시 자살 현황

(단위: , 10만명당/연령표준화율*)


구분

2020

2021

2022

2023

자살자 수

자살

사망률

순위

자살자 수

자살

사망률

순위

자살자 수

자살

사망률

순위

자살자 수

자살

사망률

순위

전국

13,195

21.9

-

13,352

22.1

-

12,905

21.2

-

13,978

22.7

-

대전

397

24.7

4(1)

425

26.5

4(1)

371

21.7

15(6)

380

23.2

13(6)

동구

60

21.6

4

89

35.1

1

67

24.5

2

64

25.4

3

중구

78

28.0

2

63

25.6

4

58

19.6

5

63

25.8

2

서구

123

24.6

3

134

25.9

3

112

20.7

3

111

19.2

5

유성

80

21.4

5

78

21.4

5

77

20.2

4

88

23.8

4

대덕

56

32.6

1

61

27.2

2

57

28.6

1

54

27.0

1


   * 연령표준화 : 지역별로 연령구조 차이를 제거하여 표준화

** 2023년 특광역시 6, 전국 13/ 5개구 순위(대덕구 > 중구 > 동구 > 유성구 > 서구)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스포츠 명문도시로 전력질주’… 양평군, 생활체육 인프라를 통한 건강도시 양평
양평군이 곳곳에 생활밀착형 체육기반시설을 확충하며 스포츠 명문도시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군은 각종 대회 유치, 동아리지원, 정책 추진 등으로 스포츠를 통한 주민활력을 상승시킨다는 계획이다. 양평종합체육센터 조감도 7일 군은 올해 말까지 각종 관내 각종 체육센터 및 생활체육 인프라가 순차적으로 조성된다고 밝혔다. 양평읍 도곡리 일원에서 진행되는 ‘양평 종합체육센터 건립사업’은 약 8천㎡ 면적의 지하1층, 지상4층 건물을 조성하는 것으로 수영장·다목적실·체육관·무대·1200석 규모의 관람석 등이 건립된다. 총 사업비는 370억원이 투입됐으며 사업은 오는 연말 마무리될 예정이다. 군의 체육시설 인프라 확충은 각종 인기 종목을 넘어 노인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생활체육시설 확충에도 주안점을 두고 있다. 군이 추진 중인 장애인 전문체육시설 ‘반다비 체육센터’ 또한 각종 사전검토를 마치고 설계단계에 들어간다.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사업’은 양평읍 공흥리 일원 약 5천4백㎡ 부지에 2천5백㎡가량의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 장애인 전문체육시설을 건립하는 것으로, 장애인 편의제공 및 재활치료 등 비장애인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축하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한인 여성 국제 교류 활성화 힘 모은다
충남도는 12일 도청 상황실에서 사단법인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와 ‘제10차 세계한인여성회장단대회’ 공동 개최 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 3월 김태흠 지사와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의 접견 이후 추진하는 후속 조치로, 경제·문화 등 국제 교류 활성화를 통해 도내 여성단체의 역량을 강화하고 국내외 한인 여성 간 연대를 촉진하고자 마련했다. 김 지사와 조규자 세계한인여성회장협의회 총재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번 협약식은 주요 내용 설명, 협약서 서명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국제 교류 활성화를 위한 경제·문화 발전 등을 상호 지원하고 제10차 세계한인여성회장단대회 공동 개최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또 홍예공원 명품화사업 수목 헌수, 도내 인재 육성 장학금 지원, 국제 문화 교류를 위한 다양한 교류 행사 참여 등에도 힘을 모은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앞으로 10월에 있을 세계한인여성회장단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르고 그밖에 국제 문화 교류와 장학사업 등 다방면으로 협력해 나가자”라면서 “지금 경기가 장기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다고 우려가 큰 상황인데 앞으로 여성들이 주축이 돼 경제를 이끌고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