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도심출몰 멧돼지 인공지능 기술로 막는다

- 국립생물자원관, 첨단기술 이용한 멧돼지 이동·서식 예측 정보 서울시에 제공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도심에 출몰하는 멧돼지의 서식 특성을 수집해 인공지능(AI) 기술로 분석한 멧돼지 이동 경로와 서식지 예측 정보를 10월 28일부터 서울특별시에 제공한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 산악지형에 적합하게 개발한 ‘멧돼지 개체 탐지 기법*’과 무인 카메라로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멧돼지가 주로 출몰하는 서울 독립문역 인근의 인왕산과 안산에서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 무인기가 지정된 경로를 따라서 최적화된 방식(고도 100~120m, 속도 3m/s, 간격 50m, 각도 90°)으로 촬영

  조사 결과 오전 7시 전후로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개나리 등의 관목군락에서 32회, △등산로부터 직선거리 20m 이내의 경사진 지형에서 8회 확인됐으며 오후 7시에서 오전 5시 사이에는 △참나무군락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모습이 8회, △숲 사잇길, △능선, △생태통로 및 나무계단 하부통로에서 이동하는 모습이 235회 촬영됐다. 

  특히, 야간 식별(Night Vision)* 카메라로 멧돼지의 행동 특성을 관찰한 결과 오후 10시 이후 도심과 가까운 저지대 능선까지 내려와 먹이활동을 하는 모습이 2회 포착됐으며 사람을 피해 이동하는 모습도 함께 촬영됐다. 
  * 어두운 환경에서 적외선 또는 열화상으로 보이지 않는 물체를 감지해 시각화하는 기술 

  수집된 정보를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로 분석한 결과, 인왕산과 안산에 서식하는 멧돼지는 11m 정도의 큰 수목이 울창한 능선을 따라 이동하고 경사가 30도 이상으로 가파른 지형의 밀집도가 높은 관목 덤불 군락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량의 데이터를 반복 학습시켜 스스로 규칙을 찾아내고 예측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기술
  국립생물자원관은 서울시에 제공하는 이번 분석 결과가 멧돼지 등 야생동물의 생태통로를 개선하고 등산로와 산책로의 경고 표지판 설치에 활용되는 등 멧돼지에 의한 도심지역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관장은 “무인기, 인공지능 등과 같은 첨단 기술을 이용한 야생동물 생태 분석과 정보 공개로 멧돼지에 의한 도심지역의 피해 예방 지원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붙임  1. 무인기와 무인카메라를 이용한 시간대별 멧돼지 관찰 결과.
      2. 무인기를 통해 관찰된 도심 출몰 멧돼지의 행동특성.
      3. 딥러닝 기술로 분석한 멧돼지 서식환경.
      4. 전문용어.  끝. 


붙임 1

 

무인기와 무인카메라를 이용한 시간대별 멧돼지 관찰 결과





 

주간(07:00~18:00)

야간(18:00~07:00)

합계

이동

13

222

235

휴식

38

2

40

먹이활동

4

4

8

합계

55

228

283

관찰 결과 주간에는 주로 휴식(40)을 야간에는 이동(235)을 하고 먹이활동은 주·야간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관찰됨



붙임 2

 

무인기를 통해 관찰된 도심 출몰 멧돼지의 행동특성



사람과 마주쳤을 때 도망가는 멧돼지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멧돼지(2024424, 1935)


(: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멧돼지, : 야간 식별 카메라로 촬영한 멧돼지)

 

 

이동 및 먹이활동하는 멧돼지

나무계단 하부통로로 이동하는 멧돼지(202451, 2340)


저지대 능선에서 먹이활동하는 멧돼지(202451, 2315)


 

관목군락에서 휴식 중인 멧돼지

나무계단과 가까운 관목군락에서 휴식을 취하는 멧돼지(202422, 935)


(: 열화상 카메라에 촬영된 멧돼지(노란색 원)과 공원 이용객(붉은색 원),
: RGB 카메라에 촬영된 휴식을 취하는 멧돼지)

.



붙임 3

 

     딥러닝 기술로 분석한 멧돼지 서식환경



딥러닝을 이용한 멧돼지 서식환경 3차원 분석


라이다를 이용해 수집한 안산 전체의 서식환경과 멧돼지가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된 생태통로 전경

딥러닝을 이용한 멧돼지의 행동별 서식 특성


멧돼지의 행동

수관높이모델

임관피복도

지형의 경사도

관목의 밀도

이동

11.34

42%

23.53°

-

휴식

3.09

13%

30.54°

59%

멧돼지는 키가 큰 수목( =11.34)이 울창한( =42%) 등산로와 능선을 통해 이동하고, 경사가 다소 가파르고( =30.54°) 키가 작은 수목( =3.09)이 듬성듬성하며( =13%) 관목의 밀도가 높은 곳( =0.59, 단위면적당 관목의 비율)에서 휴식을 취했음


붙임 4

 

         전문용어


○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 컴퓨터가 언어 및 음성을 인식, 이해, 번역하며, 데이터 분석 및 추천하는 등 다양한 고급 기능 수행을 돕는 기술

○ 딥러닝(Deep learning) : 사람의 두뇌 작동 방식을 기반으로 한 기술로, 두 개 이상의 다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학습시켜 스스로 규칙을 찾아내고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

○ 수관높이모델(Canopy Height Model) : 나무의 가장 윗부분(가지와 잎이 퍼져있는 부분)을 통해 나무의 높이를 측정한 자료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모델, 수관높이모델을 통해 나무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어 숲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수관높이모델의 값이 크면 키가 큰 나무들이 많은 것을 의미

○ 임관피복도(Canopy Cover) : 산림에서 수관이 덮고 있는 면적의 비율로, 나무나 다른 식물들의 잎이나 가지가 지상을 얼마나 덮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산림과 같은 자연환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표이다. 0부터 1로 표현된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전진선 양평군수... “양평 서부의 미래를 열다”
민선8기 전진선 양평군수가 지난 3년간 양평의 관문인 서부권 도약을 위해 다져온 여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2026년 경기도 정원문화 박람회 대상지로 세미원, 두물머리가 선정되는 쾌거를 통해 국가정원으로 가는 교두보를 마련했고, 양평 최대규모의 국수역세권 도시개발 사업이 경기도의 승인을 얻어 양평 서부권 대전환의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는 평을 받는다. 군은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지역의 여건과 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전략을 실행해 양평 서부권 지역의 가치를 굳건히 하고 그 입지를 확고히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양평군수 세미원, 국가정원 향해 뛴다… 양평군 글로벌 정원도시 비전 가동 경기도 최초 지방정원인 세미원이 국가정원으로 도약할 채비를 갖추고 관련 절차 마무리에 하나씩 들어가고 있다. 양평군은 세미원과 두물머리를 거점으로 글로벌 정원관광 도시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양평군은 오는 9월까지 1만4천㎡ 규모의 세미원 전면부 시설개선사업을 실시한다. 세미원 주차장과 진입부 노후화에 따른 주민 불편사항을 해소하고 개방형 진입광장과 휴게시설을 조성해 다목적 녹지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2027년 내로 두물머리 생태학습장 조성지 및 가정천 일원을 편입하여 정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이달의 충남’ 올여름 보령·부여로 떠나자
충남도가 2025∼2026 충남 방문의 해를 맞아 특정 시군을 소개하는 ‘이달의 충남’을 운영 중인 가운데, 7월의 여름 관광지로 보령과 부여를 소개한다. 도는 매달 대상 시군의 대표 관광지와 지역축제·행사(이벤트), 특별한 관광상품 등을 도 공식 사회관계망(SNS)과 충남관광 누리집을 통해 이달의 충남으로 알리고 있다. 이번 7월에는 태양 빛에 반짝이는 바다를 가진 보령과 푸른 연꽃이 만발하는 부여를 추천한다. 푸른 바다와 축제의 도시, 보령 대천해수욕장은 충남을 대표하는 해수욕장 중 하나로, 매년 여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명실상부한 해양 휴양 명소다. 3.5㎞의 드넓은 패각분(조개껍질) 백사장은 고운 모래 질감으로, 맨발로 걷기에도 좋고 얕은 수심과 완만한 경사 덕분에 아이들이 있는 가족 단위 여행객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 여기에 더해 해상 케이블카, 스카이바이크, 짚트랙 등 레저 시설이 다채롭게 마련돼 있어 단순한 휴식뿐 아니라 활동적인 체험을 원하는 이들에게도 안성맞춤이다. 1928년에 서해안 최초로 개장한 무창포해수욕장은 매달 음력 보름날과 그믐날 전후로 해변에서 석대도까지 1.5㎞의 바닷길이 열려 바다를 걸어서 건너는 진귀한 경험을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