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 |||||
의료급여수급권자 | 일반 건강보험 가입자 | |||||
대상자 | 수검자 | 수검률(%) | 대상자 | 수검자 | 수검률(%) | |
2018년 | 317,949 | 133,301 | 41.9 | 19,593,149 | 15,076,899 | 76.9 |
2019년 | 377,552 | 144,147 | 38.2 | 21,716,582 | 16,098,417 | 74.1 |
2020년 | 384,190 | 124,281 | 32.3 | 21,446,226 | 14,544,995 | 67.8 |
※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2018~2020 건강검진통계연보
□ 1인가구의 경우 ’21년 만성질환 유병률은 31.5%로 ’17년(21.3%)보다 10.2%p 증가했으며, 특히 노년 1인가구의 경우 10명 중 7명이 1개 이상의 만성질환 진단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전 건강관리가 필요한 1인가구 등 건강관리 취약계층을 위해 서울시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양 기관이 손잡았다.
※ 출처 : 서울연구원, 서울지역 1인가구 실태조사(2021년)
□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사업 참여 기관(지역별 종합사회복지관, 복지 관련 협회·단체 등)을 발굴‧모집하여 해당 참여 기관에서 관리·지원하고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참여자를 모집하는 역할을 맡고, 서울시는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서비스’의 동행매니저(수검자 2~3명당 1명씩)를 무료로 파견하여 건강검진 수검을 지원한다.
○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지역별 종합사회복지관, 복지 관련 협회·단체 등)은 국민건강보험공단(☎02-2126-8903)에 신청이 가능하다.(평일 09시부터 18시까지, 주말·휴일은 불가)
| <건강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추진체계> | | |||||||||||
| | ||||||||||||
|
○ 한편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서비스’는 지난해 11월에 시작하여 최근 누적 3,700여 명이 이용하는 등(’22. 7. 8. 기준) 높은 호응을 이어가고 있는 사업으로, 병원 이용 과정에 동행이 필요한 1인가구 또는 다인가구 누구나 신청(☎1533-1179)할 수 있다. 시간당 이용료는 5천 원으로, 중위소득 85% 이하의 시민(’22년에는 한시적으로 중위소득 100% 시민까지)은 무료다.
□ 아울러 서울시는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를 지원한 후에도 공단과 함께 기존 건강관리 사업과 연계해 1인가구 및 건강관리 취약계층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 서울시에서는 방문 건강관리 사업,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지원사업 등과 연계한 건강관리 및 모니터링 등을 시행하고, 공단에서는 인근 의료기관 및 사업 참여 기관과 연계하여 단체건강검진 종료 후 ‘희망나눔’ 건강강좌, 건강관리 상담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 안수민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장은 “서울시민을 위한 ‘1인가구 병원 동행안심서비스’ 사업을 바탕으로 서울시와 공단이 협업하여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를 추진하게 되었다. 그동안 건강검진을 받고 싶어도 혼자 갈 수 없었던 의료 사각지대의 취약계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 서비스에 많은 시민이 참여하여 건강검진을 받고 질병의 사전 예방 및 건강관리로 건강수명이 향상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이해선 1인가구 특별대책추진단장은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는 건강관리에 취약한 시민이 걱정 없이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로, 1인가구 및 취약계층의 건강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발굴하여 1인가구 시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사업개요 1부.2.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현장 사진 각 1부.
붙임 1 |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사업개요 |
□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ㅇ 기 간 : ’22. 7~12월
ㅇ 사업대상 : 병원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건강관리 취약계층 시민
ㅇ 사업내용 :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을 위한 병원동행 무료지원(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강원지역본부와 협업)
ㅇ 주요역할
- [공 단] 사업 참여기관* 선정(대상자 발굴, 검진기관 예약 등), 건강상담·교육
* 사업 참여기관 : 지역별 종합사회복지관, 복지 관련 협회·단체 등
- [서울시] 병원동행서비스 지원(2~3명당 1명, 사전예약), 이용료 무료, 사후관리
ㅇ 진행절차
| <건강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추진체계> | | |||||||||||
| | ||||||||||||
|
붙임 2 |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현장 사진 |
건강관리 취약계층 단체건강검진 동행서비스 현장 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