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2020년 신규「만성C형감염」환자 8,647명, 연평균 11.5% 감소

- 2020년 신규 진료인원 8천 6백 명 … 남성 4천 1백 명, 여성 4천 5백 명
·50대 29.6%(2천 6백 명), 60대 24.6%(2천 1백 명), 40대 14.2%(1천 2백 명)의 순


만성C형간염(B18.2)이란?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가 간세포에 침입하면 우리 몸에서 지속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 간이 손상되며, 급성 감염 후 70% 이상이 만성으로 진행됨.


□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만성C형간염(B.18.2)’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다.


 ○ 신규 진료인원 연도별 신규 ‘만성C형간염’ 진료인원은 ‘만성C형간염’을 주상병으로 진료 받은 환자 중 첫 진료일자 기준 과거 10년 간 만성C형간염으로 진료 받은 경험이 없는 환자로 정의하였음.

은 2016년 14,087명에서 2020년 8,647명으로 5,440명이 감소하였고, 연평균 1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성은 2016년 6,662명에서 2020년 4,142명으로 37.8%(2,520명) 감소하였고, 여성은 2016년 7,425명에서 2020년 4,505명으로 39.3%(2,920명) 감소하였다.


                                < 2016~2020만성C형감염질환 신규 진료인원>

                                                                                                                 (단위: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16년 대비)

연평균

증감률

14,087

12,277

10,888

10,313

8,647

-38.6

-11.5

남성

6,662

5,769

5,219

4,940

4,142

-37.8

-11.2

여성

7,425

6,508

5,669

5,373

4,505

-39.3

-11.7

   연도별 신규 만성C형간염진료인원은 만성C형간염을 주상병으로 진료 받은 환자 중 첫 진료일자 기준 과거 10년 간 만성C형간염으로 진료 받은 경험이 없는 환자로 정의하였음.


1. 2 1. 2020신규 만성C형간염질환 50대가 29.6%(2,561) 가장 많아

              

 ○ 2020년 기준 ‘만성C형감염’ 질환의 연령대별 신규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8,647명) 중 50대가 29.6%(2,561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4.6%(2,128명), 40대가 14.2%(1,23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 남성의 경우 50대 32.9%, 60대 23.8%, 40대 15.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여성의 경우 50대 26.6%, 60대 25.4%, 70대 16.5%를 차지하였다.

                                               

    < 2020만성C형간염질환 연령대별 신규 진료인원 >

(단위: , %)

구분

전체

9세 이하

10

20

30

40

50

60

70

80

이상

8,647

4

71

334

538

1,230

2,561

2,128

1,207

574

(100.0)

(0.0)

(0.8)

(3.9)

(6.2)

(14.2)

(29.6)

(24.6)

(14.0)

(6.6)

남성

4,142

2

43

164

267

659

1,363

984

462

198

(100.0)

(0.0)

(1.0)

(4.0)

(6.4)

(15.9)

(32.9)

(23.8)

(11.2)

(4.8)

여성

4,505

2

28

170

271

571

1,198

1,144

745

376

(100.0)

(0.0)

(0.6)

(3.8)

(6.0)

(12.7)

(26.6)

(25.4)

(16.5)

(8.3)


 ○ 대한간학회 회장 김동준 교수(한림의대)는 50~6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 “수혈 혈액에 대한 항체 선별검사는 1991년부터 시작되었는데, 중장년 이상에서는 과거의 수혈, 무허가 시술 등으로 본인이 모르는 사이에 감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 “2016년 C형간염 집단 감염 사태에서 보듯 항체 검사를 받지 않은 인구가 많아 본인의 감염 여부를 미처 모르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2.   2. 2020 만성C형간염연령표준화 발생률 인구 10만 명당 26


○ ‘만성C형간염’ 질환의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발생률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 2016년 26명에서 2020년 15명으로 43.7% 감소하였다.


  - 남성은 2016년 25명에서 2020년 14명으로 42.9% 감소하였고, 여성은 2016년 28명에서 2020년 15명으로 44.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만성C형간염질환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발생률 >

(단위: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16년 대비)

26

22

19

18

15

-43.7

남성

25

21

19

17

14

-42.9

여성

28

24

20

19

15

-44.5

      2015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연령표준화율 산출 (시점 간 비교에 활용)


○ 참고로, 건강보험 진료통계를 통해 살펴본 만성C형간염의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2020년 기준 유병률의 약 22%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만성C형간염질환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유병률연도별 살펴보면,

- 202069명으로 2016100명 대비 30.5% 감소하였다.

- 남성은 201694명에서 202063명으로 32.9% 감소하였고, 여성은 2016105명에서 202075명으로 28.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만성C형간염질환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유병률 >

(단위: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16년 대비)

전체

100

95

88

82

69

-30.5

남성

94

89

82

75

63

-32.9

여성

105

101

94

89

75

-28.3

2015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연령표준화율 산출 (시점 간 비교에 활용)


  3. 2019 신규 만성C형간염진단 후 1년이내 치료율 43.9%


○ 연도별 ‘만성C형간염’ 신규 진료인원 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나, C형간염 완치제(직접작용항바이러스제)가 2016년에 출시된 이후 치료를 받은 진료인원수는 점차 증가하였다.


  - 진단 후 6개월 이내에 치료 받은 비율은 2016년 25.3%에서 2020년 39.2%로 증가하였고, 1년 이내에 치료 받은 비율은 2016년 29.3%에서 2019년 43.9%로 증가하였다.


 

< 2016~2020만성C형간염질환 신규 진료인원 중 치료율 >

(단위: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신규 진료인원 수

14,087

12,277

10,888

10,313

8,647

진단 후 6개월 이내에

치료 받은 환자

3,562

4,073

4,216

4,318

3,388

(25.3)

(33.2)

(38.7)

(41.9)

(39.2)

진단 후 1년 이내

치료 받은 환자

4,126

4,384

4,600

4,530

-

(29.3)

(35.7)

(42.2)

(43.9)

-



○ 2020년 기준 보험가입종별 신규 진료인원의 치료율을 살펴보면 

  - ‘만성C형간염’ 신규 진단 후 6개월 또는 1년 이내에 치료 받은 비율이 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의료급여 수급자에게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간학회 회장 김동준 교수(한림의대)


  - “현재 C형간염은 경구 약제로 완치가 가능하다. C형간염은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하기 전에 가능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수록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에 무증상 C형간염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율을 더 높일 수 있는 제도적 지원 마련이 시급하며,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4. ( 4. (진료인원2020 만성C형간염‘ 질환 42,031(16년 대비 6.1 % 감소)
○ 연도별 ‘만성C형간염’ 진료인원은 2016년 53,992명에서 2020년 42,031명으로 11,961명이 감소하였고, 연평균 6.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성은 2016년 25,552명에서 2020년 19,258명으로 24.6%(6,294명) 감소하였고, 여성은 2016년 28,440명에서 2020년 22,773명으로 19.9%(5,667명) 감소하였다.

                                                                                 
                                    < 2016~2020만성C형간염질환 진료인원 >
                                                                                         (단위: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16 대비)

연평균

증감률

전체

53,992

52,968

50,506

48,295

42,031

-22.2

-6.1

남성

25,552

24,912

23,622

22,196

19,258

-24.6

-6.8

여성

28,440

28,056

26,884

26,099

22,773

-19.9

-5.4


○ 2020년 기준 ‘만성C형간염’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 전체 진료인원(42,031명) 중 60대가 29.6%(12,436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8.3%(11,900명), 70대가 19.4%(8,14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 남성의 경우 50대 32.9%, 60대 28.2%, 70대 16.4%의 순이며, 여성의 경우 60대 30.7%, 50대 24.4%, 70대 21.8%를 차지하였다.
                                < 2020만성C형간염질환 연령대별 진료인원 >
                                                                                                (단위: , %)

구분

전체

9세 이하

10

20

30

40

50

60

70

80

이상

42,031

5

98

537

1,284

4,642

11,900

12,436

8,140

2989

(100.0)

(0.0)

(0.2)

(1.3)

(3.1)

(11.0)

(28.3)

(29.6)

(19.4)

(7.1)

남성

19,258

3

60

264

551

2,339

6,340

5,437

3,165

1,099

(100.0)

(0.0)

(0.3)

(1.4)

(2.9)

(12.1)

(32.9)

(28.2)

(16.4)

(5.7)

여성

22,773

2

38

273

733

2,303

5,560

6,999

4,975

1,890

(100.0)

(0.0)

(0.2)

(1.2)

(3.2)

(10.1)

(24.4)

(30.7)

(21.8)

(8.3)

                   
□ 대한간학회 연구이사 전대원 교수(한양의대)는 ’만성C형간염‘ 질환의발생 원인 및 주요 증상, 치료기법 등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만성C형간염’ 질환의 발생 원인

  - C형간염 바이러스는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감염된다.  
    
 ○ ‘만성C형간염’ 질환의 주요 증상

  - 대부분 무증상이며 본인의 감염사실을 모르고 지내다가 20~30년  후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으로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 소수의 환자에서는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피로, 구역, 구토, 복부  통증, 복부 불편감, 식욕 감소, 근육통,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 ‘만성C형간염’ 질환의 치료방법 

  - 새롭게 개발된 경구 치료제인 직접 작용 항바이러스제(Direct acting antivirals)는 90-95% 이상의 치료 효과와 경미한 부작용을 보이며, 8~12주의 치료제 복용으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 ‘만성C형간염’ 질환의 예방법 

  - 본인 또는 가족이 C형간염에 걸렸다면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도      C형간염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 C형간염 환자의 혈액이 묻어 있을 수 있는 면도기, 칫솔, 손톱깎이    등을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염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족 간에 식기를    따로 사용하는 등의 주의는 필요하지 않다.
    

 

작성기준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비급여, 한의분류 제외),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수진기준(진료인원은 약국진료건 제외), 20218월 지급분까지 반영, 미청구분 자료 있을 수 있음

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 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본 자료는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에 근거한 자료이므로 실제 유병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대상 질병코드 : 만성C형간염(B18.2)

질병코드

질 병 명

B18.2

만성 바이러스 C형간염

연도별 신규 만성C형간염진료인원은 만성C형간염을 주상병으로 진료 받은 환자 중 첫 진료일자 기준 과거 10년 간 만성C형간염으로 진료 받은 경험이 없는 환자로 정의하였음

 

                    * 전문의 인터뷰 문의 : 대한간학회 사무국 실장 김지영 02) 703-0051
   붙임 1. '만성C형간염' 질환 연령대별 성별 신규 진료실인원 
   2. '만성C형간염' 질환 신규 진단 후 6개월 이내 치료 받은 진료실인원 
   3. '만성C형간염' 질환 신규 진단 후 1년 이내 치료 받은 진료실인원 현황

             붙임 1. '만성C형간염' 질환 연령대별 성별 신규 진료실인원 현황
                                                                                                    (단위: )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14,087

12,277

10,888

10,313

8,647

남성

6,662

5,769

5,219

4,940

4,142

여성

7,425

6,508

5,669

5,373

4,505

9

이하

18

23

5

7

4

남성

6

12

3

4

2

여성

12

11

2

3

2

10

225

160

129

93

71

남성

153

101

79

62

43

여성

72

59

50

31

28

20

633

465

407

334

334

남성

310

253

204

189

164

여성

323

212

203

145

170

30

1,145

925

691

678

538

남성

538

447

306

320

267

여성

607

478

385

358

271

40

2,574

2,237

1,810

1,556

1,230

남성

1,403

1,257

1,016

836

659

여성

1,171

980

794

720

571

50

3,900

3,379

3,097

2,970

2,561

남성

1,902

1,664

1,598

1,581

1,363

여성

1,998

1,715

1,499

1,389

1,198

60

2,995

2,820

2,489

2,474

2,128

남성

1,335

1,210

1,120

1,105

984

여성

1,660

1,610

1,369

1,369

1,144

70

1,948

1,632

1,608

1,533

1,207

남성

774

611

659

597

462

여성

1,174

1,021

949

936

745

80대 이상

649

636

652

668

574

남성

241

214

234

246

198

여성

408

422

418

422

376 

 1) 수진기준(실제 진료받은 일자기준),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한의분류 및 약국제외

2)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및 비급여 제외)이며, 20218월 지급분까지 반영하며 미청구분 자료 있을 수 있음

3)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 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4) 연도별 신규 만성C형간염진료인원은 만성C형간염을 주상병으로 진료 받은 환자 중 첫 진료일자 기준

과거 10년 간 만성C형간염으로 진료 받은 경험이 없는 환자로 정의하였음    

    붙임 2. '만성C형간염' 질환 신규 진단 후 6개월 이내 치료 받은 진료실인원 현황
                                                                                                                     (단위: )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3,562

4,073

4,216

4,318

3,388

남성

1,616

1,875

1,965

2,043

1,625

여성

1,946

2,198

2,251

2,275

1,763

9

이하

-

-

-

-

-

남성

-

-

-

-

-

여성

-

-

-

-

-

10

3

10

6

9

6

남성

2

7

5

6

4

여성

1

3

1

3

2

20

50

53

50

57

58

남성

17

22

18

27

22

여성

33

31

32

30

36

30

200

178

179

172

127

남성

72

73

79

69

67

여성

128

105

100

103

60

40

729

853

729

671

497

남성

396

501

411

362

263

여성

333

352

318

309

234

50

1,159

1,324

1,424

1,480

1,205

남성

577

623

725

803

660

여성

582

701

699

677

545

60

861

997

1,066

1,094

865

남성

357

407

467

486

403

여성

504

590

599

608

462

70

472

530

608

626

451

남성

169

197

211

230

153

여성

303

333

397

396

298

80대 이상

88

128

154

209

179

남성

26

45

49

60

53

여성

62

83

105

149

126 


     붙임 3. '만성C형간염' 질환 신규 진단 후 1년 이내 치료 받은 진료실인원 현황
                                                                                                               (단위: )

구 분

2016

2017

2018

2019

전체

4,126

4,384

4,600

4,530

남성

1,891

2,032

2,155

2,150

여성

2,235

2,352

2,445

2,380

9

이하

-

-

-

-

남성

-

-

-

-

여성

-

-

-

-

10

4

14

9

9

남성

3

10

7

6

여성

1

4

2

3

20

60

66

60

63

남성

21

25

20

29

여성

39

41

40

34

30

225

193

192

182

남성

84

78

82

71

여성

141

115

110

111

40

847

909

792

703

남성

460

538

448

381

여성

387

371

344

322

50

1,340

1,431

1,543

1,547

남성

668

675

787

847

여성

672

756

756

700

60

996

1,071

1,167

1,156

남성

419

443

522

513

여성

577

628

645

643

70

555

562

677

654

남성

206

214

240

238

여성

349

348

437

416

80대 이상

99

138

160

216

남성

30

49

49

65

여성

69

89

111

151 

  1) 수진기준(실제 진료받은 일자기준),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한의분류 제외

2)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및 비급여 제외)이며, 20218월 지급분까지 반영하며 미청구분 자료 있을 수 있음

3)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 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4) 연도별 만성C형간염신규 진료인원의 첫 진료일자 기준으로 1년 이내에 C형간염완치제(직접작용항바이러스제)

처방 받은 진료인원으로 정의하였음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서로가 돌보는 도시, 의정부의 새로운 복지 기준... 복지, 제도를 넘어 삶으로… 의정부 ‘모두의돌봄’ 실현
도시의 품격은 사회적 약자가 얼마나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지에서 결정된다. 민선 8기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이 철학을 바탕으로, 모든 세대와 계층이 서로를 돌보는 복지 모델 ‘모두의돌봄’을 구축해 왔다.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맞춤형 돌봄 체계를 완성해 가고 있는 의정부시의 지난 3년 간 노력을 살펴본다. 현장에서 시작되는 복지혁신…의정부형 돌봄 브랜드 ‘모두의돌봄’시는 ‘모두의돌봄’을 통해 제도 밖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돌봄 공동체를 구축하고 있다. 현장 중심의 행정과 민관 협업을 바탕으로 복지정책에 진정성을 더하며, 3개 분야(▲의정부형 돌봄 ▲복지디자인 거버넌스 ▲복지 사각지대 해소) 11개 과제를 본격 추진 중이다. 대표 과제인 ‘돌봄 삶의 현장’은 시장과 관계 공무원이 복지 현장을 직접 찾아가 소외된 이웃을 살피고, 정책이 닿지 못한 영역을 체감하며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이 과정을 통해 시는 폭염에 취약한 경로당과 독거노인 가구, 자활기업, 장애인 걷기 대회, 아동양육시설 등 다양한 복지 현장을 지속 방문하며 고충을 청취하고 맞춤형 대응책을 마련해 왔다. 특히, 열악한 환경에 처한 한부모 가정 아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진주시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길 올라
‘2025 진주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 발대식이 4일 진주시청 광장에서 진주시 자전거협회(회장 설대호)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진주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는 진주지역 대학생들의 도전 의식과 협동 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2013년에 시작돼 올해 11회째를 맞았으며, 올해 자전거 국토 대종주팀은 진주지역 대학생과 서포터즈 등 총 40명으로 구성되어 의령군, 창녕군을 거쳐 대구 달성군, 칠곡군, 구미시, 상주시를 돌아오는 코스 250㎞의 종주 자전거길을 2박 3일의 일정으로 달린다. 두 바퀴로 달려가는 젊음과 열정의 진주시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팀은 5년 연속‘대한민국 도시 대상’을 수상한 살기 좋은 도시 진주의 자긍심을 싣고 낙동강 국토종주 자전거길을 달리며 ‘명품 자전거도시 진주, K-기업가정신 수도 진주’ 등을 홍보하고 환경 봉사활동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참가 대학생 대표인 경상국립대학교 김태환, 김현정 학생의 선서와 함께 참가자 전원 완주와 안전한 라이딩에 대한 결의를 다졌다. 김태환 학생은 “이번 자전거 국토 대종주를 통해 한계를 넘고 역경을 극복하는 진취적 기상과 강인한 의지를 기를 수 있을 것”이라며 “참가자들 간 유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