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재난기본소득 지급 후 가맹점 매출 전년대비 39.7% 증가

○ 경기연구원, 신용카드(BC) 매출 데이터 활용해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효과 분석
- 경기도 BC카드 매출액, 재난기본소득 지급 직후인 16주차(4.12~18)부터 전년 대비 증가
- 15주차(4.6~4.12) 118.2% 부터 20주차 149%까지 6주 평균 39.7% 증가
- 지역화폐 가맹점과 비가맹점 같은 기간 평균 매출 51.2%p 차이
-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 이후 전체 신용카드 매출액 증가율 6.0%p 상승
○ 경기연구원, 재난기본소득 지급액 1인당 1만원 증가할 경우 지역화폐 가맹점 신용카드
매출 10.4%p 상승효과 발생 추정


연매출 10억 이하의 소상공인, 전통시장 점포 등으로 구성된 재난기본소득 가맹점의 매출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나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경기연구원의 ‘BC카드 매출 데이터를 활용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년 동기 매출을 100%로 가정했을 때 재난기본소득 가맹점의 매출이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이 시작된 15주차(4.6~4.12) 118.2%를 시작으로 17주차(4.20~4.26) 140%, 20주차(5.11~5.17) 149%로 6주 평균 39.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첨부 표1 참조)
반대로 비가맹점은 15주차(4.6~4.12) 85.0%를 시작으로 20주차(5.11~5.17) 87% 등 같은 기간 동안 6주 평균 11.5%가 감소했다. 두 비교군 간의 매출액 증가율 차이가 51.2%p가 난 것이다. 
같은 기간 BC카드의 카드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6주 평균 6%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이 시작된 15주차(4.6~4.12)에 97%를 기록한 카드 매출은 16주차 102%, 17주차 108%, 18주차 109%, 19주차 114%, 20주차(5.11~5.17) 106%로 증가세를 보였다.
경기연구원은 또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액이 1인당 1만원 증가할 경우 전체 신용카드 가맹점의 매출액 증가율이 얼마나 되는지 고정효과 패널 회귀분석 모형(FE. Fixed Effect Model)을 통해 분석한 결과 4.3%p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같은 방법으로 재난기본소득 지급액이 1인당 1만원 증가할 경우 지역화폐 가맹점의 신용카드 매출액은 10.4%p 상승하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분석을 통해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소비 진작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었고 특히 소상공인에게 큰 도움이 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며 "재난기본소득 사용기한이 종료되면 소진율까지 고려해 지역경제 회복에 미친 효과를 더 엄밀히 분석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국민 1인당 20만원씩 긴급재난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해야 한다며 10조3,685억원 규모의 예산편성 건의서를 지난달 29일 정부에 제출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최근 언론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경제는 상당 기간 나빠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당연히 최소한 두세 번 정도는 (재난기본소득 지급을)더 해야 될 것”이라며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경제 순환을 원활하게 하려면 공급보다는 수요를 보강해야 정상적인 순환이 가능하다. 2~3차례 정도 재난기본소득을 지원하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참고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원 효과

                     

 1.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 이전 BC카드 전년동기대비 카드 매출 비율

                                                       

구분

3.2.~3.8.

(10주차)

3.9.~3.15.

(11주차)

3.16.~3.22.

(12주차)

3.23.~3.29.

(13주차)

3.30.~4.5.

(14주차)

지급이전 (5)평균

신용카드 매출액

88.1%

89.4%

98.3%

94.1%

100.6%

5.9%감소

재난기본소득 가맹점

103.3%

112.2%

114.2%

113.1%

118.7%

12.3%증가

재난기본소득 비가맹점

80.0%

79.6%

90.8%

84.3%

90.5%

15.0%감소

  출처 : BC카드, 전년 동기 매출 100% 가정, 경기연구원 분석

                                                                                    

구분

4.6.~4.12.

(15주차)

4.13.~4.19.

(16주차)

4.20.~4.26.

(17주차)

4.27.~5.3.

(18주차)

5.4.~5.10.

(19주차)

5.11.~5.17.

(20주차)

지급이후 (6)평균

신용카드 매출액

97.0%

102%

108%

109%

114%

106%

6.0%증가

재난기본소득 가맹점

118.2%

134%

140%

146%

151%

149%

39.7%증가

재난기본소득 비가맹점

85.0%

88%

91%

87%

93%

87%

11.5%감소

    출처 : BC카드, 사용액 1,230억원(90.25%) ‘20. 5. 17. 기준, 전년 동기 매출 100% 가정, 경기연구원 분석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