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기도, 저소득층 30여만 가구에 한시 생활지원비 1,763억 지급

○ 도내 지급 대상 총 30만 4,720가구
- 기초생활수급자 24만 3,382가구 + 차상위 계층 6만 1,338가구
- 올해 3월 기준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나 차상위 계층 등 하나
이상의 수급 자격을 보유한 가구
- 급여 자격과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
○ 4월 말부터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기초생활수급자 등에게 지역화폐
카드, 은행 선불카드, 온누리상품권 지급


경기도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의 생활 안정을 위해 7월 31일까지 도내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 등 30여만 가구에게 지역화폐카드, 온누리상품권 총 1,763억 원을 지급하는 ‘저소득층 한시 생활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저소득층 한시 생활지원 사업’은 경제적 위기에 빠진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에게 지역화폐카드,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해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사업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올해 4월부터 7월까지 한시적으로 진행되는 국비 100% 지원 사업이다. 
지역화폐카드(모바일 포함), 은행 선불카드, 온누리상품권 등이 시·군별 여건에 따라 지급되며, 급여 자격과 가구원 수에 따라 지급되는 금액이 달라진다.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24만 3,382가구와 차상위 계층 6만 1,338가구 등 총 30만 4,720가구로, 올해 3월 기준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나 차상위 계층 중 하나 이상의 수급 자격을 보유한 가구다.
생계·의료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1인 가구 52만 원 ▲2인 가구 88만 원 ▲3인 가구 114만 원 ▲4인 가구 140만 원 ▲5인 가구 166만 원 ▲6인 가구 192만 원이 지급된다. 기초생활보장 주거·교육 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에게는 ▲1인 가구 40만 원 ▲2인 가구 68만 원 ▲3인 가구 88만 원 ▲4인 가구 108만 원 ▲5인 가구 128만 원 ▲6인 가구 148만 원이 지급된다.
시·군별로 안내문 발송, 문자 등을 통해 지급 시점 안내 후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지급하고 상담·문의도 가능하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감안해 지역별, 자격별로 지급 일자를 다르게 하고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는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를 통해 전달할 예정이다.
김태훈 경기도 복지사업과장은 “이번 한시 생활지원비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의 생활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최대한 신속·정확하게 지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한시 생활지원비는 일회성, 추가 지출비용임을 감안해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자격유지에 영향을 주는 소득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참고자료>

    

’20년 저소득층 한시 생활지원 사업 

  □ 사업개요

 ○ (사업기간) ’20. 4.~7월(4개월) 

 ○ (지원대상) 304,720가구(기초생활수급자 243,382+차상위계층 61,338) 

 ○ (총사업비) 176,371백만원(국비100%)  *1회 추경예산 기반영

 ○ (지원내용) 생계‧의료 등 수급자에게 상품권 지급 / 가구원수에 따른 차등 지급 

                                                                                                                                 ( 총액 기준, 원)

                                                                        

구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생계·의료

520,000

880,000

1,140,000

1,400,000

1,660,000

1,920,000

시설

1520,000

주거·교육

차상위계층

400,000

680,000

880,000

1,080,000

1,280,000

1,480,000


   □ 세부 추진사항

 ○ (지원절차)

                                                                               

시군에 예산 기교부

(’20.3.27.)

도 추진계획 통보

세부 보급계획 수립

대상자 안내·홍보

상품권 구매

상품권 배부 및 지급대장 관리

 

시군

 

시군

 

읍면동


○ (지원기준) ’20.3월중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및 차상위계층 중 하나 이상의 수급 자격을 보유한 자

 ○ (신청방법) 先 직권신청 → 後 동의(수령 확인 서명을 동의로 갈음)
 ○ (지급방법) 지역화폐카드 및 상품권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등을 통해 대상자에게 직접 전달
 ○ (소득반영) 일회성, 추가 지출비용 보전 성격을 고려하여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소득으로 미반영 
    
□ 향후 계획
 ○ 지역화폐카드(상품권) 세부 보급계획 수립(시군) : ~4.10.
 ○ 시군별 보급계획 수립 및 상품권(지역화폐) 제작 의뢰 : 3.30.~4.10.
 ○ 지역화폐카드 및 상품권을 대상자에게 직접 전달(행정복지센터) : 4.~5월
     *단기간 내 수령이 곤란한 수급자, 상품권 수급상황, 시군별 여건를 감안하여 7월까지(1~4회) 분할 지급 가능
  

참고

 

시군별 저소득층 한시 생활지원사업상품권 지급계획(‘20.4.17.기준)

                                                                                                                                (단위: 가구/천원)

시군별

사업량

사업비

지급형태(예정)

지급시기

비고

304,720

176,371,000

* 카드발급 25/ 혼용(카드+지류) 6개 시군

수원시

21,279

12,190,455

선불카드

4.20.

기업은행 선불카드

고양시

23,061

13,466,912

카드

4월말

 

용인시

12,110

6,823,401

카드

4월말

 

성남시

22,985

13,232,472

카드

4월말

 

부천시

20,044

11,472,005

카드

4월말

 

화성시

10,953

6,265,922

카드

4.20.

 

안산시

20,998

12,514,791

카드

4월말

 

남양주시

16,764

9,846,315

카드

4월말

 

안양시

11,065

6,215,771

카드

5월초

 

평택시

12,155

7,058,059

농협선불카드+지류상품권

5월중순

지역사랑상품권 병행

시흥시

9,833

5,826,700

모바일+지류상품권

4.20.

지역사랑상품권 병행

파주시

12,606

7,420,339

카드

5월초

 

의정부시

16,767

9,843,706

카드

5월초

 

김포시

8,215

4,810,944

카드+지류상품권

4월말

온누리상품권 병행

광주시

6,276

3,554,583

카드+지류상품권

4월말

온누리상품권 병행

광명시

7,360

4,262,893

카드+지류상품권

4월말

온누리상품권 병행

군포시

6,732

3,869,305

카드

4월말

 

하남시

4,939

2,856,917

카드

4월말

 

오산시

4,502

2,591,225

카드

5월초

 

양주시

8,059

4,744,364

카드+지류상품권

4월말 이후

농협상품권 병행

이천시

5,010

2,866,826

카드

5월초

 

구리시

5,763

3,403,356

카드

4월말

 

안성시

5,640

3,276,147

카드

5월초

 

포천시

6,444

3,744,426

카드

4월말

 

의왕시

2,894

1,671,849

카드

5월초

 

양평군

4,248

2,330,857

카드

5월초

 

여주시

4,769

2,729,197

카드

4월말

 

동두천시

5,965

3,426,435

카드

5월초

 

가평군

3,688

2,023,279

카드

5월초

 

과천시

947

549,149

카드

4월중

 

연천군

2,649

1,482,400

카드

5월초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