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부산시, 도시재생 뉴딜사업 최종 6곳·2천993억 원 사업 확정!

◈ 국토교통부 최종 결과 발표… 부산시, 상반기 2곳 포함 총 6곳 선정
◈ 상·하반기 총사업비 2천993억 원으로 노후지역 활성화 및 부산형 도시재생에 ‘박차’


  부산시(시장 오거돈)가 하반기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 부산시에서 총 4곳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하반기 선정으로 정부의 도시재생사업에 선정된 부산의 뉴딜사업 대상지는 6곳으로 늘어났다.


  오늘(8일) 열린 제19차 중앙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는 부산의 4개 지역을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상반기 선정된 부산진구 부암1동과 수영구 수영동은 총사업비 482억 원을 지원받아 현재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에 선정된 4곳은 사상구 괘법동, 남구 용호동, 사하구 괴정동, 영도구 대평동 지역이다.


  광역자치단체가 선정하는 ▲우리동네살리기형에는 사상구 괘법동과 남구 용호동이 ▲주거지지원형에는 사하구의 괴정동이 선정되었다. 이어 국토교통부가 선정한 중앙선정 대상지로는 ▲경제기반형에 영도구 대평동이 뽑혔다.


  이번에 선정된 4곳에는 총사업비 2천511억 원(국비430·지방비430·공기업 등 1천651)이 투입되어 쇠퇴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력과 도시혁신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먼저 ▲사상구 괘법동의 ‘경부선 철길따라 행복따라 괘내 생태문화마을’은 총 141억 2천만 원을 들여 생태체험과 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마을로 탈바꿈한다. 이 지역은 경부선 철로와 백양대로 사이에 형성된 도심 속 전원마을로써 전답 비율이 35%가 넘는다. 시는 이를 활용한 어린이 체험 텃밭(1천257㎡)과한 평 치유 텃밭(653㎡), 수경재배 하우스(264㎡) 등을 조성해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경부선 철로 방음벽에는 경관개선 사업으로 주민 함께하는 담장 숲(420m)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남구 용호동은 1968년 정책이주지이자 골목을 중심으로 노후 연립주택이 밀집해 있는 구조적인 특성과 고령 인구가 많은 점을 고려해 ‘용호 대가족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총사업비는 161억 7천만 원으로 경로당 리모델링·순환형 임대주택 32세대·자율주택정비 12세대 등을 조성하고, 마을 건강교실·마을밥상 운영 사업을 통해 소소한 취미생활과 친구·이웃과 함께 가족처럼 삶의 터전을 가꾸는 마을재생 사업을 추진한다.


  ▲사하구 괴정동 ‘다시 그린(GREEN) 대티까치 고개마을’ 사업은 1971년 대티터널 건설로 인해 정서적으로 분리되었던 대티·까치 두 고개마을에 녹색텃밭(2,025㎡), 녹색마당(800㎡) 등으로 고개마루를 조성하고, 하나의 ‘그린생활 공동체’로 묶어 재도약을 꿈꾸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241억 6천만 원으로 공공임대주택 15호·순환주택 3호 등 공유녹색 공동체를 조성할 예정이다.

 

  경제기반형은 도시재생 뉴딜사업 유형 중 가장 규모가 큰 사업으로 ▲영도구 대평동에는 6년 동안 총사업비 1천966억 원이 투입되어 대단위 도시재생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사업시행자로는 부산광역시와 부산도시공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참여하며 사업은 공공기관 공동제한 방식으로 추진된다. 부산시는 이번 프로젝트가 쇠퇴 위기의 조선산업이 고도화를 통해 산업 안정과 일자리 창출, 경제성장의 계기를 마련하고, 사업투자에 따른 약 5천709억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와 6천900여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부산시는 2017년도 시범사업에 선정된 4곳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총 11곳이 선정되어 국비 1천90억 원을 포함한 총 7천149억 원의 사업비로 낙후되고, 쇠퇴한 지역의 삶의 질 향상과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도시재생을 위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또한, 부산시는 내년 2월까지 「부산광역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구·군에서 도시재생사업을 계획하고 있는 지역을 위주로 쇠퇴도 등을 조사해 활성화 지역으로 지정할 방침이다. 이는 올해부터 국토부에서 우리동네살리기형과 공공기간 제안형을 제외한 다른 유형의 사업들은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내에서만 신청할 수 있도록 제한된 데 따른 것이다.


  아울러 올해 신청하지 못한 대상지는 부산시의 전략계획과 연계해 구·군에서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국토부에서 시행할 예정인 수시선정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역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국토부 선정 방향인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복합공간, 창업·주거 등의 복합 앵커시설 조성, 상생협력상가 공급, 스마트 도시재생 등을 포함하는 사업은 물론, 부산의 지역자산을 활용한 부산만의 도시재생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해 국비 확보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토부에서는 올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상·하반기로 나누어 총 98곳 내외를 선정했다. 상반기에 선정된 22곳은 지난 7월 활성화 계획을 승인해 국비 교부를 마치고, 사업에 착수하였으며 이번 하반기에는 76곳을 추가로 선정했다.




          

 

2019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19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부산시 선정현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22pixel, 세로 756pixel


      

    유형별 선정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유 형

지역

대상지

사업비

비고

마중물사업

LH

국비

시비

구비

광역선정

우리동네살리기

부산진구

부암1

10,350

4,000

2,000

2,000

2,350

‘19 상반기

우리동네살리기

사상구

괘법동

14,124

4,728

2,364

2,364

4,668

‘19 하반기

우리동네살리기

남구

용호동

16,174

5,237

2,618

2,619

5,700

‘19 하반기

주거지지원형

사하

괴정동

24,163

8,000

4,000

4,000

8,163

‘19 하반기

일반근린형

수영구

수영동

37,890

8,000

4,000

4,000

21,890

‘19 상반기

중앙선정

경제기반형

영도구

대평동

196,690

25,000

25,000

-

146,690

‘19 하반기

 

 

 

299,391

54,965

39,982

14,983

189,461

 


              선정사업 세부현황

(광역  1 광역선정/우리동네살리기) 부산진구

사 업 명 : 바위동산이 숨트는 신선마을


위 치 : 부산진구 부암1

321-128번지 일원

대상면적 : 49,734

사 업 비 : 10,350백만원

(국비 4,000, 지방비 4,000, 기타 2,350)

사업내용 : 폐가정비28,노후 주택정비15,친환경리모델링25,

마을공유센터, 마을공유주차장,

숨트는정비,안전한 마을만들기 등

  

(광역                                                                          

(광       (광역선정/우리동네살리기) 사상구                        

사 업 명 : 경부선 철길따라 행복따라

괘내생태문화마을


위 치 : 사상구 괘법동 468번지 일원

대상면적 : 56,549

사 업 비 : 14,124백만원

(국비 4,728, 지방비 4,728, 기타 4,668)

사업내용 : 순환형 임대주택, 클린하우조성, 안심마을구축, 놀이주차장, 어울림공간

 

 

                                                                                

(광역선정/우리동네살리기) 남구

사 업 명 : ‘용호대가족프로젝트


위 치 : 용호동 521번지 일원

대상면적 : 54,589

사 업 비 : 16,174백만원

(국비 5,237, 지방비 5,237, 기타 5,700)

사업내용 : 마을플랫폼 조성, 경로당리모델링, 생활문화센터, 안심상가조성, 공영주차장, 순환형임대주택, 스마트도시재생

 

 (광역선정/주거지지원형) 사하구

사 업 명 : 다시 그린(GREEN) 대티까지 고개마을


위 치 : 사하구 괴정동 193-17 번지 일원

대상면적 : 167,000

사 업 비 : 24,163백만원

(국비 8,000, 지방비 8,000, 기타 8,163)

사업내용 : 공동임대주택, 순환주택, 색마당텃밭공방조성

골목환경정비, 어울림플랫폼조성

 

 (광역선정/일반근린형) 수영구

사 업 명 : 도시거주민과 방문객을 위한 도시수영_도도 수영


위 치 : 수영구 수영동

284-1번지 일원

대상면적 : 136,356

사 업 비 : 37,890백만원

(국비 8,000, 지방비 8,000, 기타 21,890)

사업내용 : 어울림센터조성, 스마트 둘레 네트워크 구축, 좌수영성일원 특화경관 조성+생활형 SOC인프라조성, 상생역량강화, 사업모니터링 및 성과관리


            

(광역  (광역선정/경제기반형) 영도구

사 업 명 : 근대 조선산업의 1번지,

태평동 해양산업의 혁신기지로

전환하다


위 치 : 영도구 대평동2119번지 일원

대상면적 : 480,000

사 업 비 : 196,690백만원

(국비 25,000, 지방비 25,000, 기타 146,690)

사업내용 : 수리조선 혁신센터 구축, 메탈메이커센터조성, 수리조선기술센터조성, 선박 AR/VR가상화센터 조성, 깡깡이마을 환경개선사업 등

           

도시재생뉴딜사업[경제기반형]

근대조선산업의 1번지, 대평동

해양산업의 혁신기지로 전환하다

  위치도[영도구 대평동 2119일원]

         사업내용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