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 수산분야 저탄소 녹색성장 및 어가 경영안정을 위하여 2018년 총 사업비 15억 1천만원 투입하여 친환경 에너지절감 장비 및 시설 보급사업 추진
부산시는 수산분야의 CO2 배출량 절감을 통한 저탄소 녹색성장과 어가 경영안정을 위하여 연근해 어선어업인 및 양식어업인을 대상으로 『친환경 에너지절감장비 보급사업』 및 『친환경 에너지 보급사업』을 추진한다.
『친환경 에너지절감장비 보급사업』은 친환경 에너지 절감형 LED등, 기관․장비․설비 등 에너지절감장비 설치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설치를 희망하는 연근해 어선어업인을 대상으로 2018년 총 사업비 14억5천5백만원(국․시비 8억7천3백만원, 자부담 5억8천2백만원)를 투입하여 관내 선적 연근해어선 133척을 지원할 예정이다. 사업대상자로 선정된 어업인은 관할 구․군 및 수협과 협의하여 본인소유 어선에 신청한 장비를 설치 후 비용의 일부(60%)를 국․시비로 지원받는다.
부산시는 동 사업에 최근 3년간 377척의 어선의 에너지절감장비 설치를 지원하여 어업인의 안정적 조업기반 조성뿐만 아니라 저효율 해상 엔진 교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힘써왔다. 특히 노후된 기관․장비의 대체는 어선 해양사고 예방 효과가 높아 어업인의 만족도가 높은 사업이다.
한편, 『친환경 에너지 보급사업』은 신재생 에너지 이용기술을 활용한 에너지절감시설인 히트펌프 또는 인버터를 양식어가에 보급하여,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통해 친환경 녹색성장 및 에너지 이용비용 절감으로 어가 경영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다.
올해 총사업비 5천5백만원(국비․지방비 4천4백만원, 자부담 1천1백만원)을 투입하여 육상양식장 1개소를 대상으로 해수 취수용 인버터 설치를 지원한다. 이사업을 통해 양식어가의 전력사용 부담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시는 앞으로도 수산분야 온실가스 절감과 어가경영 개선을 위해 에너지 절감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 1 히트펌프의 원리 및 활용
히트펌프 개념
❍ 낮은 온도를 가진 물체로부터 열(HEAT)을 퍼 올려(PUMPING) 높은 온도를 가진 물체로 전달하는 기계라는 뜻에서 HEAT PUMP라 명명
☞ 히트펌프는 난방 시 낮은 온도(해수 7~10℃)에서도 열을 빼앗아 고온의 온도(사용수 20~30℃)에 열을 전달하는 기능
❍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압축기(Compressor) 전기 동력 소요
❍ 히트펌프는 일반 전기 제품(히타, 전기보일러등)이 단위전력 (kW)당 860kcal/h를 생산하는 것 대비 3~5배인 2,500~4,300Kcal/h 생산
※효율(COP) =
양식어업에서의 활용
❍ 바다는 지역에 따라서 수온의 차이가 있으나 혹한기에도 5℃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어 이러한 해수를 열원으로 이용 육상양식장, 종묘장에 공급
❍ 유수식 육상양식장, 종묘장의 가온배수(加溫排水)를 폐열원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음


<양식장 이용 방법> <히트펌프의 원리>
참고 2 인버터 원리 및 활용
에너지절감시설(인버터)의 개요
❍ (개념) 주파수 및 전압을 부하특성(조수간만의 차, 해수이용량)에 맞게 변화시켜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
❍ (원리) 소비전력은 회전수의 3승에 비례
* 유량은 회전속도에 비례 ⇒ Q ∝ N
* 정압은 회전속도 자승에 비례 ⇒ H ∝ N²
* 동력은 회전속도 3승에 비례 ⇒ P = H×Q ∝ N³
❍ (절감량) 에너지절감량은 모터회전수가 10%/20%/50%가 감소될 경우 소비전력은 27%/49%/88%가 절감됨
❍ (적용) 인버터 효율 및 기타 영향을 감안하여 55Hz 적용시 평균 20%, 50Hz 적용시 평균 37% 소비전력 절감이 가능함
양식어업에서의 활용
❍ (현황) 유수식 육상양식장의 특성상 다량의 해수를 육상으로 유입시켜 운영하므로 대용량의 모터펌프를 365일 24시간 FULL 가동으로 과도한 전력요금 발생
❍ (적용) 유인버터를 이용해 시시각각 변하는 해수면 높이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전력요금 절감


<인버터 원리> <인버터 설치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