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낙동강 하구 생태계 복원을 위한 첫 발을 내딛다 !



◇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Ⅰ단계 연구를 올해 12월부터 내년 9월까지 환경 · 국토 · 해수부, 부산시, 수공 공동으로 추진

◇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을 위한 실증실험 방안 마련 및 주변 영향 분석 등 수행

□ 정부는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을 통한 하구 생태계 복원을 위해 중앙부처, 지자체 등과 공동으로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Ⅰ단계 연구를 추진한다.

 ㅇ 이번 연구용역은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대한 대통령의 지역공약 및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첫 단계로, 환경부, 국토부, 해수부와 부산시, 수자원공사가 연구용역 공동시행 협약을 체결(11.9∼16) 한 바 있다.

□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는 Ⅰ단계와 Ⅱ단계로 나누어 추진되며, Ⅰ단계 연구는 올해 12월부터 내년 9월까지 3억원의 예산으로 진행된다.

   * 사전규격공개(11.24) → 입찰공고(12월초) → 평가 및 계약(12월말)
□ I단계 연구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으로 해수가 유통될 경우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하굿둑의 부분개방 실험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3차원 수치모형을 구축하여 시나리오별로 하천, 해양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ㅇ 하굿둑 개방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닷물이 하굿둑 수문을 통해 들어올 경우 하굿둑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수리모형실험 방안을 제시한다.

 ㅇ 지하수의 염분 침투가 인근 농작물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관련 연구자료를 취합·분석하고 지하수 영향에 대한 모니터링 및 검증방안을 마련한다.

 ㅇ 하굿둑 주변 환경(수질, 생태 등) 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고, 수문개방에 따른 장기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계획도 수립한다.

 ㅇ 하굿둑 개방으로 인한 주변 영향 및 구조물 안전성에 대한 분석 등을 토대로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실증실험 방안을 마련한다.

□ Ⅱ단계 연구는 이번 Ⅰ단계 연구결과를 토대로 ‘낙동강 하구 환경관리를 위한 실무협의회’* 논의를 거쳐 ’18년 하반기에 착수할 예정이며,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 시범운영(실증실험) 및 하구 생태복원 방안 제시를 최종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 ‘17.7월 환경부·국토부·해수부·농식품부, 부산시·울산시·경남도,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등 12개 기관으로 구성하고, 관계기관 협의회(2회) 및 실무담당자 회의 수시 개최

□ 정부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여 해수 유통을 통한 낙동강 하구의 기수역 조성 및 생태복원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환경부 수생태보전과 연제화 사무관(☎ 044-201-7041), 국토교통부 하천운영과 강한우 사무관(☎ 044-201-4821),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과 최재용 사무관(☎ 044-200-5287), 부산광역시 하천살리기추진단 박종렬 팀장(☎ 051-888-3593),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권역본부 전자훈 차장(☎ 053-668-1291)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I) 개요2. 낙동강 하굿둑 현황3. 전문용어 설명.  끝.

붙임 1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I) 개요
과업 개요
□ (과업명) 낙동강 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Ⅰ)

   * 과업내용에 따라 Ⅰ,Ⅱ단계로 나누어 추진

□ (과업기간) 계약일로부터 9개월(‘17.12∼’18.9)

□ (소요예산) 3억원(VAT 포함)

 ㅇ 국토·환경·해수부, 부산시, 수자원공사 간 협약체결 후 공동시행

   * 용역발주 등에 필요한 행정적 처리는 수자원공사에서 담당

□ 과업 주요내용

 ㅇ 하굿둑 개방에 따른 영향(하천, 해양 등) 검토 및 구조물 안전성 확보방안 마련

 ㅇ 지하수 염분침투로 인한 농작물 등 영향 분석·평가 방안 마련

 ㅇ 하굿둑 수문 개방 시범운영(실증실험) 방안 작성

 ㅇ 낙동강 하구역 생태·환경 등 모니터링

Ⅱ단계 연구용역 추진

□ Ⅱ단계 연구용역(‘18년 하반기 예정)은 Ⅰ단계 용역결과를 토대로 “낙동강 하구 환경관리를 위한 실무협의회*” 협의를 거쳐 추진

   * (구성) 환경·국토·해수·농식품부, 부산시, 울산시, 경남도,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등 12개 기관

 ㅇ (주요내용) 수리모형 실험(구조물 안전성 검증), 하굿둑 수문 개방 시범운영(실증실험), 수문 개방을 통한 기수역 조성 및 생태복원 방안 제시 등
Ⅲ향후 일정
□ 사전규격공개(11.24), 입찰공고(12월초), 평가 및 계약(12월말)

   * 각 절차별 소요기간에 따라 구체적인 추진일정은 변동될 수 있음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전진선 양평군수... “양평 서부의 미래를 열다”
민선8기 전진선 양평군수가 지난 3년간 양평의 관문인 서부권 도약을 위해 다져온 여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2026년 경기도 정원문화 박람회 대상지로 세미원, 두물머리가 선정되는 쾌거를 통해 국가정원으로 가는 교두보를 마련했고, 양평 최대규모의 국수역세권 도시개발 사업이 경기도의 승인을 얻어 양평 서부권 대전환의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는 평을 받는다. 군은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지역의 여건과 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전략을 실행해 양평 서부권 지역의 가치를 굳건히 하고 그 입지를 확고히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양평군수 세미원, 국가정원 향해 뛴다… 양평군 글로벌 정원도시 비전 가동 경기도 최초 지방정원인 세미원이 국가정원으로 도약할 채비를 갖추고 관련 절차 마무리에 하나씩 들어가고 있다. 양평군은 세미원과 두물머리를 거점으로 글로벌 정원관광 도시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양평군은 오는 9월까지 1만4천㎡ 규모의 세미원 전면부 시설개선사업을 실시한다. 세미원 주차장과 진입부 노후화에 따른 주민 불편사항을 해소하고 개방형 진입광장과 휴게시설을 조성해 다목적 녹지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2027년 내로 두물머리 생태학습장 조성지 및 가정천 일원을 편입하여 정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