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소안도에 사는 ‘소안해마(가칭)’의 성체를 확보하여 부화된 치어를 키우는 방식으로 최근 인공 증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성숙한 소안해마 2쌍을 소안도 인근 바다에서 올해 5~6월에 포획하여 사육용 수조에서 출산 시기와 유사한 온도를 유지하며 교미와 산란을 유도한 결과, 수컷 1마리당 약 25~50마리(월 1회)의 해마 치어를 방출하는데 성공했다.
□ 인공 증식으로 태어난 어린 소안해마는 성체와 격리되어 성장 단계별로 먹이를 공급받았으며, 약 50일이 지난 올해 8월 기준으로 생존율이 약 68%로 나타났다.
○ 일반적으로 치어 생존율이 약 30% 이상일 때 어류의 인공 증식에 성공했다고 보고 있다.
□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내년부터 매월 5백 마리의 소안해마를 인공 증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소안해마는 지난 2012년 4월 소안도 일대에서 전세계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후보종으로 현재 서식지 특성 및 생태 정보를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지금까지 국내에 알려진 해마종은 소안해마를 제외하고 산호해마, 점해마, 가시해마, 복해마, 해마, 신도해마, 히포캄푸스 켈로기(Hippcampus kellogii, 국명없음) 등 총 7종이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취약(VU) 또는 정보부족(DD)종으로 평가하고 있다.
※ IUCN 적색목록 멸종우려 범주: 위급(CR), 위기(EN), 취약(VU)
※ 취약(VU, Vulnerable): 야생에서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종
※ 정보부족(DD, Data Deficient): 멸종을 평가하기에 정보가 부족한 종
○ 일부일처제로 알려진 해마는 번식기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꼬리를 감은 상태에서 교미를 하며 암컷은 수컷의 배에 있는 보육낭(brood pouch) 속에 산란한다.
○ 이후 수컷은 수정란을 돌보고 부화시킬뿐만 아니라 태어난 새끼가 독립할 수 있을 때까지 자신의 보육낭에서 키워 약 0.7cm 정도까지 성장한 약 30~70개체의 치어를 출산한다.
○ 해마는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적색목록(Red List) 및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따라 세계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 이규성 다도해해상국립공원사무소장은 “인공 증식을 통해 태어난 소안해마를 서식지인 거머리말 군락지에 다시 놓아주는 사업을 통해 해양생태계 건강성을 회복시키고 소안도 일대가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생물의 안식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