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제3기(2017년~2018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 조사 과정 중에 양치식물인 ‘물석송‘의 자생지를 전라남도 완도군 일대에서 최근 확인했다고 밝혔다.
○ 이번에 확인된 물석송은 석송과(Lycopodiaceae)에 속한 식물로 자생지 면적은 400㎡ 내외, 개체 수는 약 500여 개로 안정적인 개체군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물석송은 80여년 전인 1936년 제주도에서 채집된 표본을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그간 실체를 한 번도 확인할 수 없었으며, 채집자 등 구체적인 정보가 남아 있지 않아 우리나라에서는 절멸한 것으로 여겨졌던 종이다.
□ 물석송은 전세계 열대, 난대 지역에 두루 분포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그간 발견되지 않았다.
○ 키가 작고 땅에 누워서 자라는 물석송은 주로 습지 가장자리에서 서식하고 자생지가 매우 한정적이며, 생장조건이 까다로워 보전가치가 매우 높은 식물이다.
□ 국립공원관리공단은 80여년 만에 실체를 드러낸 물석송을 통해 양질의 표본 자료를 확보하고 생태적 특징 및 서식 정보 등을 파악할 예정이다.
○ 또한, 발견 장소인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군 일대를 국내 유일의 물석송 자생지로 기록했다.
□ 나공주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이번에 발견된 물석송 자생지는 난개발로 쉽게 사라질 수 있는 환경으로 서식지 보전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정밀조사 및 연구에 착수할 것”이라며, “과거 기록상에만 존재했던 생물의 발견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의 폭을 증가시키는 의미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붙임 1. 물석송 생물정보.
2. 관련사진.
붙임 2
물석송 생물정보

2017년 발견된 물석송
*다른 석송류와 비교하여 포자낭수가 아래로 처지는 특성이 있다
(포자낭수: 가지 끝 연한녹색부분)
○ 물석송은 키가 작고 땅에 누워자라며 물이 있어야 (유성)번식이 가능한 특성 탓에 습지 가장자리에서 살아간다. 게다가 토심이 얕고 양지의 습한 (큰 키 식물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라야 오랫동안 살아갈 수 있어 자생지가 까다롭다.

○ 물석송은 석송과(Lycopodiaceae)의 양치식물로 국내에는 석송속과 물석송속을 합쳐 5 분류군(석송, 비늘석송, 만년석송, 개석송, 물석송)이 있다

※ 그리스어로 lycos(늑대) + pous(발)로 늑대의 발처럼 생겼다하여 속명이 붙여짐
○ 잎과 뿌리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육상에 처음 고생대 석탄기(약 3억4천만 년 전) 화석이 있음
으로 올라 온 관속식물로 여겨지고 있다.

○ 따라서 국내 자생하는 유일의 1속(물석송속) 1종(물석송)인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