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10월 도래한 38만 마리 겨울철새 대상 AI 예찰 강화

◇ 기러기류 위주로 도래하여 10월 중순 기준 38만 마리 관찰
◇ 현재 가금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야생조류 AI는 7건 검출(4건 저병원성 확진, 3건 분석 중)


□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10월 13일부터 15일 간 전국 80곳의 주요 철새도래지에서 실시한 동시센서스 결과, 전국적으로 176종 38만 2,919마리의 겨울철새가 도래한 것을 확인했으며, 야생조류인플루엔자(AI)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 금년에 현재까지 도래한 겨울철새 중 오리․기러기․고니류 등 24종이 전체 개체수의 76.5%인 29만 2,800마리이며, 9월말부터 도래하기 시작한 기러기류가 20만 마리로 가장 큰 개체군을 차지하고 있다. 
 ○ 도래한 총 개체의 수는 같은 시기에 186종 50만 개체가 관찰된 2016년에 비해 12만 개체가 적게 관찰되었고, AI 민감종인 오리․기러기․고니류의 도래 개체(29만)는 2016년(32만)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환경부는 10월 말부터 오리류가 본격 도래하면서 12월~1월 사이에 최대 개체군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올해 1월 동절기에는 최대 133만 마리가 관찰된 바 있다. 
<도래 철새 개체수 비교>

구분
2017.10월
2016년 10월
총 도래개체 수
382,919
503,619
기러기류
194,959
193,219
오리류
97,840
126,229
□ 환경부는 국내에 도래한 철새가 걸렸을 수도 있는 AI가 가금류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농가방역도 지원하고 있다.
 ○ 오리·기러기 등 AI 민감 종의 국내 도래시기, 분포와 이동현황, 야생조류 AI 검사결과 등의 정보를 농림축산검역본부, 지자체 등 방역당국에 제공하고 있다.
   * 국립환경과학원 ’16/17동절기(10월∼5월) 야생조류 분변 44,305점, 폐사체 1,175개체 수집․분석, 야생조류 고병원성 AI 42건 검출(폐사체 31건, 분변 11건)

□ 9월부터 현재까지 가금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야생조류 AI(H5형, H7형)는 7건이 검출되었으며, 이중 4건은 저병원성*으로 확진되었고 고병원성 AI**는 아직까지 검출되지 않고 있다.   
    * 저병원성 확진(4건) : H7N7형 1건(경북 영천, 환경과학원 채집), H5N3형 3건(화성1, 서울2, 검역본부 채집)
    ** ‘16년의 경우 고병원성 AI는 10.28 채집된 분변에서 최초 검출

 ○ 아울러, 10월 11일 국립환경과학원이 전북 익산시 만경강 일대에서 채집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검출된 H5형 AI 3건에 대해서 중간결과를 농림축산식품부에 10월 19일에 알려 농가 차단방역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했다. 
    * 농식품부는 H5형과 H7형 AI 검출시 병원성과 관계없이, 주변지역 10km를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설정하고 지역내 가금류의 이동을 제한(저병원성 확진시 해제)

 ○ 국립환경과학원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바이러스의 고병원성 여부와 N형 타입을 10월 21일 확진할 예정이다.

□ 환경부는 겨울철새가 10월말 경 대규모 도래 후 연말까지 최대 개체수를 이루게 될 것을 고려하여, 철새 예찰 및 시료 검사와 분포 예찰을 신속하고 철저히 이행할 예정이다.

 ○ 또한, 지방환경청도 예찰에 참여하여 주요 철새서식지 80곳에 대해 월평균 2천점에서 4천점으로 분변검사를 확대하고 있다. 

 ○ 아울러 야생동물 질병진단기관을 올해 8월 13개소를 지정하여 폐사체나 이상행동 조류를 발견할 즉시 가까운 기관으로 이송하여 신속한 검사가 될 수 있도록 제도도 개선한 바 있다.
   * 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춘 수의과대학과 시·도 가축방역기관을 대상으로 야생동물 질병진단기관을 지정(13개소, ’17.8)

붙임  1. 겨울철 조류동시센서스 결과.
     
참고  1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결과(10월)

조사 개요
   조사일시 : ’17. 10. 13 ~ 10. 15
   조사인원 : 39개팀 81명
   조사지역 : 주요 철새도래지, 야생조류 AI 검출지역 등 환경부 예찰지역 80개소(붙임 1)

조사 결과
   (전체 종수 및 개체수) 전체 80개 지역에 대한 조사 결과 총 176종 382,919개체의 조류 확인(붙임 2)
   - 오리‧기러기‧고니류 전체 292,800개체(전체 개체수의 76.5%) 중 기러기류 194,959개체, 오리류 97,840개체 확인   
   (지역별 현황) 관찰 개체수가 많은 지역
   - 개체수가 많이 관찰된 지역은 철원평야(49,592개체), 부남호(49,546개체), 시화호(45,362개체), 간월호(40,335개체) 등(붙임 2)
   - 기러기류는 주로 철원평야(46,414개체), 부남호(44,296개체), 간월호(32,932개체) 등 경기‧충남 지역에 도래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석문간척지, 화성호, 대호에서도 10,000개체 이상 확인(붙임 3)
   - 오리류는 시화호(27,494개체), 낙동강하구(6,651개체), 낙동강하류(4,409개체), 화성호(3,281개체), 간월호(3,019개체) 등(붙임 3)
   (종별 현황) 개체수가 많이 기록된 종은 쇠기러기(110,040개체), 큰기러기(84,794개체), 흰뺨검둥오리(36,480개체), 물닭(19,721개체), 홍머리오리(15,161개체), 흰죽지(11,999개체) 등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남양주시 화도도서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에 선정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화도도서관이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주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의 시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시니어 북스타트’는 그림책을 매개로 한 인문학 활동을 통해 고령층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전국 단위 공모사업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전국 15개 기관만이 선정됐으며, 경기도 내에서는 화도도서관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화도도서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5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그림책 낭독 △삶의 이야기 나누기 △세대 공감 인문학 워크숍 등 총 4차례의 그림책 기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책꾸러미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물품 일부는 책읽는사회문화재단으로부터 지원받으며, 프로그램에는 전문 강사도 함께 참여한다. 프로그램은 정서적 소외를 겪기 쉬운 시니어 세대에게 독서를 통한 심리적 위로와 사회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가족 간 소통을 촉진하고, 지역 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도도서관은 지역사회 내 시니어 삶의 질 향상과 평생학습 지원이라는 취지 아래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해 왔다. 2024년 기준 화도읍의 5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전체의 35%로, 전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