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36개 품목 구매 비용은 전통시장 18만원, 대형마트 23만원 수준
* 무, 배추 추석 출하물량 증가하고 정부 비축물량 풀리며 전주대비 각각 2%, 9% 내림세 형성
* 오징어는 어획부진과 재고물량 부족으로 강세 유지, 부세(수입산)는 국내산 참조기 수요를 대체하며 강세 지속
* 전통시장 이용 시 대형마트 대비 시금치·대파·고사리·동태·부세 등 저렴하게 구매 가능
공사 누리집(www.garak.co.kr)에서 추석 성수품 지수 및 가격동향 제공 중
□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박현출, 이하 ‘공사’)가 2차 추석 차례상차림 비용을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 182,144원, 대형마트 231,213원, 가락몰 173,780원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2차 조사는 9월 13일에서 14일까지 이틀간 이루어졌으며, 서울시내 25개구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가락몰 등 총 61곳의 36개 추석 성수품 구매비용을 비교하였다.
□ 전통시장 구매비용은 1차 조사에 비해 약 2% 가량 감소하였는데, 이는 무, 배추와 나물류(고사리·도라지·시금치) 등 일부 품목의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무, 배추는 추석을 앞두고 산지 출하물량이 점차 증가하고 정부 비축물량이 공급됨에 따라 전주대비 각각 2%, 9% 낮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또한 금년 여름 폭염과 잦은 우천으로 출하량이 감소하며 높은 시세를 형성한 애호박도 1차 조사에 비해 가격은 소폭 하락하였다.
사과와 배 등 과일류는 1차 조사 결과와 비슷한 시세로 형성되었으며, 추석 성수기에 접어들며 집중 출하가 이뤄질 것으로 보아 시세는 안정세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산부류 중 오징어는 동해안지역 어획 부진과 재고물량 부족으로 시세는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부세(수입산) 또한 국내산 참조기의 수요를 대체하며 1차 조사대비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다.

□ 자치구별로는 강남구․관악구․광진구가 25개 자치구 평균대비 높은 편으로 조사된 반면, 구로구․동대문구․도봉구는 비교적 낮은 편으로 조사되었다.
□ 한편, 전통시장을 이용할 경우에 알뜰하게 구입할 수 있는 품목은 고사리․도라지(수입) 등 나물류로 각각 대형마트 대비 48%, 54% 수준이다. 무․동태(어탕용)․돼지고기 또한 대형마트에 비해 약 20% 가량 알뜰하게 구입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가락몰에서 구매할 경우, 비용 부담이 큰 육류(쇠고기․돼지고기)가 대형마트에 비해 약 30% 이상 저렴하고, 기타 시금치와 대파, 애호박 등 채소류를 구매할 경우에도 비용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공사는 9월 15일부터 공사 누리집(www.garak.co.kr)을 통해 사과와 배, 명태 등 주요 추석 성수품에 대하여 가격 지수와 일일 경락정보를 제공 중이다.
붙임 추석 차례상차림 비용 비교(2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