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깨끗한 바다에서 사는 종으로 과거 남해안에서 흔히 발견됐으나 어업용 로프 등으로 쉽게 훼손돼 서식지 줄어들어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금오도 지구 등 3곳의 섬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인 유착나무돌산호가 살고 있는 것을 최근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규모가 작고 바위로 이뤄져 접근성이 떨어진 해상․해안국립공원 내 409곳의 무인도를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생태계를 정밀 조사하고 있다.

유착나무돌산호 서식지는 올해 8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에 속한 28곳의 무인도를 조사하는 과정 중에 발견됐다.

이번에 서식지 3곳에서 발견된 유착나무돌산호는 수심 22m에 크기가 70㎝×40㎝ 이르는 대형 군체 1개, 수심 25m에 크기가 40㎝×30㎝ 이르는 중형 군체 3개, 수심 15m~26m에 크기 30cm×25cm 이하 12개 등 총 16개 군체다.

단단한 나무모양의 골격과 주황색 체색, 노란색 촉수가 특징인 유착나무돌산호는 깨끗한 바다에서 사는 나무돌산호과에 속한 종으로 과거에는 우리나라 남해안과 동해안에서 흔히 발견됐으나 어업용 로프, 폐어구 등에 의해 쉽게 훼손되어 점차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6월 독도에서 국내 최대 규모(5m×3m)의 유착나무돌산호 군집이 발견됐으며, 2002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1곳의 섬과 전남 여수시 1곳의 섬, 2011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3곳의 섬과 전남 완도군 1곳의 섬, 2012년도에 한려해상국립공원 1곳의 섬, 2014년 울릉도, 2016년 통영시 한산도 등에서도 각각 서식이 확인된 바 있다.
한편,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지난해 다도해해상, 태안해안, 한려해상 등 해상․해안 국립공원 내 무인도 22곳의 생태계를 조사한 결과, 신종후보 1종(말미잘류), 국내 미기록종 6종(꼬리풀류 1종, 말미잘류 1종, 이끼벌레류 2종, 조개사돈류 1종, 연체류 1종), 멸종위기 야생생물 6종(풍란, 매, 새호리기, 물수리, 섬개개비, 수달) 등이 발견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들 생물들이 발견된 서식지를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일반인의 출입을 금지하는 등 중요 자연자원을 보전하고 있다.

김철도 국립공원관리공단 해양자원부장은 “올해 40여 곳의 해상·해안국립공원 내 무인도를 추가로 조사하고 2020년까지 총 409곳의 국립공원 내 무인도에서 생태계 정밀조사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전문용어 설명
군체(群體, Colony)
여러 개의 개체(individual)가 서로 모여 생활하는 형태를 보이는 생물체, 분열이나 출아법에 의한 무성생식으로 생긴 새로운 개체가 서로 몸의 일부분 또는 몸에서 외측으로 분비한 구조(골격)에 의해 연결되고 개체간의 영양섭취, 자극에 대한 반응에 유기적으로 반응한다.
군집(群集, Community)
일반적으로 일정한 지역 내에 생활하는 모든 생물개체군의 모임을 말하나 이 경우 특정종이 밀집하여 서식하는 경우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군락, 동물은 군집이라고 표현한다.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이란 국립공원 내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의 자연적․인위적인 영향으로부터 중요 생물 서식지를 보호, 안정화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탐방객 수를 제한하여 공원자원을 보전 . 관리하는 제도이다.
붙임 2
질의응답
국립공원내에는 몇 개소의 무인도서가 있나요?
해상·해안국립공원에는 총 736개의 유·무인도서가 있으며, 유인도서 102개소, 무인도서 634개소가 있습니다. 무인도서에는 환경부 지정 특정도서 27개소도 포함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중 규모가 작고 바위로 이뤄져 접근성이 떨어진 해상․해안국립공원 내 409곳의 무인도를 대상으로 2020년까지 생태계를 정밀 조사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