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나’와 나의 ‘일상’은 자유롭고, 또 아름답다.

예술, 청년에게 질문하다. 2017 <DMZ 2.0 ARTS&FORUM>
자이언티&이하이 콘서트, 장항준·심상정·장기하와 얼굴들·박지선 출연



새로운 문화예술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DMZ(Dream Making Zone)2.0 ARTS&FORUM>이  경기도문화의전당(사장 정재훈)에서 9월21일부터 23일까지 열린다. 2017 <DMZ 2.0 ARTS&FORUM>의 주제는 “I AM FREE”로  ‘나’와 ‘일상’을 조명한다. 공연과 강연은 물론 아트마켓과 야외 콘텐츠 행사 등 다양한 볼거리와 생각거리로 경기도민을 만난다.

분단에서 창조로”(2015), “분단에서 화합으로”(2016)라는 거대한 주제로 맥을 이어왔던 <DMZ 2.0 ARTS&FORUM>은 이제 ‘나’를 돌아보는 기회를 마련한다. 2016년부터 올해 초까지 이어진 혼돈의 정국 속에서 우리는 ‘나’와 ‘일상’을 버리고 광장으로 나가 촛불 앞에 섰다. 이제는 일상 안에서 내가 어디까지 와 있는지를 돌아보기 위해 ‘나’를 위한 공간과 시간이 필요한 때이다. 경기도문화의전당은 이런 흐름 가운데 2017 <DMZ 2.0 ARTS&FORUM>의 슬로건을 “I AM FREE”로 정하고, 나의 자유로움을 통해 삶을 되짚고, 나아가 미래를 그리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포커스는 ‘예술과 청년’. 현대사회의 일상을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는 청년들에게 예술의 의미에 대해 함께 공감하고, 경기도 청년 작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일상과 예술의 조화를 시도한다. 

먼저 9월 21일(목) 자이언티와 이하이의 공연으로 첫 문을 연다. 자신만의 소울과 음악적 감성을 당당히 드러내며 독보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는 두 아티스트의 무대를 통해 즐겁고 자유로운 일상을 선사한다. 

9월 22일(금)에는 청년 예술에 대한 진지하고도 발랄한 토론이 개최된다. 개그우먼 박지선의 사회로 영화는 물론 각종 예능을 통해 기발함과 발랄함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는 영화감독 장항준, 지난 대선정국을 뜨겁게 달궜던 심블리 심상정 국회의원, 대세밴드 잔나비, 그리고 대한민국 대표 청년밴드 장기하와 얼굴들이 출연해 예술과 대화가 어우러진 무대를 만든다. 알앤비, 소울, 락 등 경계를 허무는 다양한 장르의 공연과 관객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킬 강연까지 준비되어 있다. 

또한 경기도 청년 작가들과의 협업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공간을 탄생시킬 예정이다. 경기도문화의전당은 그간 DMZ2.0 프로젝트를 통해 DMZ(De Militarized Zone)가 가진 아픔의 공간을 Dream Making Zone으로 인식을 전환시켜왔다. 2017 <DMZ 2.0 ARTS&FORUM>은 경기도문화의전당 야외광장을 Dream Making Zone으로 탄생시킨다. 스토리텔링과 아트웍이 결합된 공간으로 거듭나게 될 야외광장에서는 우주식물 키우기, 독립출판페어, 3D 프린팅 체험, 스마트보물찾기, 나이트 아트마켓, 버스킹 공연, 디제잉, 버스킹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야외 프로그램은 9월 21일(목)부터 23일(토)까지 이어지며 나이트마켓도 운영된다.

경기도문화의전당의 <DMZ 2.0 ARTS&FORUM>은 2015년부터 개최되어 온 프로젝트로 올해 3주년을 맞는다. 2015년에는 <분단에서 창조로>라는 주제로 스티브워즈니악, 정재승, 진중권 등 국내외 석학들과 폴포츠, 잉거마리, 성시경, 국카스텐 등 뮤지션들과 함께 멈춰버린 분단의 상징 DMZ 한계를 극복하고 창조적 연결성을 통해 Dream Making Zone으로 의미 전환을 시도했다. 또한 지난해에는 <분단에서 화합으로>이라는 주제 하에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디지털 콘텐츠와 과학이 함께 만들어 나가는 융복합 콘텐츠를 개발하고 실험했다. 데니스 홍, 윤여준, 진중권, 이준석, 김성경, 봄여름가을겨울, 노브레인 등이 참여 했으며 특히 서울예술대학교와의 관학협력을 통해 <뉴폼아트융복합퍼포먼스 ONENESS,와 500여명이 함께하는 관현악 대편성곡 <하나>라는 곡으로 인터렉티브 미디어 퍼포먼스와 한국 문화예술의 미래상을 제시했다. 

경기도문화의전당 정재훈 사장은 “<DMZ 2.0 ARTS&FORUM>은 역사 인식을 토대로 현대사회를 되돌아보는 기회를 갖고 그 안에서 문화예술의 의미와 역할을 되새기고자 시도하는 프로젝트”라며 “올해는 대한민국 청년들을 중심으로 예술과 삶의 조화를 통해 자유롭고 행복한 일상을 누리는 미래를 제시해보고자 한다”는 취지를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남양주시 화도도서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에 선정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화도도서관이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주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의 시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시니어 북스타트’는 그림책을 매개로 한 인문학 활동을 통해 고령층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전국 단위 공모사업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전국 15개 기관만이 선정됐으며, 경기도 내에서는 화도도서관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화도도서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5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그림책 낭독 △삶의 이야기 나누기 △세대 공감 인문학 워크숍 등 총 4차례의 그림책 기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책꾸러미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물품 일부는 책읽는사회문화재단으로부터 지원받으며, 프로그램에는 전문 강사도 함께 참여한다. 프로그램은 정서적 소외를 겪기 쉬운 시니어 세대에게 독서를 통한 심리적 위로와 사회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가족 간 소통을 촉진하고, 지역 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도도서관은 지역사회 내 시니어 삶의 질 향상과 평생학습 지원이라는 취지 아래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해 왔다. 2024년 기준 화도읍의 5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전체의 35%로, 전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