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한국 뷰티, 세계 5위 대만 시장서 1,340만 불 수출길 확보



K-BEAUTY EXPO 대만, 타이베이서 25~28일 개최
타이베이 미용미체전과 연계, 국내기업 65, 해외기업 130곳 참여 320개 부스 마련
바이어 사전등록 서비스 / 통역원 무상지원
G마켓 글로벌샵 입점 지원 등 
행사 결과 43,231명(동시개최행사 참관객 포함시 총 228,327명) 방문
1,960건 1,340만 불 수출상담 실적 거둬
 
대한민국유망 뷰티기업 65개사가 지난 25~28일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서 열린 ‘K-뷰티 엑스포 대만 2017’에서 인구 15억, 범 중화권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하고 돌아왔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대만 탑 링크(TOP-LINK)사와 킨텍스가 주관하여 대만 타이베이세계무역센터(台北世界貿易中心, TWTC)의 총 2만3천여㎡ 규모 전시장에서 진행되었다
대만에서 개최된 최초의  K 뷰티산업 전문 박람회라서 의미가 있었던 이번 전시회에 방문한 관람객 수는 총 43,231명, 상담실적은 1,960건, 1,340만 달러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계약 유력비율은 56%로 약 745만 달러의 계약을 지속 검토하고 있으며 현장   계약실적은 145만 불을 달성했다. 
박람회에는 뷰티한류를 선도하는 국내 뷰티산업 강소기업 65개사와 해외 130개사가  참여해 총 320개 부스를 마련, 화장품, 헤어, 네일, 바디케어, 향수, 피트니스 등 현재 중화권 시장의 소비트렌드에 맞춘 엄선된 제품들을 선보여 현지 바이어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특히 대만 최대 미용전시회인 ‘타이베이 미용미체전(2017 台北美容美體展)’과 연계해  바이어와 참관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경기되는 참가기업 비즈니스 성과 극대화를 위해 대만의 탑링크社의 도움을 받아 대만 로컬 바이어의 사전등록을 받아 수출상담을 주선하였고, 전시기간 4일 내내 통역원을 무상으로 제공해 참가업체들의 전시운영을 지원했다.
그중, 대만 H&B스토어 ‘왓슨스’, ‘코즈메드’의 ’ 판매담당 이사 등 유력 MD들이 다수의 한국 부스를 방문하여 수출상담을 진행하였다. 특히 쿠션파운데이션, 이너웨어 퍼퓸 등 독창적이고 차별성 높은 K-BEAUTY 브랜드 제품에 큰 관심을 가졌으며, ‘엘모어’, ‘DSB코스메틱’, ‘바노바기’ 등과의 협력방안을 논의하였다.
경기도 소재업체 ‘애드홈’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대만 시장의 여러 신규 에이전트와   상담하였고, 홍콩에서 방문한 바이어와의 계약을 체결하였다. ‘제이디와이-엠이에스’   또한 전시기간 우수 바이어를 발굴하였고, 계약 체결을 목전에 두어 이번 전시회 참가의 목표를 100% 달성하였다고 전했다.
비티랩의 경우, B2C와 B2B 모두 소기의 성과를 올린 업체이다. 600만원 상당의 샘플을 현장에서 소진했을 뿐만 아니라, 대만 현지 여성들의 피부고민을 보다 생생하게 들어 바이어 발굴전략을 새롭게 수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김정문 경기도 특화산업과장은 “대만에서 처음으로 개최한 K-뷰티 박람회를 통해 한국 업체의 브랜드와 제품을 현지에 생생하게 알렸으며, 대만은 물론 세계인들이 대한민국 뷰티 제품의 우수성을 체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며, “앞으로도 신흥시장 개척 및 수출 다변화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책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딸기가 지하보도에서 자란다고?… 고양시, 스마트팜 도시 선언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도심형·농촌형 스마트팜을 병행 추진하는 농업 혁신 전략을 입체적으로 펼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지하보도에 수직형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화 온실과 스마트팜 보급 확대에도 집중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지난 2일 도심형 스마트팜 4곳을 차례로 방문해 다양한 기술 기반 농업 모델을 점검하고 스마트농업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민간 기술과 현장 경험이 결합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하고, 지하보도 스마트팜 등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시민친화공간을 조성하겠다”며 “나아가 도시계획 관점으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미래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스마트농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지하보도 딸기는 어떤 맛일까… 고양시, ‘도심형 스마트팜’ 실험 첫선 고양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하보도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민간기업 ㈜착한농부의 전액 투자(5억 원)로 238㎡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설치를 마치고 지난 15일에 딸기 모종 3,420주를 심었다. 이 스마트팜은 이용률이 줄어든 도로 시설 지하보도를 활용한 전국 첫 사례로, 적법성과 안전성 등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