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따오기가 사는 우포늪, 국제적 모범지역으로 인증 추진



람사르습지도시로 인증 신청을 하기 위한 국내 후보지역으로 선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따오기 313마리로 증식

낙동강유역환경청(청장 송형근)과 창녕군(군수 김충식)은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의 국내 이행을 위한 국내 후보지역으로 창녕군 우포늪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는 환경부에서 발의하여 2015년 6월에 채택된 람사르협약 결의문으로, 환경부는 올해 6월 30일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을 신청할 국내 내륙습지 후보지역으로 창녕군 우포늪, 제주시 동백동산, 인제군 대암산 용늪 등 3곳을 선정하였다.
   연안습지 후보지는 해양수산부에서 자체 선정 중

국내 내륙습지 후보지 3곳은 연안습지 후보지와 함께 환경부에서 오는 10월까지 람사르협약 사무국에 인증신청서를 제출하며, 람사르협약 사무국의 검토를 통과할 경우 2018년 10월 두바이에서 열리는 제13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인증서를 수여 받게 된다.

창녕군은 그동안 우포늪을 습지보전과 현명한 이용에 참여하는 모범적인 지역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2015년부터 환경부의 지원을 받아 람사르협약에서 정하는 람사르습지도시 인증기준에 부합되기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해 왔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창녕교육지원청, 경상남도람사르환경재단, 경상남도과학교육원, 지역 주민, 시민․환경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지역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습지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한 추진방안을 협의했다.

아울러 창녕군 유어면 세진마을(따오기 품은 세진마을), 이방면 장재마을(우포늪 기러기마을), 대합면 주매마을(교과서에 나오는 우포늪 반딧불이 마을), 대합면 신당마을(우포가시연꽃마을) 등 특색 있는 마을을 조성하여 습지 보전 활동에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

이 외에도 우포늪 생태계 보전, 생물다양성 증진, 훼손된 습지 복원 등 다양한 시범사업을 충실히 수행하여 람사르습지도시 국내 후보지로 선정되는 결실을 맺었다.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따오기를 증식·복원하고자 2008년 우포따오기복원센터를 만들었다.

중국에서 2008년 따오기 1쌍(수컷 양저우, 암컷 룽팅)을, 2013년에 수컷 2마리(바이스, 진수이)를 기증받아 올해 6월 기준으로 313마리로 증식시켰다.

올해 3월에는 군내 14곳 읍면 285곳의 마을이장, 자문위원, 7개 실무추진반 등 337명으로 구성된 ‘창녕 우포 따오기 야생방사 추진협의회’를 발족하여 범군민적인 관심과 동참을 이끌고 있다.

협의회는 따오기 야생방사 지원, 따오기 서식기반 구축, 친환경농업 확산, 깨끗한 물환경 조성과 오염원 관리, 주민인식 변화를 위한 교육․홍보 등 우포따오기 야생방사 준비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할 예정이다.

노수열 창녕군 생태관광과장은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을 받으면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우포늪 일대를 미래세대가 함께 할 수 있는 국제적 생태도시로 거듭나게 할 것”이라며, “따오기의 야생방사 준비에도 만전을 기하여 우포늪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붙임  1.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
        2. 따오기 증식 및 복원센터 현황.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  

람사르습지도시(Wetland City Accreditation of the Ramsar Convention)
람사르습지 인근에 위치하고, 습지 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지역사회가 모범적으로 참여․활동하는 도시(마을)로서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최종 인증 받은 도시(람사르협약에서 인증)
제48차 상임위(‘15.1)에서 한국․튀니지 공동 발의하여 제12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15.6.9, 우루과이)에서 결의문으로 채택

(참고) 람사르협약
물새서식처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The 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
(약칭) 습지에 관한 협약(Convention of Wetands), 람사르협약(Ramsar Convention)
습지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촉구하는 국제협약. '71년 2월 이란의 람사르에서 채택. 우리나라는 '97년 3월에 101번째로 가입('97년 7월 발효). 우리나라는 인제 대암산용늪, 창녕 우포늪, 순천만 등 22개소를 람사르습지로 등록

람사르습지도시 인증기준(람사르협약에서 정한 6개 인증기준)
①람사르습지와 연계성(위치), ②습지 생태계서비스 보전방안, ③습지 복원․관리방안, ④습지 통합적 보전계획(토지․공간이용), ⑤습지 혜택․서비스 교육․홍보(습지교육센터 등 설치․운영), ⑥습지도시 관리, 인식증진 등을 위한 지역공동체(지역위원회) 구성․운영 

인증절차(람사르협약에서 정한 시간계획)
당사국 인증신청서 제출(‘17.10)→람사르협약 독립자문위원회 검토․결정('17.12)→상임위 보고(’18.2)→제13차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 인증서 교부(’18.10, UAE, 6년간 인증)

람사르습지도시 인증(도입) 기대효과
(대외) 제도 제안국으로서 국제 협약 선도적 이행, 국제사회 위상 강화 
람사르습지도시에 대한 협약 당사국들의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상황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남양주시 화도도서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에 선정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화도도서관이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주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의 시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시니어 북스타트’는 그림책을 매개로 한 인문학 활동을 통해 고령층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전국 단위 공모사업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전국 15개 기관만이 선정됐으며, 경기도 내에서는 화도도서관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화도도서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5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그림책 낭독 △삶의 이야기 나누기 △세대 공감 인문학 워크숍 등 총 4차례의 그림책 기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책꾸러미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물품 일부는 책읽는사회문화재단으로부터 지원받으며, 프로그램에는 전문 강사도 함께 참여한다. 프로그램은 정서적 소외를 겪기 쉬운 시니어 세대에게 독서를 통한 심리적 위로와 사회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가족 간 소통을 촉진하고, 지역 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도도서관은 지역사회 내 시니어 삶의 질 향상과 평생학습 지원이라는 취지 아래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해 왔다. 2024년 기준 화도읍의 5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전체의 35%로, 전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