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해신공항 개항과 연계 2026년 개통 예정
지하고속도로 건설로 통행시간 30분 이내 단축(김해신공항~해운대 벡스코)
민간이 정부(국토교통부)에 제안사업, 국비 4,000억 유치효과
총 2조원 투입“4만명 고용효과 및 5조원의 생산유발 효과”기대
김해신공항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은 김해신공항 접근성 향상을 위해 남해고속도로와 부산·울산고속도로를 대심도 터널로 연결하는 총연장 22.8km의 지하고속도로건설 사업이다. 약 2조원의 총사업비를 투입, 2021년 착공해 김해신공항 개항시점인 2026년에 맞춰 개통을 목표로 GS건설에서 국토교통부에 제안서를 제출해 부산시의 의견을 개진했다.
본 지하고속도로는 왕복4~6차로로서 김해신공항과 해운대간 현재 1시간20분대에서 30분대로 통행시간을 단축시켜 주민의 생활권 및 정주공간의 확장변화로 지역격차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상, 학장, 진양, 시민공원, 벡스코, 좌동, 송정, 기장 등 8개소에 유·출입시설이 설치돼 만성교통체증에 시달리는 인접도로인 황령터널, 광안대교, 장산로 등의 교통량 30%정도를 흡수하여 주요간선도로의 기능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지하고속도로 개통시기인 2026년에 공용 34년이 되는 동서고가도로(사상~진양)를 철거하여 향후 발생할 철거비용을 절감하고 동서고가 하부의 평면도로 6~10차로를 활용하여 BRT노선 신설 등을 통해 현재 시속 25km에 불과한 통행속도를 50km 이상으로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상스마트시티와 연계하여 도로주변상권이 활성화되고 김해공항 관문도로의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도로의 주요기능인 남해고속도로와 부산·울산고속도로 연결을 정부(국토교통부) 사업으로 추진함으로써 4,000억원의 국비를 유치하는 효과가 발생할 뿐 아니라 4만 명의 고용 효과, 5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9조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부산시는 본 지하고속도로가 동·서 균형발전, 상습정체구간 해소 및 국비유치효과 등의 장점이 있으나 도심구간내의 고속도로 노선신설인 만큼 부산발전연구원의 면밀한 검토와 시의회, 교통전문가, 시민 등의 다양한 의견수렴절차를 거쳐 국토교통부에 공식적인 의견을 전달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사업검토배경
김해신공항 개항에 따른 동남권 경제 활성화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동해와 남해간 고속도로를 연결함으로써 대한민국 순환고속도로망 순기능 향상에 기여하고,
장래 공항수요증가로 인한 동남권 주요 고속도로(경부, 중앙) / 부산시 주요 간선도로의 상습 지・정체해소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김해신공항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