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성남시 학교청소년복지 상담사업 만족…필요하다

5점 만점에 평균 만족도 3.96점, 필요성 4.42점


성남지역 학생·학부모·교사들은 성남시 학교청소년복지 상담사업에 만족하고 필요로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성남교육지원청이 창영여가와복지연구소에 의뢰한 2016년도 학교청소년복지 상담사업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6점, 필요성은 평균 4.42점으로 분석됐다. 
이 사업은 초·중·고교에 복지상담사를 배치해 학교폭력, 성적부진 스트레스 등의 청소년 문제 해결을 돕고, 지역사회와 연계해 학생, 학부모, 교사가 다양한 봉사활동을 하도록 한다. 

성남시는 지난해 13억2100만원의 교육 경비를 투입, 성남교육지원청과 협력해 32곳 학교를 대상으로 청소년 복지상담사업을 폈다. 

이에 대한 설문 조사는 지난해 11월 14일부터 올해 1월 25일까지 사업 대상 초(15)·중(15)·고(2)교의 학생(2843명), 학부모(811명), 교사(871명) 등 모두 4525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방식은 5점 만점(5=매우 그렇다, 4=그렇다, 3=보통이다, 2=그렇지 않다, 1=전혀 그렇지 않다)을 기준으로 한 리커트 척도를 사용했다. 

응답자 4468명(98.7%)의 설문지 분석 결과 학교청소년 복지상담사업에 대해 학생 3.71점, 학부모 3.88점, 교사 4.28점 순으로 만족해했다. 

학생들의 고민은 학습(2.79점), 진로(2.66점), 성격(2.25점), 교우(2.12점), 가족(1.83점), 경제적 문제(1.69점) 순이었다. 

고민에 대해 복지상담사와 상담한 경우 어느 정도의 도움이 됐는지를 묻는 질문에 학생들은 학교생활이 즐거워졌다(3.98점), 나 자신에게 도움이 됐다(3.83점), 궁금한 정보를 얻었다(3.68), 마음이 편해 졌다(3.68), 고민하던 문제를 해결했다(3.56) 순으로 답했다. 

학교청소년 복지상담사업의 필요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학생 4.74점, 학부모 4.44점, 교사 4.09점의 점수를 매겼다. 

2013~2016년 설문 조사 결과 추이에서도 사업 필요성은 학생(4.69→4.68→4.69→4.74점)이 꾸준히 높은 점수를 매겼고 학부모(4.36→4.36→4.39→4.44), 교사(3.83→3.90→3.99→4.09)순이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0.04%p다.

성남시는 학교 내 복지상담사의 역할과 활동영역이 중요하다고 보고 인건비 인상을 통한 처우개선, 전문 교육 기회 확대 등 사업의 질적 향상을 꾀해 나가기로 했다. 

앞선 2월 17일 성남시는 성남교육지원청과 학교청소년 복지상담사업 시행에 관한 협약을 했다. 
<그래프1>2016년 성남시 학교청소년복지 상담사업 학생·학부모·교사 만족도 평균 3.96(5점 만점 기준) 
<그래프2> 성남시 학교청소년 복지상담사업의 필요성-학생·학부모·교사 2013~2016년 리커트 척도
문의: 교육청소년과 교육정책팀 김미정 729-3633, 010-9969-9806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남양주시 화도도서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에 선정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화도도서관이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주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의 시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시니어 북스타트’는 그림책을 매개로 한 인문학 활동을 통해 고령층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전국 단위 공모사업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전국 15개 기관만이 선정됐으며, 경기도 내에서는 화도도서관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화도도서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5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그림책 낭독 △삶의 이야기 나누기 △세대 공감 인문학 워크숍 등 총 4차례의 그림책 기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책꾸러미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물품 일부는 책읽는사회문화재단으로부터 지원받으며, 프로그램에는 전문 강사도 함께 참여한다. 프로그램은 정서적 소외를 겪기 쉬운 시니어 세대에게 독서를 통한 심리적 위로와 사회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가족 간 소통을 촉진하고, 지역 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도도서관은 지역사회 내 시니어 삶의 질 향상과 평생학습 지원이라는 취지 아래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해 왔다. 2024년 기준 화도읍의 5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전체의 35%로, 전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