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 맑음동두천 15.8℃
  • 구름많음강릉 14.4℃
  • 맑음서울 17.6℃
  • 구름조금대전 15.2℃
  • 구름조금대구 16.6℃
  • 구름많음울산 16.0℃
  • 구름많음광주 15.4℃
  • 구름많음부산 17.8℃
  • 구름많음고창 14.9℃
  • 구름많음제주 17.8℃
  • 맑음강화 15.9℃
  • 구름조금보은 12.8℃
  • 구름조금금산 13.0℃
  • 구름많음강진군 17.0℃
  • 맑음경주시 15.4℃
  • 구름조금거제 17.0℃
기상청 제공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수돗물 끓여 마실 것을 권장

- 수돗물에서 냄새 유발물질 검출 -


◈ 부산시 남구, 수영구, 북구 등 화명정수장 공급 계통 수돗물 냄새 민원 다수 발생
◈ 화명정수장 고도정수처리공정 개선을 위한 공사 기간 중 낙동강 본류 남조류 증식으로 냄새 유발        물질 생성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오늘(9일) 오전부터 화명정수장 공급계통 수돗물에서 흙냄새 또는 곰팡이 냄새가 난다는 다수의 민원이 접수되었다고 밝혔다.

  이에 해당지역 수돗물을 채수하여 분석한 결과, 화명계통 수돗물에서 냄새유발 물질인 지오스민(Geosmin)이 0.053㎍/L 검출됐다. 이는 환경부 감시기준 0.02㎍/L보다 높은 값으로, 본부는 사태가 매우 심각함을 인지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고도정수처리 개선공사를 즉시 중지시키고 재난안전문자를 통해 이 사실을 시민에게 알렸으며, 모든 공정이 정상화될 때까지 본부 관련 부서 및 해당 지역사업소에 비상근무를 발령하고 대응을 지시했다.

  또한 본부는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전오존 투입농도를 높이고, 분말활성탄 투입시설을 가동하며, 이산화탄소 주입 및 고효율 응집제(PACS-2) 투입으로 정수 공정을 강화해 냄새 물질 제거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지오스민(Geosmin)은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sp) 등 남조류에 의해 발생하는 맛‧냄새 유발물질로 환경부 먹는물 감시항목*이며, 검사 주기는 조류경보제가 발령되면 주 2회, 평시에는 분기별 1회다.

 * 감시항목 : 먹는물 수질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먹는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먹는물 중의 함유실태조사 등의 감시가 필요한 물질

  부산시 조류경보제 발령지점인 물금‧매리지점 유해 남조류 개체수는 6월 1주 차 128셀/mL, 2주 차 1,154셀/mL로 증가 추세이지만, 발령기준인 ‘1,000세포수/mL를 2회 이상 연속하여 초과’하지 않아 조류경보제가 발령되지 않은 상태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남조류가 우점종으로 바뀌는 시점과 공사 기간이 겹쳐 정수처리공정에서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아 수돗물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인다”며, “냄새유발 물질인 지오스민은 인체에 유해성은 없지만 수돗물 음용 시 심미적인 영향(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3분 이상 끓여 드시기를 권장한다”고 전했다.

  송삼종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수돗물로 인해 시민들에게 심려를 끼쳐 매우 송구스럽다. 빠른 시일 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전면 중단한 고도정수처리 개선공사는 정수 공정이 안정화된 이후 다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고

 

           맛냄새 유발물질 특성 및 현황


맛냄새 유발물질의 종류 및 생성종
  ▸2-MIB(2-Methylisoborneol) 
    - 흙, 곰팡이 냄새 원인물질로, 남조류(Anabaena sp., Aphanizomenon sp., Microcystis sp., 등)와 방선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Geosmin(지오스민)
    - 흙, 곰팡이 냄새 원인물질로, Oscillatoria sp., Phorimidium sp., 등에 의해서 주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짐
정수공정에서의 맛‧냄새 물질 제거
    - 혼화/응집-침전-여과 공정에서는 낮은 제거율(30% 수준)
    - 염소에 의한 제거 효율도 낮음
    - 활성탄 흡착, 오존, 고급산화공정(오존/과산화수소)에서 높은 제거율 보임

  남조류 개체수 현황(물금, 부산시 자체 분석결과)

채수일

물금

우점종 개체수

남조류세포수

2023-06-01

Aulacoseira 2,448

207

2023-06-02

Aulacoseira 1,820

879

2023-06-05

Aulacoseira 1,264

980

2023-06-07

Anabaena 1,980

3,150

2023-06-08

Anabaena 2,457

4,921

2023-06-09

Microcystis 2,520

4,799

  
- 2-MIB, Geosmin 유발하는 남조류는 `23. 6. 7.(수)부터 우점하기 시작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
 
남조류 개체수 현황(물금매리지점, 낙동강유역청 분석결과)

지 점

530

(61주차)

65

(62주차)

경보단계

칠 서

2,602/mL

1,871/mL

관 심

물금·매리

128/mL

1,154/mL

-

  관심 : 유해남조류 세포수 기준 1,000세포수/mL2회 연속 초과

경계 : 유해남조류 세포수 기준 10,000세포수/mL2회 연속 초과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구리시, 서울 편입 대시민 토론회 성황리 개최 “서울
구리시(백경현 구리시장)는 5월 31일 구리시청 1층 대강당에서 기관·사회단체·시민단체 등 시민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구리시 서울 편입 대시민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구리시가 서울시로 편입될 경우, 행정·도시·교통 등 분야별 변화에 대해 전문가 분석자료 발표 및 편입의 득과 실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해 서울 편입에 대한 향방을 결정하고, 구리시와 시민들 간 원활한 소통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행사에 참석한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공학원장은 이날 토론회의 좌장을 맡아 분야별 토론자 발표를 주재하고 편입 효과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 의견을 교환하는 등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발제자로 나선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김갑성 교수는 수도권 메가시티 전략과 구상에 대한 주제를 발표했고, 이어서 전)서울기술연구원장인 서경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임성은 교수가 서울 편입에 대한 행정절차 및 방법, 편입 효과의 장단점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교통 분야 전문가로 참석한 서울연구원 홍상연 연구위원은 메가시티 전환에 따른 교통 체계 변화에 대한 분석과 수도권 공동문제 해결을 위한 거버너스 구축 등 정책 제언도 함께 발표했다. 마지막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