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밀양시, 맑은공기체험교육센터 큰 호응

체험과 재미 가득한 미세먼지 환경교육장으로 날개 달다




밀양시는 지난해 개관한 맑은공기체험교육센터가 어린이집과 유치원 선생님들의 입소문을 타고 굿 에어시티 환경교육장으로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밀양 맑은공기체험교육센터는 2020년 환경부“스마트 그린도시”공모사업에 선정돼 지난해 11월에 개관한 전국 유일의 공기 체험 및 교육 센터다.
1층은 미디어아트 공간으로 유해 공기(Bad Air)의 원인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맑은 공기(Good Air)의 필요성 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4면 실감 영상으로 꾸며졌다
2층에는 맑은 공기 체험관과 교육실이 있다. 체험관에는 굿에어 홈, 에코 드라이브, 굿 에어시티 만들기, 굿 에어미션, 공기 오염 시뮬레이션 체험존 등으로 구성돼 있고, 미세먼지 발생원인 및 대응 방법을 놀이와 체험으로 학습할 수 있다. 교육실은 환경 관련 도서들과 퍼즐 게임을 이용해 탄소중립, 기후 위기를 체감할 수 있는 공간이다.
맑은공기체험교육센터에 올해 2월까지 두 달 동안 40개 단체, 700여 명이 다녀갔으며, 주중에는 평균 100여 명, 주말에는 200여 명이 찾고 있다. 특히 대구, 부산, 김해 등 인근 도시에서 가족 단위로 많이 방문해 새로운 환경 교육콘텐츠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올해 1월에 실시한 겨울방학 프로그램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시는 보드게임 등 다양한 교재 및 교구를 활용한 가족 프로그램을 매월 시행하고 스마트 IoT 환경교육으로 공기 지킴이 양성 등 다양한 환경 교육프로그램도 준비하고 있다.
단체 교육을 받은 K 유치원장은“원아를 데리고 많은 곳을 체험했지만 이렇게 재미있고 유익한 미세먼지 체험교육은 처음이다. 앞으로도 자주 이용하겠다”라며 만족했다.
주말에 대구에서 온 관람객은“밀양은 공기가 너무 좋고 가족 나들이 시설이 많아 자주 오는데 맑은공기체험교육센터에서 아이들과 공기의 중요성을 배우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라고 말했다.
양기규 환경관리과장은“맑은공기체험교육센터는 기후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환경 교육기관으로 밀양의 맑은 공기 홍보와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맑은공기체험교육센터는 관람객 방문 이벤트와 베스트 리뷰왕 이벤트를 매월 실시하고 있다. 운영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단체관람, 예약 문의는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할 수 있다. (055-356-5313)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서울교통공사 “직원 참정권 보장”… 공직선거법 개정 반영
서울교통공사가 개정된 공직선거법을 반영해 직원들의 정치 참여 권리를 보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지방공기업 직원의 참정권을 제한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른 해명과 후속 조치로, 공사는 내부적으로 개정된 법령을 정확히 안내하고 재발 방지에 나섰다.공사 감사실은 지난 5월 8일,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 의무와 복무 기강 유지를 강조하는 내용의 공문을 사내에 시행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공문이 올해 1월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내용을 반영하지 않고, 이전 법령을 기준으로 작성된 사실이 확인되며 논란이 일었다. 개정된 공직선거법은 지방공사와 지방공단의 상근직원을 선거운동 금지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지방공기업 직원의 정치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해당 직원들의 기본적인 참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취지에서 비롯된 개정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언론 일부는 서울교통공사가 법 개정 사실을 무시한 채 직원의 정치 활동을 제한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교통공사는 설명자료를 통해 당시 공문이 개정 이전의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인정하며, 이후 전 직원에게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핵심 내용을 별도로 안내하는 공문을 추가로 시행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