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대구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도시숲’조성 추진

- 2023년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 등 14개 사업 118개소 113억 원 투입 -


▸ 기후 위기 대응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숲 조성 
▸ 생활권 내 다양한 숲 조성·관리로 도시숲 네트워크 구축

  대구시는 올해 113억 원을 투입하여 생활권 내 도시숲 조성 확대 및 미세먼지 저감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을 비롯한 14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도시숲은 도심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흡수, 도시열섬 현상 완화 등을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도시경관을 향상하기 위해 조성·관리하는 숲이다.

이에 대구시는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 등 14개 사업을 추진하여 탄소중립 도시 실현 및 심리적 안정과 휴식·정서함양 등을 위한 도심 내 부족한 녹지공간 확보를 위해 생활권 내 다양한 형태의 도시숲 조성을 추진한다.

도시숲 조성 사업으로는 기후대응 도시숲 등 5개 사업 21개소 80억 원, 생활권 녹지 조성 사업에 담장 허물기 등 9개 사업 97개소 33억 원으로 상반기에 착공해 연말까지 조성을 완료할 예정이다.

특히, 산림청에서 중점 추진 중인 도심의 미세먼지 저감 및 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도시바람길숲 조성 사업에 총사업비 300억 원중 2019년부터 2022년까지 200억 원을 1차 사업에 투입해 두류공원 내 대구대표숲 등 38개소 48㏊ 조성을 완료했다.

또한, 올해 5억 원으로 2차 사업 실시설계용역을 연말까지 마무리하고 2024년부터 2025년까지 2년에 걸쳐 95억 원의 사업비로 금호강 등 하천 수생태축을 중심으로 도심 내 대기순환을 유도하는 도시바람길숲으로 조성해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지형재 대구시 환경수자원국장은 “도심 열섬화와 대기오염에 대응한 도심 녹지공간 확충이 요구됨에 따라 생활권 내 다양한 도시숲 조성을 통한 시민의 삶의 질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붙임 1. 사업별 개요(별첨)
        2. 전경사진 6부(별첨)

붙임 1

 

사업별 개요

              
도시숲 조성사업

사 업 명

사업량

사업비

(백만원)

주 요 내 용

시행기관

합 계

21

7,986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

6

4,400

· 연경지구 등 6개소

(도심 주요 녹지 내 차단숲 조성)

(4)

지자체 도시숲 조성

(생활환경숲)

10

2,506

· 동구 효목고가네거리 등 10개소

(생활권 내 도시숲 조성)

(6)

자녀안심 그린숲 조성

2

400

· 대성초(서구), 세현초(달성군)

(등하굣길 도로변 숲 조성)

서구,달성군

학교숲 조성

3

180

· 계성초(중구),황금초(수성구),송현여고(달서구)

(녹색체험, 녹지공간 등 학교숲 조성)

(3)

바람길숲(2) 조성

-

500

· 실시설계용역(2차사업)


 생활권 녹지 조성사업

사 업 명

사업량

사업비

(백만원)

주 요 내 용

시행기관

합 계

97

3,299

 

 

담장허물기 및

휴식공간 조성

10

63

· 10개소(민간부문)

 

푸른옥상가꾸기

3

528

· 3개소(공공부문)

한국뇌연구원(동구), 비산5동 제2경로당(서구), 지산1동 행정복지센터(수성구)

(3)

도심소공간 녹화사업

5

100

· 서구 완충녹지 등 5개소

(밀생수목 이식, 가로화단 조성)

(5)

꽃거리 조성

60

288

· 북구 도청교 등 60개소

(꽃조형물, 꽃벽, 야생화단, 가로화분 등 조성)

(8)

도시녹화분야

(주민참여예산)

12

770

· 북구 팔거천 등 12개소

(산책로 정비, 화단조성, 조형물 설치 등)

(7)

시설녹지 등 정비

2

900

· 북구 동천동 914-2번지 등 2개소

(녹지 재정비)

북구

나불지 생태공원 조성

1

200

· 동구 각산동 134번지 (나불지 일원 생태공원 조성)

동구

무궁화동산 조성

1

150

·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1669

(무궁화동산 조성)

달성군

가로정원 조성

3

300

· 중구 달구벌대로 등 3개소

(정원형 띠녹지 조성)

(3)


 도시바람길숲(1) 조성사업

연도

권 역

대 상 지

비 고

2021

동구(동부)

신서혁신대로

13개소

22.9ha

동구(서부)

대구선 반야월공원 등 4개소

수성구

수성의료지구 완충녹지 등 3개소

북구(동부)

호국로 완충녹지, 동화천

달서구

대구대표숲(두류공원내)

달성군(남부)

테크노폴리스 완충녹지, 옥포지구 완충녹지

2022

서구·달성군(북부)

서대구산업단지 내 주요도로 등 4개소

25개소

25.54ha

남구·달서구

앞산순환도로 등 9개소

북구(서부)

매천로 중앙분리대 등 6개소

동구

동화천 둔치 등 3개소

서구

제일고등학교 앞 공유지

북구

팔거천 둔치 일원

수성구

두리봉터널 

                    
 전경사진(2022년 학교숲 전경 / 중구 신명고)

      
 전경사진(대구대표숲 근경)

                    
전경사진(대구대표도시숲 / 두류공원)

                
전경사진(금호강변 숲 전경)

               
 전경사진(도시바람길숲 / 동구 대구선반야월공원)

               
전경사진(가로정원 전경 / 서구 달서천복개도로)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딸기가 지하보도에서 자란다고?… 고양시, 스마트팜 도시 선언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도심형·농촌형 스마트팜을 병행 추진하는 농업 혁신 전략을 입체적으로 펼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지하보도에 수직형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화 온실과 스마트팜 보급 확대에도 집중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지난 2일 도심형 스마트팜 4곳을 차례로 방문해 다양한 기술 기반 농업 모델을 점검하고 스마트농업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민간 기술과 현장 경험이 결합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하고, 지하보도 스마트팜 등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시민친화공간을 조성하겠다”며 “나아가 도시계획 관점으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미래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스마트농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지하보도 딸기는 어떤 맛일까… 고양시, ‘도심형 스마트팜’ 실험 첫선 고양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하보도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민간기업 ㈜착한농부의 전액 투자(5억 원)로 238㎡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설치를 마치고 지난 15일에 딸기 모종 3,420주를 심었다. 이 스마트팜은 이용률이 줄어든 도로 시설 지하보도를 활용한 전국 첫 사례로, 적법성과 안전성 등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