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부산금융, 국제금융도시 평가에서 2년 전보다 21계단 상승

◈ 글로벌 싱크탱크 컨설팅기관 지옌사(Z/YEN), 오늘(24일) 31회차 국제금융센터지수 발표
◈ 부산, 글로벌 126개 금융도시 중 30위 랭크되어 전 평가 대비 3계단 상승… 2020년 상반기 51위
에서 완만한 상승세 이어가며 2년간 21계단 상승
◈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TOP10에 진입… 부산국제금융센터 3단계 개발 착공과 핀테
크·블록체인 등 디지털 금융도시 가능성 반영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 31회째 평가를 인용해 부산금융이 126개 국제금융도시 중 30위로, 2021년 전회차 대비 3계단 상승하며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고 밝혔다.

* 글로벌 컨설팅 전문기관인 Z/Yen그룹(영국, 런던 소재)이 매년 3월, 9월 두 차례 세계 주요 금융센터(2022년 기준 126개)의 국제금융경쟁력 순위 결정

  이로써 부산금융은 글로벌 금융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2020년 상반기 51위에서 최근 꾸준히 긍정적인 평가를 이어가다 2년간* 무려 21계단이나 상승했다.

                                            <부산의 최근 5년간 GFCI지수 변화>

 

* 부산 순위 변동: 51(’20년 상) 40(’20년 하) 36(’21년 상) 33(’21년 하)30


 글로벌 금융도시인 뉴욕, 런던, 홍콩, 상하이, 로스엘젤레스가 나란히 1위부터 5위까지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으며 서울은 12위에 랭크되었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지역 금융도시 중 잠재적 경쟁도시인 싱가포르, 도쿄 등 주요 금융도시들이 최근 하락 또는 정체되고 있는 가운데 부산이 유일하게 상승세를 유지하며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한 점이 주목된다.

<아시아/태평양 TOP15>




  또한, 국제금융도시 평가기관(지옌사)에서 미래금융도시로서 성장 잠재력을 별도 평가한 핀테크 분야에서도 부산은 113개 금융도시 중 23위에 올라, 지난해 27위에 이어 꾸준히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핀테크 분야 순위>



이처럼 부산금융이 대내외 어려운 여건임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인프라 측면에서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가덕도 신공항 건설이 순항 중이고,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및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 등 호재와 기대감이 직간접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산시가 지난 2월 국제 수준의 부산국제금융센터 3단계 개발을 본격 착공하면서 국내외 금융기관 유치와 함께 국내 최대규모의 디지털-밸리(Digital-Valley) 구축을 가시화 한 것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부산시는 버즈(새싹:BUDS) 육성 프로젝트 완성을 위해 최근 ▲B(블록체인)-Space 블록체인 특구 핵심 기업 집적·지원사업 ▲U(유니콘)-Space 핀테크·AI·빅데이터 등 디지털 금융기업 집적·지원사업 ▲D(데카콘)-Space 글로벌 금융기관 유치를 통한 금융 클러스터 조성사업 ▲S(스타)-Space 디지털 금융 강소(스타)기업 육성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25년 완공되는 부산국제금융센터 3단계 45개 층 사무실에 전략적으로 디지털 금융 밸리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국제금융센터지수(GFCI)*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수로 전 세계 주요 금융도시들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며, 그 결과에 따라 희비가 갈린다.

* GFCI 평가 방법 
  - 정량평가: 국제기구 등이 발표하는 138개 각종 통계지표를 활용(5개 분야 138개 통계지표)
    ①인적자본 ②기업환경 ③금융부문발전 ④기반시설 ⑤평판 및 일반요소
  - 정성평가: 24개월 내 전 세계 8,000여 명의 금융전문가들 대상 온라인 설문하여 150개

  박형준 부산시장은 “KDB한국산업은행 부산 유치를 통해 연관 국내 민간금융기업은 물론 외국계 금융기업들을 유치해 2030년까지 글로벌금융 20위권, 아시아지역 5위권에 진입시키겠다”라고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어 “미래금융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핀테크는 물론 블록체인 특구의 장점을 살려 디지털금융 발전과 활성화에 선택과 집중을 해 나가고, 해양금융도 내실화 시켜 부산에 강점이 많은 해운과 선박산업 등 지역산업 전반에 골고루 효과가 나타나는 정책을 정부와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참고 1

 

GFCI(국제금융센터경쟁력지수) 주요 도시 순위(2022.3)


< 주요 도시 순위



참고 2

 

부산의 순위 변화 및 최근 5년간 GFCI지수 변화


<부산의 순위 변화 >

년 월

차 수

부산 순위

점 수

응답 수

비 고

20143

GFCI 15

27

686

234

최초진입

9

GFCI 16

28(1)

676(10)

272

 

20153

GFCI 17

24(4)

687(11)

290

 

9

GFCI 18

24(-)

690(3)

298

 

20163

GFCI 19

38(14)

644(46)

88

 

9

GFCI 20

41(3)

640(4)

79

 

20173

GFCI 21

50(9)

626(14)

92

 

9

GFCI 22

70(20)

625(1)

106

 

20183

GFCI 23

46(24)

618(7)

150

 

9

GFCI 24

44(2)

631(13)

202

 

20193

GFCI 25

46(2)

636(5)

197

 

9

GFCI 26

43(3)

662(26)

189

 

20203

GFCI 27

51(8)

664(2)

436

 

9

GFCI 28

40(11)

664(0)

738

 

20213

GFCI 29

36(4)

677(13)

1,373

 

9

GFCI 30

33(3)

675(2)

2,307

 

20223

GFCI 31

30(3)

673(2)

2,081

 


<부산의 최근 5년간 GFCI지수 변화>


참고 3

 

GFCI 31 핀테크 분야 순위 - Top 50



참고 4

 

아시아/태평양 TOP 15 In GFCI 31 




참고 5

 

           부산국제금융센터 3단계 개발 조감도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딸기가 지하보도에서 자란다고?… 고양시, 스마트팜 도시 선언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도심형·농촌형 스마트팜을 병행 추진하는 농업 혁신 전략을 입체적으로 펼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지하보도에 수직형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화 온실과 스마트팜 보급 확대에도 집중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지난 2일 도심형 스마트팜 4곳을 차례로 방문해 다양한 기술 기반 농업 모델을 점검하고 스마트농업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민간 기술과 현장 경험이 결합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하고, 지하보도 스마트팜 등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시민친화공간을 조성하겠다”며 “나아가 도시계획 관점으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미래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스마트농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지하보도 딸기는 어떤 맛일까… 고양시, ‘도심형 스마트팜’ 실험 첫선 고양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하보도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민간기업 ㈜착한농부의 전액 투자(5억 원)로 238㎡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설치를 마치고 지난 15일에 딸기 모종 3,420주를 심었다. 이 스마트팜은 이용률이 줄어든 도로 시설 지하보도를 활용한 전국 첫 사례로, 적법성과 안전성 등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