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농축산식품

도, 가평·남양주 도유림 봄철 고로쇠 수액 무상양여‥농산촌 주민 소득 창출 도모

○ 도 산림환경연구소, 가평·남양주 농산촌 지역주민들과 ‘도유림 보호협약’ 체결
- 도유림 내 고로쇠 자생지 218ha 대상‥수액 채취량 전부 무상 양여
- 올해 1~4월‥지역민들 8만3,000리터 수액 무상 채취 가능
○ 농산촌 지역주민의 소득증대 및 임산물 불법 채취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비가열 자외선(UV) 살균기를 도입 위생적인 채취 및 유통


경기도가 봄철을 맞아 농산촌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유림 내 고로쇠 수액 무상 채취를 허가하기로 했다.
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소장 이수목)는 가평군산림조합, 양주지역산림조합과 이 같은 내용의 ‘경기도 도유림 보호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경기도 도유림 경영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8조에 따른 것으로, 농한기 가평·남양주 농산촌 지역주민들의 소득증대와 더불어, 임산물 불법 채취 방지 등을 도모하는 데 목적을 뒀다.
대상 지역은 전체 도유림 25,392ha 중 가평군 화악산·명지산, 남양주 축령산의 고로쇠 자생지로, 휴식년제를 적용받지 않은 총 218㏊의 고로쇠나무림에서 고로쇠 수액을 채취하게 된다.
허가 기간은 올해 1월부터 오는 4월까지로, 보호 협약 체결에 따른 해당 지역 고로쇠 연합회 회원만 채취가 가능하다. 
도 산림환경연구소는 이 기간 내 고로쇠 수액 채취량 전부를 해당 주민들에게 무상으로 양여하기로 했다. 특히 약 3,941만 원의 값어치에 달하는 8만3,000리터(ℓ)의 수액을 채취할 수 있어 봄철 지역주민의 소득 창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로쇠나무는 단풍나무과로, 수액은 예로부터 뼈에 이롭다고 해 ‘골리수’(骨利水)라고도 불렸다. 
청정 환경에서 채취되는 고로쇠 수액은 당도가 높고 미네랄 성분과 에너지 공급원인 자당이 많이 포함돼 있어 배탈이 나지 않고 물리지도 않아 상품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특히 위장병, 신경통, 고혈압, 여성산후증 등에 대한 효능은 물론, 칼슘,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이 많이 함유돼 건위(健胃), 이뇨(利尿), 체력증진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상기 가평군 고로쇠 연합회장은 “비가열 자외선(UV) 살균기를 도입해 위생적인 채취·공급으로 코로나10로 지친 도민들의 건강 회복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자연에서 많이 얻은 만큼, 산림환경을 보존하는 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수목 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장은 “겨울철 소득이 없는 지역주민들의 농외소득을 증대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과다 또는 불법 채취가 이뤄지지 않도록 가평군, 남양주시 등 시군과 협조하여 철저한 단속과 사후관리를 통해 산림자원 보호가 되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2022년 고로쇠 수액 채취 관련 자료>

1. 채취근거: 「2021년 경기도 도유림 보호협약」 체결(2021.1.12.)
 가. 협약체결 배경
  1) 도유림 인근 산촌주민소득 증대 기여
  2) 도유림 내 임산물 불법 채취 방지 등
 나. 협약체결에 따른 효과
  1) 도유림의 효율적인 관리체계 구축
  - 고로쇠나무 전수조사(표찰부착)를 통한 수량 파악 및 휴식년제(홀짝) 채취를 통한 생산량 조절, 지속 가능한 고로쇠 수액 채취사업 유지
  - 산촌주민(작목반)의 산지정화·보호활동(산림 내 폐기물 수거, 임산물 불법채취 금지 및 산불예방 계도활동 등) 시행에 따라 광범위하게 산재된 도유림의 효율적 관리 기여
  2) 산촌주민 가계소득 증대
  - 수액채취량 전부를 무상 양여함에 따라 산촌주민 가계소득 증대에 기여
 
 다. 협약자: 가평군산림조합, 양주지역산림조합
  └보호협약 체결에 따른 산촌주민(작목반)의 행정업무 보조 및 수액채취 활동 지도 등

2. 채취지역
 가. 가평권역: 140.4ha
 나. 남양주권역: 77.7ha

3. 채취량 및 예상소득
 가. 가평권역: 약 53,018 L / 약 27,728천원
 나. 남양주권역: 약 20,647 L/ 약 11,686천원

4. 채취기간
 가. 가평권역: 2022. 1. ~ 4.
 나. 남양주권역: 2022. 2. ~ 4.

                              경기도 道有林 현황(2022.2월 현재)

토지현황 : 850필지 25,392ha

구 분

임 야(99%)

답 등 기타(1%)

토지

필지()

850

611

239

면적()

25,392

25,189

203


 건물현황 : 7317,124(재산가액 181억원)

구 분

사무소(42%)

휴양시설(52%)

기타<관사>(6%)

건물

필지()

73

22

47

4

면적()

17,124

8,624

7,572

928


건물현황 : 7317,124(재산가액 181억원)
                                                                                                                  (단위 : ha, %)

경기북부

경기남부

소계

가평

남양주

포천

소계

의왕

안산

안양·평택·여주·수원·용인·오산

25,392

24,744

18,447

3,374

2,923

648

268

116

264

(100)

(97.4)

(72.6)

(13.3)

(11.5)

(2.6)

(1.1)

(0.5)

(1.0)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