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촘촘한 복지 안전망 구축 … 복지사각지대 해소

위기상황에 처한 저소득층 ‘긴급복지’지원
‘긴급복지’미지원 ‘울산형 긴급복지’로 대체


  울산시는 위기 상황에 처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긴급복지’를, ‘긴급복지’를 지원받지 못하는 가구에는 ‘울산형 긴급복지’를 지원하는 ‘촘촘한 복지 안전망’을 구축하여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긴급복지’(국비보조사업)는 갑작스럽게 위기 상황에 처해 생계유지가 어려운 저소득 가구에 생계·의료·주거지원 등 복지 서비스를 신속하게 지원하는 제도이다.
  지원 조건은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재산 2억 4,100만 원 이하(금융재산 600만 원 이하)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신청할 수 있다.
   ‘울산형 긴급복지’(시 자체사업)는 소득‧재산 기준을 추가로 완화하여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재산 2억 4,100만 원 이하(금융재산 2,000만 원 이하)까지 지원 대상이 확대된다.
  사업비는 긴급복지 54억 4,875만 원(대상 확대 시 추가 확보), 울산형 긴급복지 4억 3,750만 원이 투입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본인이 경제적으로 위기에 처해 있을 경우 언제든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구·군 및 시 복지 담당부서 및 울산 해울이 콜센터(120)로 연락하면 생계비, 의료, 주거 서비스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2021년에는 ‘긴급복지’가 필요한 1만 3,647가구에 89억 2,675만 원을, ‘울산형 긴급복지’가 필요한 432가구에 4억 3,750만 원을 각각 지원하였다. 끝. 
붙임 : 긴급복지지원사업 선정 및 지원 기준. 끝.  

참고

            긴급복지지원사업 선정 및 지원 기준


구 분

긴급복지(국비보조)

울산형 긴급복지(시 자체)

예산액

5,449백만원(국비4,359, 시비545, 구군비 545)

(80%, 10%, ·10%)

438백만원(시비 350, 구군비 88)

(80%, ·20%)

대상

주소득자 사망, 가출, 행불, 구금 등 소득상실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방임, 유기, 학대, 가정폭력 등을 당한 경우

화재 등으로 거주 및 생활곤란시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경우 : 단전, ·폐업, 주소득자 실직, 교정시설출소자, 주소득자와 이혼 등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지자체 조례로 정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

겨울철 복지사각지대 발굴 대상자,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자살고위험군(자살시도자, 유가족) 중 생계가 어렵다고 관련 부서로부터 추천을 받은자

국비보조사업 위기사유 및 추가로 발생

하는 다양한 위기 사유 발생시

국비보조사업의 소득, 재산, 금융재산 기준 초과자 중 위기가정 기준 내

소득

재산

금융

소 득 : 기준 중위소득 75%이하

(1인기준 1,459천원, 4인기준 3,841천원)

재 산 : 24,100만원 이하(대도시)

금융재산 : 600만원 이하(주거지원 800만원)

소 득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1인기준 1,556천원, 4인기준 4,097천원)

재 산 : 24,100만원 이하

금융재산 : 2,000만원이하(주거지원 3,000만원)

지원액

(1인기준)

종 류

지원금액

최대횟수

금전

현물

 

지원

생계

1,304,900(4인기준)

6

의료

3,000,000원 이내

2

주거

643,200(대도시, 4인기준)

12

복지시설이용

535,900(1인기준)

6

교육

124,100, 174,700,

207,700원 및 수업료입학금

4

그밖의

지원

- 동절기(103) 연료비

: 106,700/

- 해산비(700,000)

- 장제비(800,000)

- 전기요금(500,000원 이내)

1

(연료비 6)

종 류

지원금액

최대횟수

생계

1,100,000(4인기준)

3

의료

3,000,000원 이내

1

주거

350,000원 이내

(임시거소 제공자에게 지급)

3

 

퇴원후 기 납부한 의료비 지급 가능

희귀난치성 등 의료비 초과분에 대해 지원 가능

수급자 수술 외 입원 치료비 지원 가능

 

 

     기준 중위소득 : 전 국민을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소득으로 각종 국민기초생활보장의 기준을 정하는 중요지표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 밀양에서 펼쳐지는 전통의 향연
밀양시에서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밀양의 문화유산과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시는 국가유산청 주관의 국가유산 활용사업의 4개 세부 사업에 선정돼‘국가유산 야행’등 전통문화의 가치와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담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국가유산청의 전수교육관 활성화 사업, 시 자체 사업인 무형유산 상설 공연 등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시는 이러한 사업들을 통해 지역의 풍부한 무형유산을 보존·계승하며‘살아있는 문화유산 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국보 영남루에서 펼쳐지는 전통의 숨결‘무형유산 상설공연’2008년부터 시작해 올해 18년째를 맞이한 무형유산 상설공연은 대한민국 대표 누각인 국보 영남루에서 밀양의 무형유산을 보고 즐기는 프로그램이다. 국가 무형유산인 밀양백중놀이와 경상남도 무형유산인 무안용호놀이, 감내게줄당기기, 밀양법흥상원놀이, 작약산예수재 등 밀양의 역사와 전통문화 공연이 열린다. 공연은 매주 토요일 오후 3시(4~10월, 7·8월 제외) 영남루 마당에서 열리며, 우천 시 일정이 변동될 수 있다. 무형유산의 전승과 확산‘전수교육관 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