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가스공사(사장 채희봉)는 12월 30일 서울 중구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내포그린에너지(공동대표 나동헌·안관식), 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 황창화), CGN율촌전력㈜(공동대표 차이우장‧이상진)과 ‘발전용 개별요금제 천연가스 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이날 행사에는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을 비롯해 나동헌 내포그린 공동대표, 황창하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 이상진 CGN율촌전력 사장 등 각 사 대표 및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매매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 가스공사는 이번 계약으로 3개사에 천연가스 연 115만 5천 톤을 공급할 계획이다.
○ 내포그린에너지는 충남 홍성 내포신도시에 열과 전기를 공급하는 집단에너지 사업자로, 2023년 6월부터 15년 동안 연간 약 33만 5천 톤 규모의 천연가스 고정약정물량을 공급받게 된다.
○ 양산·대구·청주 등 신규 열병합 발전소 3곳에 대해 개별요금제를 적용받는 지역난방공사는 2023년 양산을 시작으로 2024년 4월부터는 3개 발전소 합산 연 40만 톤의 천연가스를 공급받는다.
○ CGN율촌전력은 전남 광양시 율촌산업단지 내 민자 발전사로, 가스공사는 2025년 7월부터 고정약정물량 기준 연 42만 톤의 천연가스를 공급할 예정이다.
□ 가스공사는 지난해 10월 지역난방공사를 시작으로 총 6개 발전사와 공급인수합의서를 잇달아 체결하며 개별요금제를 확대해 왔으며, 그 중 올해 10월 계약을 맺은 GS EPS와 이번 3개사 등 4곳과의 매매계약을 연내에 마무리했다.
○ 이로써 개별요금제는 올해 연 135만 5천 톤의 고정 수요를 확보했으며, 발전사별 추가 수요량을 고려하면 연간 약 170만 톤에 달하는 천연가스를 판매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들 발전사가 개별요금제를 선택한 배경에는 △가격 경쟁력, △안정적인 공급 능력, △수급관리 노하우 등 가스공사만이 가진 강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 특히 최근 가파르게 상승한 국제 LNG 가격에도 불구하고, 가스공사가 장기간 축적한 LNG 도입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제 시황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 또한 전국 5개 LNG 생산기지(평택·인천·통영·삼척·당진)을 활용한 탄력적인 저장탱크 운영과 효율적 수급관리를 토대로 한 공급 안정성, 발전사별 니즈를 적극 반영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또한 장점으로 꼽힌다.
□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은 “이번 매매계약은 개별요금제의 경쟁력과 우수성을 시장에서 인정받은 것으로 앞으로도 가스공사의 강점을 살려 고객서비스를 더욱 강화하여 개별요금제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한편 가스공사는 내년 상반기에 약 50만 톤 규모의 개별요금제 매매계약을 추가로 체결할 예정이며, 그 외에도 여러 발전사들과의 협상 및 입찰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