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사업’은 올해 3월 정부가 ‘산단 대개조 사업 지역’으로 선정한 울산, 경기, 경남, 부산, 전북 등 5개 지역에서 추진된다.
사업기간은 2022년부터 2023년까지 2년간이며 사업비는 총 16억 원(국비 11억 원)이 투입된다.
사업 내용은 울산 산단 대개조 주력 업종(자동차, 조선, 화학) 유망 품목의 조기 사업화 유도를 위한 ‘시제품 성능 평가’의 연구개발(R&D) 과제를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산단 대개조 거점인 울산·미포국가산단, 연계단지인 테크노·매곡 일반산단, 연계지역인 친환경자동차벨트(중산 1·2, 매곡 2·3 등)의 입주기업과 타시도 산업단지 입주기업체 간 ‘산·산 컨소시엄’으로 하며 대학․연구소 등 비영리기관 참여도 가능하다.
사업추진은 (재)울산지역사업평가단이 주관하며 (재)울산지역사업평가단이 내년 1월 정식 공모를 시행하여 과제별 선정 평가를 통해 대상 기업체를 선정하고 협약 체결을 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에 선정된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사업은 산단 기업 간 기술 협력을 통해 유망품목의 조기 사업화 유도 등 지역산업 경쟁력을 강화시켜 성공적인 산단 대개조 사업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 울산 지역선도산단 연계협력 개요. 끝.
ㅇ (사업내용) 지역거점 간 연계 R&D 발굴ㆍ지원을 통한 선도산단 중심의 신산업 생태계 구축으로 지역산업의 업종 경쟁력에 기여
ㅇ (지원내용) 산단대개조 대상지역별 유망품목의 조기사업화 유도를 위한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 기술유형별 기술성숙도) 6단계*
(시제품 성능평가 단계)이상 R&D 과제지원
* 6단계(시제품 성능평가), 7단계(시제품 신뢰성평가), 8단계(시제품 인증), 9단계(사업화)
- (지원규모) 연차별 과제당 5억원 내외 지원(국비 기준, 대기업 및 중견기업 참여시 7억원 내외 지원)
- (지원기간) 과제별 2년 이내
- (지원방식) 지정공모
ㅇ (지원조건) 산단대개조 대상지역 산업단지 입주기업과 타시도 산업단지 입주기업 간 산․산 컨소시엄*
* 산‧산 컨소시엄을 기본원칙으로 하되, 추가로 기업, 대학‧연구소 등 비영리기관 참여 가능
- (주관기관) 산단대개조 대상지역 거점 및 연계산업단지* 입주기업
지역 | 대상지 |
거점 | 연계단지‧지역 |
경기 | 반월시화 국가산단 | 화성발안 일반산단, 성남 일반산단, 판교제2테크노밸리 |
경남 | 창원 국가산단 | 김해골든루트산단, 사천 일반산단, 함안칠서 일반산단 |
부산 | 명지녹산 국가산단 | 사상공업지역 일반산단, 신평장림 일반산단,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지사지역, 에코델타시티스마트시티 |
울산 | 울산미포 국가산단 | 테크노 일반산단, 매곡 일반산단, 친환경자동차벨트(중산1·2, 매곡2·3, 이회, 모듈화 일반산단) |
전북 | 군산 국가산단 | 익산 일반산단, 완주 과학산단, 새만금 국가산단 |
- (참여기관) 주관기관 소재지역 외 산업단지* 입주기업
* 국가산단, 일반산단, 도시첨단산단
ㅇ (추진체계) 산단대개조 선정지역인 울산은 관리기관(지역사업평가단)이 관리
| 산업통상자원부 | |
| | 일자리위원회 |
|
|
| 전담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
울산광역시 | | | 관리기관 (지역사업평가단) |
| |
| 주관기관 (기업체) | |
| | | |
| | | |
| 참여기관 (기업체) | | 참여기관 (기업체) | … | 참여기관 (기업체) | |
ㅇ (추진일정)
과제기획 | 지원과제 공고 및 접수 | 과제별 선정평가 | 협약 및 사업비 지급 |
’21.11월~‘21.12월 | ’22.1월~2월 | ’22.3월 | ’22.3월 |
*추진과정에서, 상기 일정 변동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