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울산시‘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사업’적극 추진

총 사업비 16억 원(국비 11억 원) 확보
산단 내 입주기업체의 연구개발 지원 등


  울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사업’은 올해 3월 정부가 ‘산단 대개조 사업 지역’으로 선정한 울산, 경기, 경남, 부산, 전북 등 5개 지역에서 추진된다.
  사업기간은 2022년부터 2023년까지 2년간이며 사업비는 총 16억 원(국비 11억 원)이 투입된다.
  사업 내용은 울산 산단 대개조 주력 업종(자동차, 조선, 화학) 유망 품목의 조기 사업화 유도를 위한 ‘시제품 성능 평가’의 연구개발(R&D) 과제를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산단 대개조 거점인 울산·미포국가산단, 연계단지인 테크노·매곡 일반산단, 연계지역인 친환경자동차벨트(중산 1·2, 매곡 2·3 등)의 입주기업과 타시도 산업단지 입주기업체 간 ‘산·산 컨소시엄’으로 하며 대학․연구소 등 비영리기관 참여도 가능하다. 
  사업추진은 (재)울산지역사업평가단이 주관하며 (재)울산지역사업평가단이 내년 1월 정식 공모를 시행하여 과제별 선정 평가를 통해 대상 기업체를 선정하고 협약 체결을 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에 선정된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사업은 산단 기업 간 기술 협력을 통해 유망품목의 조기 사업화 유도 등 지역산업 경쟁력을 강화시켜 성공적인 산단 대개조 사업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 울산 지역선도산단 연계협력 개요. 끝.  

붙 임

           울산 지역선도산단 연계협력R&D 개요

     
ㅇ (사업내용) 지역거점 간 연계 R&D 발굴ㆍ지원을 통한 선도산단 중심의 신산업 생태계 구축으로 지역산업의 업종 경쟁력에 기여

ㅇ (지원내용) 산단대개조 대상지역별 유망품목의 조기사업화 유도를 위한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 기술유형별 기술성숙도) 6단계*
    (시제품 성능평가 단계)이상 R&D 과제지원
  * 6단계(시제품 성능평가), 7단계(시제품 신뢰성평가), 8단계(시제품 인증), 9단계(사업화)
  - (지원규모) 연차별 과제당 5억원 내외 지원(국비 기준, 대기업 및 중견기업 참여시 7억원 내외 지원)
  - (지원기간) 과제별 2년 이내
  - (지원방식) 지정공모

ㅇ (지원조건) 산단대개조 대상지역 산업단지 입주기업과 타시도 산업단지 입주기업 간 산․산 컨소시엄*
 * 산‧산 컨소시엄을 기본원칙으로 하되, 추가로 기업, 대학‧연구소 등 비영리기관 참여 가능
  - (주관기관) 산단대개조 대상지역 거점 및 연계산업단지* 입주기업

지역

대상지

거점

연계단지지역

경기

반월시화 국가산단

화성발안 일반산단, 성남 일반산단, 판교제2테크노밸리

경남

창원 국가산단

김해골든루트산단, 사천 일반산단, 함안칠서 일반산단

부산

명지녹산 국가산단

사상공업지역 일반산단, 신평장림 일반산단,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지사지역, 에코델타시티스마트시티

울산

울산미포 국가산단

테크노 일반산단, 매곡 일반산단, 친환경자동차벨트(중산1·2, 매곡2·3, 이회, 모듈화 일반산단)

전북

군산 국가산단

익산 일반산단, 완주 과학산단, 새만금 국가산단

               - (참여기관) 주관기관 소재지역 외 산업단지* 입주기업

* 국가산단, 일반산단, 도시첨단산단

 

(추진체계) 산단대개조 선정지역인 울산은 관리기관(지역사업평가단)이 관리


 

산업통상자원부

 

 

 

일자리위원회

 

 

 

전담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울산광역시

 

 

관리기관 (지역사업평가단)

 

 

 

주관기관 (기업체)

 

 

 

 

 

 

 

 

 

 

참여기관 (기업체)

 

참여기관 (기업체)

참여기관 (기업체)

 

                      

(추진일정)

과제기획

지원과제 공고 및 접수

과제별 선정평가

협약 및 사업비 지급

’21.11‘21.12

’22.1~2

’22.3

’22.3

    *추진과정에서, 상기 일정 변동 가능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