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 경주, 포항 등 해오름동맹 3개 지자체의 산·학·관이 원전산업 발전에 힘을 모은다.
울산시는 11일 오후 2시 경주 동국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한국수력원자력, 경주시, 포항시와 해당 지자체에 속한 6개 대학인 울산과학기술원(UNIST), 울산대, 한동대, 포스텍, 위덕대, 동국대와 ‘해오름동맹 제2기 원자력분야 연구개발(R&D)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한다.
이날 협약식에는 조원경 울산경제부시장, 주낙영 경주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정재훈 한수원 사장 및 협력대학 총장 등이 참석한다.
협약에 따라 한수원을 비롯한 해오름동맹 3개 도시 지자체와 6개 협력 대학들은 앞으로 3년간 동국대학교를 주관으로 원자력 기술 뿐 아니라 탄소중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 소형 모듈 원자로(SMR) 혁신플랫폼 개발 등의 연구에 협력하게 된다.
특히 각 대학별로 경쟁력 있는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연구과제로 발굴해 해오름동맹지역을 에너지 전문 인력 양성의 중심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한수원과 지자체 및 협력대학들은 지난 2018년부터 올 3월까지 진행된 해오름동맹 원자력혁신센터 지원사업을 통해 원자력 안전성 강화, 4차 산업혁명 기술 등에 대한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이번 사업은 한수원 본사의 경주이전을 계기로 지자체와 산업계, 학계가 참여하는 협력플랫폼 구축의 모범사례라 생각한다.”며, “지자체, 참여대학과 협력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조원경 울산경제부시장은 “원자력산업을 주도하는 한수원과 해오름동맹이 협력을 통한 연구개발 연구 성과가 원자력 및 원전해체 산업 발전과 지역경제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좋은 성과를 내어 줄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협약식에서는 ‘원자력 혁신센터’ 개소식도 함께 진행됐다. 원자력 혁신센터는 연구개발 공동연구 과제를 총괄 운영·관리하며 사업비는 한수원과 3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부담한다.
붙임 : 해오름동맹 제2기 원자력혁신센터 지원사업 개요. 1부. 끝.
붙임1 | | 해오름동맹 제2기 원자력혁신센터 지원사업 개요 |
□ 사업개요
○ 사 업 명 : 해오름동맹 제2기 원자력혁신센터 지원사업
○ 사업기간 : ‘21. 8. 11. ∼ ’24. 8. 10.(3년)
○ 총사업비 : 7,200백만원(한수원 6,600, 울산 300, 경주 150, 포항 150)
※연간 사업비 : 2,400백만원(한수원 2,200, 울산 100, 경주 50, 포항 50)
○ 주관/참여대학 : 동국대/UNIST·울산대·위덕대·포스텍·한동대
○ 사업내용
- 원전 밀집지역인 해오름동맹 세 도시의 공통 관심사인 원자력 분야를 상생협력 선도 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공동 기술 연구 수행
- 해오름동맹 지역 대학 컨소시엄 형태로 원자력혁신센터 운영
- 원전지역 특화연구·지역협력 전략연구·지역수용성 증진 연구 분야 33개 R&D 연구과제 수행
□ 운영위원회 구성·운영
○ 위원구성 : 15인 이내
- 한수원 2명, 지방자치단체 및 6개 참여대학 연구사업 책임자 각 1명, 외부전문가 등
○ 운영내용
- 원자력혁신센터 주요 사업을 결정하는 최고 의결 기구
- 센터 운영계획 및 사업계획 수립, 사업실적 점검 및 평가 등 의사 결정
□ 추진사항(계획)
○ ‘16. 11. 23 : 해오름동맹 원자력분야 산학관 상생협약 체결(10개기관)
○ ‘18. 2. 1 : 한수원-대학-지자체 협약체결
- UNIST가 최초 3년간 사업 주관대학으로 선정
○ ‘18. 10. 2. : 해오름동맹 원자력 혁신센터 개소식
○ ‘18. 4. ~ ’21. 3. : 1단계 원자력 혁신센터 지원사업 추진/종료
○ ‘21. 5. 28. : 한수원 이사회 사업 심의 확정(3년간 66억원, 22억원/년)
○ ‘21. 7. 22. : 2단계 연구과제 최종 확정 운영위원회 개최
○ ‘21. 8. 11. : 제2기 사업 업무협약 및 센터 개소식 개최
○ ‘21. 8. ~ ’24. 8. : 탄소중립형 소형 모듈 원자로(SMR) 혁신플랫폼 개발 연구 등 33개 과제 수행
□ 기대효과
○ 원자력산업 분야 R&D 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원자력 및 원전해체산업 고도화에 기여
○ 산학관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원전해체분야 상생협력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