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남도 미세먼지 농도, 신호등으로 쉽게 확인하세요!

- 초등교 앞, 공원 등에 ‘미세먼지 신호등’ 25개소 추가 설치
-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파랑(좋음),초록(보통),노랑(나쁨),빨강(매우나쁨) 표시
- 도시대기측정망 연계 표출, 신뢰성 높은 미세먼지 정보 제공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는 도민들이 쉽게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 할 수 있는 미세먼지 신호등을 전 시군에 25개소 추가 설치한다고 밝혔다.


신호등은 교통신호등과 같이 LED전광판에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파랑(좋음, 0~15㎍/㎥), 초록(보통, 16~35㎍/㎥), 노랑(나쁨, 36~75㎍/㎥), 빨강(매우나쁨, 76㎍/㎥이상)색으로 표출된다.
  

초미세먼지 예보의 내용 및 기준            

예보물질

등 급(/)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PM-2.5

015

1635

3675

76 이상

                  
360도 전 방향으로 신호를 표시해 어느 방향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신호등 색깔별로 웃고 찡그리는 등 다양한 표정 이모티콘이 더해져 어린이, 어르신들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하지 않고도 미세먼지 농도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미세먼지 농도뿐만 아니라 오존, 온도, 습도 등 다양한 생활정보도 표출되며, 특히 야간에는 시인성이 더욱 좋아 도민 누구나 대기질 상태를 확인 가능하다.

미세먼지 정보는 설치장소와 가장 가까운 대기오염측정소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받아 표출한다. 대기오염측정소는 전 시군 38개소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경남도는 보다 많은 도민들이 미세먼지 정보를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도록 유동인구가 많은 공원 및 초등학교 인근에 미세먼지 신호등 103개소를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 확대 설치하여 도민들이 야외활동을 하기 전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고 야외활동 자제 등 자발적 대응을 유도할 계획이다.

정병희 경남도 기후대기과장은 “미세먼지 신호등으로 미세먼지 정보를 손쉽게 접해 농도가 높아지면 마스크 착용 및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등 적극적인 건강보호조치가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미세먼지 걱정 없는 푸른 하늘 경남을 만들기 위해 신호등 사업을 추가 확대 설치하여 도민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그렇게 공직자가 되어갑니다”… 고양시, 공직 생애주기별 교육 운영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급변하는 행정 환경에서 공공부문 인재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신뢰받는 공직자 양성을 위해 ‘맞춤형 직장 교육’을 본격 추진 중이다. 올해 5월 현재 고양시 공무원은 3,424명(정무직 제외)으로 5급 이상 180명, 6~7급 2,051명, 8~9급 1,193명이다. 시는 조직 내 기초이자 중추 역할인 6급 이하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업무능력 함양과 함께 시민 눈높이에 맞춘 소통력, 디지털 행정 대응, 윤리의식, 협업 능력 등을 고루 갖춘 미래형 공직자 육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시의 역량은 결국 공무원 개개인의 역량에서 출발한다”며 “체계적인 직장교육을 통해 전문성과 미래지향적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시민에게 더 나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직급별 교육 통한 성장 지원…공직생애 최소 7회, 3~4년 주기로 참여시는‘고양특례시형 인재양성 프로젝트’일환으로 공무원의 경력 단계에 따라 신규자부터 퇴직 예정자까지 공직생애 주기에 따른 직급별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체계적인 직급별 교육으로 신규 공직자는 신속하게 조직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기존 재직자는 업스킬링(Upskilling)을 통해 전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