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울산시,‘2050 탄소중립’본격 추진 나선다”

울산형 분산에너지 테이터 플랫폼 구축사업 시행
한국에너지공단, ㈜그리드위즈, 에스케이(SK)가스 등과 컨소시엄

               

울산시가 ‘2050 탄소중립’목표 달성을 위해 ‘분산에너지 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에 나선다.

  올해 산업자원부가 주관한 ‘2021년 지역에너지신사업’공모에 선정된 사업으로 올해부터 오는 2023년까지 연차별 3단계 사업으로 추진된다. 
  이 사업은 에너지다소비 업체 컨설팅 및 분산에너지* 현황과 잠재량 조사를 통한 분산자원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에너지신산업을 활성화하는 사업이다.   
* 분산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으로 지역내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공공 및 민간의 태양광, 연료전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등의 소규모 발전시설을 말한다. 
  이 사업은 울산시에 잠재된 전력수요관리(DR),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충전, 에너지효율화, 수소충전, 연료전지 등 모든 분산자원을 아우르는 올인원 에너지 컨설팅을 통해 울산시와 기업들의 '2050 탄소중립' 목표달성 지원을 골자로 한다.
  울산시가 주관하며 ㈜그리드위즈, 에스케이(SK)가스, 에스케이디앤디(SKD&D), ㈜젬스, 한국과학정보기술연구원, 울산대학교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시행된다. 
  주요 사업 내용은 소규모 발전시설의 데이터를 종합해 통합 관리하고 연계서비스를 제공하며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한 운영기술 개발에 나선다.
  또한, 산업체에 설치된 모든 분산자원을 아우르는 일체형(All-in-One) 에너지 컨설팅을 지원해 울산시의 ‘2050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적극 추진하게 된다.
  이밖에 다양한 분산자원 데이터의 유기적 융합으로 분산자원 연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브이피피(VPP)* 플랫폼을 구축하고 산업체의 저탄소 에너지 전환은 물론 아르이(RE)100** 참여 등 빠르게 변화하는 전력시장에 선제적인 대응으로 신규 비즈니스 기회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브이피피(VPP, Virtual Power Plant) :태양광과 같이 분산되어 있는 소규모 에너지 발전, 축전지, 연료전지 등 발전 설비와 전력 수요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소프트웨어적으로 통합 관리하는 가상의 발전소
**아르이(RE100, Renewable Energy 100)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글로벌 에너지 전환 캠페인
  사업비는 총 64억 원으로 국비와 시비가 50%, 민간 50%로 구성되며 우선 올해에는 약 7억 5,000만 원이 투입된다. 
  이와 별도로 ㈜그리드위즈, 에스케이(SK)가스, 에스케이디앤디(SKD&D), ㈜젬스 등 컨소시엄 참여회사에서 태양광 1MW, 연료전지 1.5MW 등 100억 원 정도의 사업비를 투자 할 계획에 있다. 
  울산시는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분산자원 실시간 운영현황 등 최적 분산자원 모니터링 제공 및 공유로 에너지 사용자 패턴, 기후상황 등을 통한 발전량 예측은 물론 에너지신산업 기반 고도화 및 신규 에너지 시장 참여기반 마련해 연간 약 69억 3,000만 원 시장 창출과 온실가스 5,144톤 감축, 일자리 214명 창출 등을 기대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실현 추진전략’ 발표 이후 탄소중립을 추진하고자 하는 산업체들의 기술적 고민이 많았다.”며 “이 사업이 국내 최대 산업도시인 울산의 다양한 산업체에 탄소중립 솔루션을 제공하고, 지역내 흩어진 분산자원을 연계 운영해 에너지신산업 가능성을 도출하는 점에서 큰 의미 있다.”라고 밝혔다. 끝.

붙임

 

울산형 분산에너지 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 개요

               
□ 사업개요
 ○ 사 업 명 : 울산형 분산에너지 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 사업기간 :  2021 ~ 2023(3년)
 ○ 총사업비 : 6,420백만원[국비 1,566(24.4%), 시비 1,566(24.4%), 민간 3,287(51.2%)]
    - 1차년도(`21) :  746백만원 [국비 123(16.5%), 시비 123(16.5%), 민간 500(67%)]
    ※민간투자 별도시행 : 태양광 1MW, ESS 3MWh, 연료전지 1.5MW (100억원 규모)
 ○ 사업내용 : 분산에너지자원 테크니컬 컨설팅, 분산자원 MAP 및 분산에너지 데이터 플랫폼 구축,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사업참여 : 울산시, 에너지공단, 그리드위즈, ㈜젬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울산대학교, SK가스, SKD&D
 □ 참여기관 

구 분

기관/기업명

사업비(‘21)

역할

 

746,844천원

 

정 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공단)

123,422 (16.5%)

- 국비 지원

- 공모선정, 평가 등 사업총괄관리

지자체

울산광역시

123,422 (16.5%)

- 시비 지원

- 홍보, 관리

주관기관

(참여기관)

그리드위즈, 젬스

(KISTI, 울산대학교

SK가스, SKD&S)

500,000 (67%)

사업 주도적 수행

(분산자원 확보 및 솔루션 제공, 플랫폼 스타트업 등)

                                       
    □ 사업내용                
 

1. 공  1  공공, 민간 소유의 분산에너지 자원 확보 및 잠재량 조사

 

              
·(대상) 분산자원 – 태양광, 연료전지, ESS, EV
           수요자원 - 에너지다소비업체 등 100개소
(대상지 확보) 설명회, SNS, B2B 마케팅활동 등 통해 참여 유도

2. 테  2   테크니컬 컨설팅 수행

 

          
 ·(추진) 클린에너지 플랫폼 스타트업(주관기관)과 울산대학교와의 산학협력
 ·(잠재량 조사) 산학협력을 통한 테크니컬 컨설팅 프로세스 구축
  → 조사내용 : 에너지 사용량, 전력설비, 분산자원 현황, 신규자원 설치 수요 등 
  → 현장방문 서면조사 및 전문가 진단조사, 편익산정 및 잠재수익 도출
 ·(수행결과 도출) 편익산정 및 잠재수익 도출
  → 전력시장 참여 수익, 에너지 수요관리 수익, 배출권 수익 등   
                         

3. 분  3   분산자원 맵(MAP) 구축

 

 
·분산자원 전력데이터 수집(100개소) → 가용용량 가시화 맵(MAP) 구성
·주요 데이터 : 분산자원 종류, 위치, 용량 등 운영상황
                                                        

4. 실  4  실시간 플랫폼(Prototype) 구축

 

                 
·각 분산자원별(태양광, 연료전지 등) 1~2개에 데이터 수집장치 설치
       → 실시간 데이터 수집(수초~1분 단위의 고밀도 데이터), 실시간 운영현황 시범분석
   ·실시간 운영현황 등 최적 분산자원 모니터링 제공(공유) 
   ·플랫폼 Prototype 구축(1단계)를 통해 2~3단계 사업*의 기반 마련
      * 메가 FELX-Grid 공유 플랫폼(Completed) 구축 : 실시간 플랫폼 구성 및 빅데이터 분석(사용자 패턴, 기후상황 등)을 통해 발전량 예측
          ⇒ 에너지신산업 기반 고도화 및 신규 에너지 시장 참여기반 마련(소규모 전력중개시장, 플러스DR, FastDR, 스마트 EV충전, 배출권 시장 참여)
             - 연간 69.3억원 시장 창출, 온실가스 5,144톤 감축, 일자리 214명 창출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남양주시 화도도서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에 선정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화도도서관이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주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의 시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시니어 북스타트’는 그림책을 매개로 한 인문학 활동을 통해 고령층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전국 단위 공모사업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전국 15개 기관만이 선정됐으며, 경기도 내에서는 화도도서관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화도도서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5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그림책 낭독 △삶의 이야기 나누기 △세대 공감 인문학 워크숍 등 총 4차례의 그림책 기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책꾸러미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물품 일부는 책읽는사회문화재단으로부터 지원받으며, 프로그램에는 전문 강사도 함께 참여한다. 프로그램은 정서적 소외를 겪기 쉬운 시니어 세대에게 독서를 통한 심리적 위로와 사회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가족 간 소통을 촉진하고, 지역 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도도서관은 지역사회 내 시니어 삶의 질 향상과 평생학습 지원이라는 취지 아래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해 왔다. 2024년 기준 화도읍의 5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전체의 35%로, 전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