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H는 임대주택 입주민 일자리 창출을 위해 LH 임대단지 ‘작은 도서관’ 코디네이터 305명을 채용한다고 밝혔다.
ㅇ ‘작은 도서관’은 LH 임대주택에 설치된 단지 내 도서관으로 LH는 ’작은 도서관‘을 임대단지 입주민 교류의 장으로 만들기 위해 전문가 컨설팅 제공 등 다양한 활성화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ㅇ ‘19년 25개소, ’20년 40개소에 이어 올해는 활성화 대상 도서관을 305개소로 대폭 확대해 활성화 사업을 주도할 코디네이터를 채용하게 된 것이다.
□ ‘작은 도서관’ 코디네이터는 LH 임대단지 내 도서관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조성과 입주민 자율운영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 운영 등을 담당하게 된다.
□ 채용 대상은 임대단지 입주민으로 PC 사용이 가능하며 사서(준사서, 2급 정사서), 주거복지사, 독서지도사, 마을활동가 교육을 수료한 자 등 일정 자격을 갖춘 경우로 별도의 나이 제한은 없다.
ㅇ 입주민을 우선 채용하지만, 미달 시 동일 자격조건을 충족하는 일반인까지 확대해 총 305명을 채용한다. 단 LH 전·현직 임직원과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LH 지역본부 기준 지역별 코디네이터 채용계획 현황]
합계 | 서울 | 인천 | 경기 | 부산 울산 | 강원 | 충북 | 대전 충남 | 전북 | 광주 전남 | 대구 경북 | 경남 | 세종 | 제주 |
305 | 47 | 48 | 40 | 13 | 12 | 15 | 20 | 11 | 35 | 28 | 26 | 6 | 4 |
□ 채용절차는 서류 접수·심사, 면접심사 등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결정한다.
채용공고 | ≫ | 서류접수 | ≫ | 서류심사 | ≫ | 면접심사 | ≫ | 합격자발표 |
LH 홈페이지 | 활성화 대상 단지 | 외부기관 | LH 지역본부 | LH 홈페이지 |
□ 지원자는 6월 2일(수)까지 지원서를 접수해야 한다.
ㅇ ‘작은 도서관’ 활성화 대상단지*에 거주하는 지원자는 거주 단지에, 활성화 대상단지에 거주하지 않는 지원자는 근무를 희망하는 대상단지(1순위 희망단지)에 방문해 지원서를 접수하면 된다. 활성화 대상 단지현황은 채용 공고문을 참고하면 된다.
* 공동주택 내 도서관은 입주민 자율운영이 원칙으로 도서관 시설 완공 후미 운영중인 도서관도 일부 존재, 활성화 대상은 현재 운영중인 도서관
□ 오는 6.10일~11일 서류심사 및 6.18일~23일 면접을 거쳐, 6.29일(화)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채용공고 | 지원서 접수 | 서류심사 | 면접심사 | 합격자발표 | 근무기간 |
5.18~6.2 | 5.25~6.2 | 6.10~11 | 6.18~23 | 6.29 | ’21.7.5~’22.3.4 |
* 채용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ㅇ 1차 심사는 「LH 작은 도서관 지원센터」 외부 전문가 2인이 최종 선발인원의 3배수를 결정하고, LH 지역본부별 외부 전문가 1인, LH 직원 1인이 최종 면접을 실시해 합격자를 결정한다.
ㅇ 공정한 채용을 위해 지원서에 직·간접적으로 학교명, 출생지, 부모직업, 가족관계, 개인 신상 등 직무 능력과 관련이 없는 내용은 기술이 금지되는 등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된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LH홈페이지(www.lh.or.kr)-LH소개-채용정보-비정규직 채용공고]에 게시된 공고문을 참고하면 되며, LH 작은 도서관 코디네이터 채용대행기관 콜센터(1644-8366) 및 LH 콜센터(1600-1004)를 통한 전화 문의도 가능하다.
근
□ 근무기간은 오는 7월부터 내년 3월까지 8개월이며, 하루 6시간씩 주 5일 근무한다.
ㅇ 급여는 월 130만원 수준으로, 근무지는 LH 임대주택 단지 내 305개소의 ‘작은 도서관’이다.
LH
□ LH는 고유업무 수행과 함께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난 ‘17년부터 「LH Good Job Plan」을 수립 및 시행해왔다.
ㅇ 임대주택 실버사원, 홀몸어르신 도우미, 매입·전세임대 물색 도우미 등 임대단지 주거 서비스 개선을 위한 직접 채용, LH 희망상가 등 창업공간 제공을 통한 고용창출 등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ㅇ ‘20년에도 임대주택 실버사원, 홀몸어르신 도우미 2,186명을 포함해 총 4,700여 명의 직접 고용과 외부 업무위탁, 창업공간 제공 등을 통해 약 1만2천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 LH 관계자는 “이번 채용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악화된 고용여건 속에서 일자리 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대단지 취약계층의 고용창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입주민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참고-1 | | LH 임대단지 내 ‘작은 도서관’ 운영 현황 |
□ (설치기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500세대 이상 단지에 33㎡이상 설치해야하는 주민공동이용시설임
□ (현 황) 전체 626개소 중 활성화를 희망하는 단지를 대상으로 지원사업(리모델링, 코디네이터 및 운영비 등 지원) 추진 중
[ ‘작은 도서관’ 설치 및 운영 현황 - ’20.11월말 기준 ]
구분 | 합계 | 영구 | 국민 | 행복 | 혼합 | 공임 | 분납 | 장기전세 |
전체 | 626 | 39 | 374 | 34 | 70 | 102 | 6 | 1 |
* ▣ 활성화사례1 – 월산주공 ‘작은 도서관’(김해장유월산 11단지)
문화가 있는 날 | 외부기관 협력 | 바자회 개최 |

| 
| 
|
- 지자체 공모사업 선정 후 매달 그림책만들기, 인형극, 팝아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 실시 | - 경남하나센터, 지역난방공사 등과 협력해 아동 대상 방학무료특강, 원어민 영어교실 등 진행 | - 입주민 기증서적을 활용한 책 나눔 행사를 개최해 도서관 이용 활성화 유도 |
▣ 활성화사례2 – 숲속마을 ‘작은 도서관’(숲속마을휴먼시아)
자격증 과정 | 원화 전시회 | 독서 및 작가 특강 |

| 
| 
|
- 독서지도사 교육 과정을 개설해 입주민 대상 자격증 교육 실시 | - 입주민들이 무료로 원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도서관 내 원화 전시회 개최 | - 단지 내 입주민(어린이 및 노인)을 대상으로 독서특강 및 작가초청 특강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