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고속도로 동물찻길사고 5~6월 최다 발생

한국도로공사, “새벽 0시~8시 사이 특히 주의” 당부

       
‣ 최근 5년 동물찻길사고 8,608건 중 5~6월에 42%, 새벽 0~8시에 61% 발생
‣ 야생동물 충돌 시 핸들·브레이크의 급조작 피하고 안전한 곳에서 신고
‣ 생태통로와 유도울타리 설치로 동물찻길사고 매년 감소 추세

□ 한국도로공사(사장 김진숙)는 나들이 차량 증가와 야생동물 활동량 증가 등이 맞물리는 5~6월을 맞아 운전자들에게 동물찻길사고 주의를 당부했다.

  o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16~’20) 고속도로 동물찻길사고는 총 8,608건이 발생했으며, 시기적으로는 5~6월이 3653건(42%), 하루 중에는 새벽 0시~8시가 5216건(61%)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o 동물찻길사고를 많이 당하는 야생동물은 고라니(87%), 멧돼지(6%), 너구리(4%) 순이다. 고라니가 대부분인 이유는 포식동물의 부재로 인한 개체 수의 증가 외에도 도로와 가까운 낮은 야산에 주로 서식하며, 봄이 되면 먹이활동 등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 한국도로공사가 제안하는 동물찻길사고 예방 요령은 다음과 같다.

  o 내비게이션, 도로전광표지, 동물주의표지판 등으로 동물사고가 잦은 곳임을 알리는 곳에서는 전방주시와 함께 규정 속도를 지킨다.

  o 도로에서 야생동물을 발견한 경우에는 핸들 및 브레이크를 급하게 조작하지 말고 경적을 울리며 통과한다. 또한, 상향등은 동물의 시력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o 동물과 충돌한 경우에는 후속차량과의 2차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비상점멸등을 켜고, 가능한 우측 갓길로 차를 이동시킨 후 가드레일 밖 안전지대로 대피해 한국도로공사 콜센터(1588-2504)에 신고한다. 

□ 한편, 한국도로공사는 동물찻길사고 예방을 위해 건설 중인 고속도로 전 구간에 야생동물 침입방지 유도울타리와 생태통로를 설치하고 있으며, 유지관리 구간의 경우 동물찻길사고가 잦은 구간부터 매년 50km의 유도울타리를 설치하고 있다.

  o 현재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설치된 유도울타리는 총 2,596km이며, 생태통로는 55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고건수는 2016년 2,247건에서 2020년 1,287건으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 붙임자료 참조

□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봄철은 나들이 차량 증가와 함께 야생동물의 이동이 많아 동물찻길사고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며, “동물찻길사고가 발생한 경우 2차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안전지대로 신속하게 대피 후 후속차량을 위한 안전조치를 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붙 임 : 최근 5개년(‘16~’20) 동물찻길사고 관련 현황

붙 임

 

최근 5개년(2016~2020) 동물찻길사고 관련 현황

   
월별 현황                                                                                           [단위 : 건수]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8,608

374

230

303

809

2,134

1,519

626

388

346

596

599

684

2016

2,247

94

55

67

224

588

389

142

112

82

156

148

190

2017

1,884

85

55

62

161

475

353

110

80

74

131

149

149

2018

1,629

78

37

61

161

363

273

123

67

69

95

137

165

2019

1,561

57

43

69

151

376

287

148

63

70

135

86

76

2020

1,287

60

40

44

112

332

217

103

66

51

79

79

104

               
 시간별 현황                                                                                     [단위 : 건수]

구분

0~8

8~24

8,608

5,216

3,392

2016

2,247

1,398

849

2017

1,884

1,128

756

2018

1,629

984

645

2019

1,561

970

591

2020

1,287

736

551

                   

동물종별 현황                                                                                      [단위 : 건수]

구분

고라니

너구리

멧돼지

멧토끼

오소리

족제비

기타

8,608

7,481

320

537

34

33

111

17

75

2016

2,247

1,990

78

115

12

5

22

6

19

2017

1,884

1,643

69

115

10

7

19

-

21

2018

1,629

1,448

45

90

4

3

18

6

15

2019

1,561

1,305

60

143

3

8

29

3

10

2020

1,287

1,095

68

74

5

10

23

2

10

                            

노선별 현황                                                                                         [단위 : 건수]

구분

중앙

중부

당진대전

경부

영동

서해안

청주상주

중부내륙

서천공주

호남

기타

8,608

1,230

1,231

828

832

679

619

337

391

311

266

1,884

2016

2,247

366

314

258

219

126

165

101

105

95

75

423

2017

1,884

274

260

199

174

154

125

69

92

56

61

420

2018

1,629

228

206

151

166

161

112

55

75

54

50

371

2019

1,561

212

245

149

146

137

92

73

70

49

49

339

2020

1,287

150

206

71

127

101

125

39

49

57

31

331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