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일교차 큰 가을철 나들이, 식중독 주의하세요.

야외 활동 시 개인위생, 식품 보관․섭취 주의 당부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코로나19 등으로 실내활동이 자제되면서 야영장, 유원지 등으로 야외활동이 늘고 있는 가을철을 맞아 도시락 준비와 야외에서의 식음료 보관·섭취 시 식중독 발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 최근 5년간(`15~`19년)평균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을철(9~11월)에 89건으로 여름철(6~8월) 108건 다음으로 식중독 발생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 최근 5년 평균 식중독 발생현황(건수/환자수) : 여름(6~8월) 108건/2,730명 > 가을(9~11월) 89건/2,082명 > 봄(3~5월) 89건/ 1,530명  > 겨울(12~2월) 56건/532명
   - 이는 아침, 저녁은 쌀쌀하지만 낮 기온이 높은 가을철에 조리된 음식을 장시간 상온에 보관하는 등 식품보관이나 개인위생에 대한 관리가 부주의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 가을철 건강한 나들이를 위해 식중독 발생 및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도시락을 준비할 때 조리 전·후로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② 과일·채소류 등은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로 깨끗이 헹구고, 육류 등 식품은 중심온도 75℃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야 합니다.
 ③ 김밥을 준비할 경우에는 밥과 재료를 충분히 익히고 식힌 후 조리하며, 도시락은 밥과 반찬을 식힌 후 별도 용기에 담습니다. 
 ④ 조리된 음식은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하여 10℃ 이하에서 보관·운반하고, 햇볕이 닿는 곳이나 차량 내부, 트렁크 등 비교적 온도가 높은 곳에서는 2시간 이상 방치하면 위험합니다.
 ⑤ 주변의 덜 익은 과일이나 야생버섯 등을 함부로 채취·섭취해서는 안 되며,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계곡물이나 샘물 등을 함부로 마시지 않도록 합니다. 
 ⑥ 야외에서도 가급적 마스크를 착용하고 침방울 튀는 행위 또는 신체접촉을 자제하고 사람간 거리두기를 준수합니다.
  - 많은 사람이 모인 밀집한 장소에서 취사와 취식은 최소화하고, 주변 사람들과 근접한 거리에서 식사하거나 대화를 자제하여야 합니다.
□ 식약처는 가을철에 음식물 취급과 섭취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건강하고 안전한 나들이가 될 수 있다며, 평소 식중독예방 6대 수칙을 꼭 실천해 주시기를 당부한다고 밝혔습니다. 
    * 6대 실천수칙: 손은 깨끗이 씻고, 음식은 익히고, 물은 끓이고, 칼·도마는 따로 쓰고, 식재료는 깨끗이 세척하고, 냉장고에서 보관온도 지키기

<첨부> 1. 가을철 식중독 발생 현황
<첨부> 2. 가을 나들이 식중독 예방 요령
  

붙임 1

 

가을철 식중독 발생 현황

□  최근 5(15~19) 계절별 식중독 발생 현황

구분

5년평균

2015

2016

2017

2018

2019

343

6,874

330

5,981

399

7,162

336

5,649

363

11,504

286

4,075

(3~5)

89

1,530

80

1,307

107

1,585

82

1,160

93

2,113

85

1,485

여름

(6~8)

108

2,730

96

3,008

120

3,429

136

2,900

99

2,898

90

1,415

가을

(9~11)

89

2,082

86

920

117

1,602

64

1,256

124

6,032

56

599

겨울

(12~2)

56

532

68

746

55

546

54

333

47

461

55

576


  

붙임 2

 

가을 나들이 식중독 예방 요령 

     
□ 도시락 준비 요령 
   조리 전·후 올바른 손씻기
    - 반드시 비누 등 손세정제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씻기
   위생적으로 만들기
    - 과일·채소류 등은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기
    - 조리 음식은 중심부까지 완전히 익히기
    - 김밥을 준비할 경우 밥은 식초, 매실액 등 양념과 섞은 후 충분히 식히고, 재료도 익힌 후 충분히 식혀서 만들기
   안전하게 용기에 담기
    - 밥과 반찬은 식힌 후에 별도 용기에 각각 따로 담기 
□ 보관·운반 요령 
   시원한 곳에 보관·운반하기
    - 햇볕이 닿는 공간이나 자동차 트렁크 등 온도가 높은 곳은 피해서 보관(실온에서 2시간 이상 보관하지 않기) 
     ※ 자동차 트렁크는 외부온도보다 높기때문에 세균 증식이 용이함
    - 아이스박스를 이용해서 식재료별 구분 보관·운반하기 
□ 섭취 요령 
   개인위생 관리 철저히 하고, 안전한 물 마시기
    - 식사 전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거나 물티슈로 닦기
    -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계곡물이나 샘물 등을 함부로 먹지 않기
   장시간 실온, 자동차 트렁크 등에 보관된 음식은 먹지 않기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연천군, 접경지역 AI 기반 그린바이오 미래 성장 전략 모색
경기도 연천군(군수 김덕현)은 지난 6월 27일 국립 통일교육원에서 개최된 『2025 지리학대회 접경지역 AI 특별 세션』에 참석하여 AI 기술을 활용한 접경지역 전략산업 및 지정학적 재편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특별 세션은 대한지리학회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AI·GIS·그린바이오·안보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접경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김덕현 연천군수는 기조 발제를 통해, “연천군은 수도권에 위치하면서도 DMZ 천연자원을 비롯해 임진강·한탄강 등 풍부한 수자원과 드넓은 가용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AI 기반 정밀농업 실행과 그린바이오 산업육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연천군은 현재 ▲자율주행 트랙터 및 농업용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실증사업, ▲국내 최초 위성 기반 정밀농업 시범사업, ▲연천 BIX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AI 기반 미래 전략산업(그린바이오)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연천군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및 DMZ 접경지역의 지리·생태적 강점을 바탕으로 AI 정밀농업 운영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이를 통해 향후 남북 농업협력 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세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