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추석‧거리두기 강화 등 재활용시장 적체증가 대비 선제대책 마련

◇ 폐플라스틱 선별지원금 확대, 폐비닐 재생원료 공공비축(1만톤), 적체량 조사(모니터링) 강화 등 시장
변화에 선제적 대응
◇ 시장 안정화 대책 마련(7.30) 후 전국 가격연동제 적용률 6.1% 상승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최근 비대면소비 등으로 인한 플라스틱 등 포장재 발생 증가와 추석연휴,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등에 따른 폐플라스틱 적체 증가에 대비하여 그 방지 대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20.1∼6월간 전년동기 대비 폐비닐 11.1%, 플라스틱 15.16% 발생 증가

 환경부의 시장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최근 폐플라스틱 재생원료의 판매량(내수량, 수출량) 실적은 8월 들어 일부 감소했으나 작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재생원료의 판매단가는 7월에 비해 8월에 소폭 상승했다.

  * 페트 매출단가(원/kg) : (’20.4월) 760→ (5월) 700→ (6월) 594→ (7월) 593→ (8월) 597폴리에틸렌 매출단가(원/kg) : (’20.4월) 699→ (5월) 699→ (6월) 805→ (7월) 766→ (8월) 831폴리프로필렌 매출단가(원/kg) : (’20.4월) 698→ (5월) 654→ (6월) 697→ (7월) 660→ (8월) 691

  또한, 재활용시장 안정화 대책 수립(7.30) 당시 전국 공동주택 1.9만 단지 중 32.2%에 적용 중이었던 가격연동제도 9월 8일 기준으로 38.3%까지 증가(수거대금 인하율 43.0%)했다고 덧붙였다.

  ※ (공동주택 가격연동제 적용률) 서울지역: 40.7% (7.30) → 56.3% (9.8),경기지역: 24.2% (7.30) → 31.5% (9.8), 인천지역: 45.0% (7.30) → 48.1% (9.8)

 다만 폐비닐의 경우, 그 적체량이 올해 5월까지 약 23% 증가 후 일부 감소세를 보였으나, 최근 고형연료제품*(SRF, Solid Refuse Fuel) 사용시설의 연료전환으로 재활용 수요가 감소하고 있고 유가하락 및 코로나19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산업**의 가동률 단축 가능성이 있어 적체량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을 원료로 만든 연료제품으로, 폐비닐 재활용량의 약 80% 차지

** 주요 수요처는 제지, 발전, 열공급 산업용보일러(섬유, 음식료품, 기계 등)

 

폐비닐류 적체량 추이 생산자책임재활용 품목(생활계 폐비닐) 재활용 용도




                                               <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류 예시 >



     
○ 또한, 발생량이 증가한 폐플라스틱의 선별품질 제고를 위해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선별지원금을 6개월간 추가지급*(kg당 20원 수준)하고, 재활용이 어려운 혼합플라스틱 중 ‘판페트류’에 대한 선별지원금을 2021년부터 상향 조정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 플라스틱류(단일재질+페트) 선별 대상으로 8월 실적부터 지급

 ○ 이에 더하여, 폐비닐의 경우에는 수요처 감소에 의한 적체를 방지하기 위해 9월 말부터 폐비닐 재생원료(펠릿 형태)의 공공비축 지원(1만톤 규모)을 추진할 계획이며, 이번 주부터 수요조사를 시작했다.

□ 환경부는 현재 실시 중인 주간 모니터링 외에, 9월 10일부터 선별업계를 대상으로 폐플라스틱 품목별 적체 현황을 집중 조사하여 추석연휴 등을 앞두고 적체량 변화를 사전 예측하고 필요한 대책을 추가로 보완할 계획이다.

□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및 비대면소비 증가로 폐플라스틱 처리와 적체 현황에 대해 보다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경기침체가 지속됨에 따라 관련업계의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지원대책도 신속히 집행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9월 1주 플라스틱 재활용시장 관련 주요 통계.
      2. 전문용어 설명.  

붙임1

 

91주 플라스틱 재활용시장 관련 주요 통계

                     
재질별 매출량 추이

(단위 : )

구분

19

월평균

3

4

5

6

7

8

9.1~6

PET

내수

15,940

16,190

11,912

16,155

13,960

16,524

14,718

3,376

수출

1,665

1,190

1,085

2,195

3,184

2,532

2,173

511

소계

17,605

17,380

12,997

18,350

17,144

19,056

16,891

3,887

PE

내수

13,616

14,155

14,324

14,179

14,983

13,073

11,987

2,618

수출

1,033

372

993

1,504

2,535

2,226

2,692

100

소계

14,649

14,527

15,317

15,683

17,518

15,299

14,679

2,718

PP

내수

14,495

17,049

15,708

12,320

14,329

17,169

15,214

3,008

수출

54

24

48

0

123

382

538

49

소계

14,549

17,073

15,756

12,320

14,452

17,551

15,752

3,057

   9월 매출량의 경우 96일까지 전산에 입력된 수량이며, 미입력된 외부계량 등의 사유로 변경 될 수 있음
 폐플라스틱 재질별 매출단가 추이

(단위 : /kg)

품목구분

‘19.평균

‘20.2

‘20.3

‘20.4

‘20.5

‘20.6

‘20.7

‘20.8

PET(Flake)

850

800

800

760

700

594

593

597

PE(Pellet)

974

744

705

699

699

805

766

831

PP(Pellet)

751

711

723

698

654

697

660

691

 

붙임2

 

전문용어 설명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 terephthalate)

 ㅇ 배출원 : 생수병, 과일트레이, 커피 용기 등 

 ㅇ 특성 : 기계적 강도 우수, 열접착이 어려움 

 ㅇ 재활용 용도 : 투명용기, 섬유, 부직포 등

□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ㅇ 배출원 : 샴푸용기, 일회용봉투 등

 ㅇ 특성 : 물과 수증기 차단성이 우수, 열접착성이 우수, 연한 소재와 단단한 소재에 혼용

 ㅇ 재활용 용도 : 필름류(비닐하우스, 영농 비닐, 비닐봉투 등), 파렛트(받침대), 우유함, 산업용 플라스틱 제품, 하수관 등 

□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ㅇ 배출원 : 고추장 등 음식용기, 도시락 용기 등 

 ㅇ 특성 : PE보다 경도 및 투명성이 양호, 주로 단단한 소재에 활용

 ㅇ 재활용 용도 : 파렛트(받침대), 자동차 내장재(범퍼 등), 자동차용 배터리 등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서로가 돌보는 도시, 의정부의 새로운 복지 기준... 복지, 제도를 넘어 삶으로… 의정부 ‘모두의돌봄’ 실현
도시의 품격은 사회적 약자가 얼마나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지에서 결정된다. 민선 8기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이 철학을 바탕으로, 모든 세대와 계층이 서로를 돌보는 복지 모델 ‘모두의돌봄’을 구축해 왔다.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맞춤형 돌봄 체계를 완성해 가고 있는 의정부시의 지난 3년 간 노력을 살펴본다. 현장에서 시작되는 복지혁신…의정부형 돌봄 브랜드 ‘모두의돌봄’시는 ‘모두의돌봄’을 통해 제도 밖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돌봄 공동체를 구축하고 있다. 현장 중심의 행정과 민관 협업을 바탕으로 복지정책에 진정성을 더하며, 3개 분야(▲의정부형 돌봄 ▲복지디자인 거버넌스 ▲복지 사각지대 해소) 11개 과제를 본격 추진 중이다. 대표 과제인 ‘돌봄 삶의 현장’은 시장과 관계 공무원이 복지 현장을 직접 찾아가 소외된 이웃을 살피고, 정책이 닿지 못한 영역을 체감하며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이 과정을 통해 시는 폭염에 취약한 경로당과 독거노인 가구, 자활기업, 장애인 걷기 대회, 아동양육시설 등 다양한 복지 현장을 지속 방문하며 고충을 청취하고 맞춤형 대응책을 마련해 왔다. 특히, 열악한 환경에 처한 한부모 가정 아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진주시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길 올라
‘2025 진주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 발대식이 4일 진주시청 광장에서 진주시 자전거협회(회장 설대호)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진주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는 진주지역 대학생들의 도전 의식과 협동 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2013년에 시작돼 올해 11회째를 맞았으며, 올해 자전거 국토 대종주팀은 진주지역 대학생과 서포터즈 등 총 40명으로 구성되어 의령군, 창녕군을 거쳐 대구 달성군, 칠곡군, 구미시, 상주시를 돌아오는 코스 250㎞의 종주 자전거길을 2박 3일의 일정으로 달린다. 두 바퀴로 달려가는 젊음과 열정의 진주시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팀은 5년 연속‘대한민국 도시 대상’을 수상한 살기 좋은 도시 진주의 자긍심을 싣고 낙동강 국토종주 자전거길을 달리며 ‘명품 자전거도시 진주, K-기업가정신 수도 진주’ 등을 홍보하고 환경 봉사활동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참가 대학생 대표인 경상국립대학교 김태환, 김현정 학생의 선서와 함께 참가자 전원 완주와 안전한 라이딩에 대한 결의를 다졌다. 김태환 학생은 “이번 자전거 국토 대종주를 통해 한계를 넘고 역경을 극복하는 진취적 기상과 강인한 의지를 기를 수 있을 것”이라며 “참가자들 간 유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