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태화강 철새 생태원‘왜가리 부화에서 이소(離巢)’첫 관찰.작년 중백로 이어 백로류 육추 과정 확인 성과

‘태화강 철새 생태원’ 내 왜가리 2마리가 부화한 지 67일 만에 둥지를 떠나 세상 속으로 들어간 모습이 카메
라를 통해 처음으로 관찰됐다.

 
울산시는 ‘태화강 철새 생태원’ 내 설치된 관찰 카메라(CCTV)를 통해 매년 백로 번식 과정 활동을 추적 관찰하던 중 올해 처음으로 ‘왜가리’ 새끼의 부화에서 이소(離巢, 새의 새끼가 자라 둥지를 떠나는 일)까지 전 과정을 영상으로 담았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중백로 부화 육추 과정을 영상으로 담아내기도 했다. 
  울산시는 태화강을 가장 먼저 찾는 왜가리를 지난 2월 26일부터 짝짓기와 둥지 만들기, 산란과 부화, 육추(育雛, 알에서 깐 새끼를 키움) 과정을 살폈으나 몇 차례 실패했다.  지난 4월 28일, 마침내 2개 알을 산란(産卵)하고 포란(抱卵) 둥지를 발견해 관찰을 시작했다. 
  이 왜가리 쌍이 암·수 교대로 품으면서 알을 굴리는 등 정성을 쏟은 결과, 5월 8일 오전 6시 55분 경 첫 번째 알이 부화했다. 10여분 뒤 암컷이 다시 알을 품어 7시 47분 경 두 번째 알에서 젖은 솜털을 가진 생명이 태어났다.  
  왜가리는 산란 후 25일에서 28일경 부화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4월 2일에서 4일 사이 알을 낳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후 어미 새는 알 껍데기를 버리고 오전 8시 37분경, 첫 먹이로 작은 물고기(망둑 종류로 추정)를 먹이기 시작했다. 새끼들이 부리로 자르지 못하자 어미 새가 잡아주기도 했다. 
  이후 왜가리 부부새는  협력하여 새끼를 돌보고 먹이 활동을 교대로 했으며 수컷이 둥지 보수를 위해 나뭇가지를 물어 오고 암컷은 둥지 보수를 지속적으로 진행했다. 
  부화한 지 4주가 지나면서(5월 29일경) 부리와 날개, 다리가 어미 새만큼 성장했다. 새들이 자라면서 먹이는 큰 물고기가 많았고 간격이 짧아졌다. 부리로 빨리 달라고 어미 새 부리를 물고 늘어지거나 형제끼리 먹이를 두고 양쪽에서 무는 등 먹이 경쟁하는 모습을 자주 보였다.  
  둥지를 떠날 때가 되면서 둥지 안에서 날개를 펼치거나 높은 곳으로 이동해서 날개 짓을 연습했다.
  7월 6일 이후로 첫 번째 왜가리는 낮 시간 동안 다른 곳으로 갔다가 밤에 숙소로 둥지를 찾았다. 어미 새는 하루에 한번 정도씩 먹이 주러 둥지를 찾았다. 
  7월 10일 이후 첫 번째 새끼 왜가리는 둥지를 찾아오지 않았다. 둘째 왜가리는 부화한 지 67일 만인 7월 13일 오전 10시 2분경, 둥지를 떠나 돌아오지 않았다. 
  왜가리( Ardea cinerea), grey heron)는 왜가리과 중 가장 큰 종이다. 몸길이 90~100cm로 중대백로보다 크고 대백로보다 작다. 2월말부터 5월 중순까지 3∼ 5개 알을 낳고 25~28일 동안 품은 뒤 부화하고 암수가 교대로 기르는데 50~55일 이후 이소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이번에는 이를 넘겨 떠났다. 먹이는 어류, 개구리, 뱀, 들쥐, 새우, 곤충, 작은새 등이다. 태화강 대숲을 찾는 백로류 중 가장 큰 새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 태화강 대숲을 찾아 번식하는 백로류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찰을 이어가고 관찰된 자료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태화강 대숲에는 7종 8,000여 마리 백로류들이 찾고 있어 태화강과 울산 연안이 동아시아 대양주 철새 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등재 가능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사진, 동영상 별송. 끝. 
 

붙임

태화강 철새 생태원 왜가리 번식 관찰기록  

  

일시

관찰 내용

428

대나무위 둥지에 포란(2개알)하고 있는 왜가리 발견 관찰 시작

517

·수 교대 알 품기(, ) 및 알 굴리기, 둥지 보수

58

0655분 첫 번째 알 부화, 10분 후 다시 품기

58

0747분 두 번째 알 부화 , 알 껍데기 둥지 밖으로 버리기

58

첫 번째 먹이주기 관찰

512

흰 솜털이 뒤덮인 부리가 발달된 대형 조류 형태로 성장

520

회색빛이 많이 나는 빛깔, 부리 발달(물고기 한 마리 삼킬 정도)

521

부화 이후 수컷은 둥지 재료 물어오고 암컷 지속적인 둥지 보수

529

어미 새 둥지 떠나 새끼 왜가리만 둥지 지키게 됨

61- 10

암수 교대 공급과 먹이 다툼 장면 관찰되고 둥지 보수작업, 새끼들도 성장한 날개 펼치고 날기 연습 및 깃털 다듬기 활동 관찰

615

새끼 왜가리들도 둥지 만들기 따라 하기 모습 관찰

621

둥지에서 날기 위한 연습을 연속적으로 펼침

628- 30

둥지 옆 대나무가지로 날아 넘어가기 등 날기 모습 관찰

716

새끼들이 둥지를 벗어나 날아갔다 돌아오기를 반복

76- 9

첫째 왜가리 둥지를 떠났다가 잠잘 때 둥지를 찾아옴

710

첫째 왜가리 둥지를 떠나 밤에도 돌아오지 않음

713

오전 102분경, 둘째 왜가리 둥지를 벗어나 날아감. 이후 근처로 돌아오지 않음. 밤에도 관찰되지 않음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남양주시 화도도서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에 선정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화도도서관이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주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의 시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시니어 북스타트’는 그림책을 매개로 한 인문학 활동을 통해 고령층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전국 단위 공모사업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전국 15개 기관만이 선정됐으며, 경기도 내에서는 화도도서관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화도도서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5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그림책 낭독 △삶의 이야기 나누기 △세대 공감 인문학 워크숍 등 총 4차례의 그림책 기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책꾸러미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물품 일부는 책읽는사회문화재단으로부터 지원받으며, 프로그램에는 전문 강사도 함께 참여한다. 프로그램은 정서적 소외를 겪기 쉬운 시니어 세대에게 독서를 통한 심리적 위로와 사회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가족 간 소통을 촉진하고, 지역 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도도서관은 지역사회 내 시니어 삶의 질 향상과 평생학습 지원이라는 취지 아래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해 왔다. 2024년 기준 화도읍의 5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전체의 35%로, 전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