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부산시, 규제자유특구 운영성과 ‘우수’ 획득

중 기부의 「규제자유특구 2019년 운영성과 평가」 결과


◈ 중소벤처기업부 특구지정 후 첫 번째 평가에서 부산 블록체인 특구 쾌거 달성
◈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례 제정, 블록체인 공공선도사업 유치, 블록체인 융합보안대학원(부산대) 유치, 신규 과제 지속 발굴 등 노력의 성과

  부산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규제자유특구 2019년 운영성과 평가’에 대한 전국(7개)* 시도평가 결과 최고 등급인 ‘우수’를 받았다고 밝혔다.

 * (부산)블록체인, (대구)스마트웰니스, (세종)자율주행, (강원)디지털헬스케어, (충북)스마트안전제어, (경북)차세대배터리리사이클링, (전남)e-모빌리티

  특구 운영성과 평가는 지역특구법 제83조(규제자유특구의 운영에 대한 평가) 에 따라 매년 지정된 특구에 대해 지역경제 활성화, 규제특례 활용실적 등 운영성과를 평가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번 평가는 특구지정 후 첫 번째 이루어지는 평가이다. 중기부는 성과가 우수한 특구에 추가 재정지원 등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지난해 7월 중소벤처기업부 1차 특구 지정 이후, 부산시는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성공 추진을 위해, 부산블록체인규제자유특구추진단(단장: 경제부시장)을 9월에 출범하고, 운영위원 및 법률자문단 위원을 위촉하였으며, 부산 블록체인 특구 전담조직에 부산시와 한국인터넷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가 참여하는 등 인원보강을 통해 실무지원체계를 마련하였다. 또한, 시는 한국인터넷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 비피앤솔루션, 현대페이, 코인플러그, 부산은행 등 특구관계자 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특구협의체’를 운영 중이다.

  특히 부산시는 신속한 체계 구축을 위해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례 제정을 추진하여 올해 1월에 공포하였고, 블록체인 공공선도사업 유치, 블록체인 융합보안대학원(부산대) 유치, 기술컨설팅, 신규 과제 지속적 발굴 등 부산에 블록체인 확산을 위한 마중물을 끊임없이 준비하였다.

  부산시 관계자는 “블록체인이 상용화되면 미래 경제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부산 블록체인 특구가 상용화를 위한 실증 기지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 관심을 가질 것이며, 부산시 7대 전략산업 육성과 연계한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는 물류, 관광, 공공안전, 디지털원장 등 4대 핵심 분야에 대한 실증 중이며 물류를 제외한 3대 분야는 지난 4월에 실증 착수를 하였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