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남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대변인 브리핑(10:30)

4월 2일(목) 코로나19 관련 김명섭대변인 브리핑 내용


어제(1일) 17시 대비, 추가 확진자 1명이 발생하였습니다.


추가된 경남 105번 확진자는 김해에 거주하는 96년생 남성으로

해외입국자입니다.


작년 12월 13일부터 영국에 체류하다가 3월 30일(월) 입국하였습니다.

인천공항에서 입국자 전용 버스로 KTX 광명역에 도착하였고,  

부산역에 도착 후 자택까지는 어머니와 함께 승용차를 이용하였습니다.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받은 입국자 명단을 통해 관리되고 있었고, 

30일부터 자가격리 중이었습니다.


최초 증상 발현일은 입국 후 하루가 지난 3월 31일(화)였고, 

4월 1일 저녁 6시 30분 경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마산의료원에 입원하였습니다. 


접촉자인 어머니도 현재 검사 중이며, 자가격리 중입니다. 


다행히, 현재까지 진주 윙스타워 관련 추가 확진자는 없습니다. 


우리 도는 지역 확산을 막기 위해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는 한편,

심층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윙스타워 관련자는 총 7명입니다.

(경남 93, 97, 98, 99, 100, 103, 104번)


이에 우리 도는 추가 확진자를 파악하고, 감염원 파악을 위해 

질병관리본부와 논의하여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윙스타워 관련 확진자들 중 경남 93, 97, 98번 확진자들이

3월 21일 같은 날, 윙스온천을 이용한 것이 확인되었고, 

증상도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어 세 사람이 가장 먼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93, 97, 98번 중 증상이 가장 빠른 확진자는 97번으로

첫 증상일이 3월 26일입니다.

첫 증상일의 14일 전(잠복기)인 3월 12일부터 

윙스타워 건물 방문자를 전수조사하기로 하였습니다.


먼저 3월 12일부터 3월 31일까지 윙스타워 건물 방문자 중

유증상자는 전원 검사하고 

음성이 나오더라도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자가격리를 권고합니다.


3월 27일부터 3월 31일까지 A동 11층에서 근무한 전체 직원은

증상유무에 상관없이 전원 검사하고, 

음성이 나오더라도 14일 간 능동감시 및 자가격리를 진행합니다.


3월 12일부터 3월 24일까지 윙스타워 내 스파 방문자도 

전원 검사를 진행합니다. 

검사 기간 동안 자가격리를 권고하되,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오면 자가격리를 해제합니다.


특히, 3월 12일부터 24일까지 

윙스타워 내 스파를 방문하신 분들은 증상이 없더라도, 

반드시 보건소에 신고하여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또한, 3월 12일부터 3월 31일까지 윙스타워 건물을 방문하셨던

도민들께서는 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보건소를 방문해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현재까지 우리 도와 진주시에서 파악한 

윙스타워 방문자 및 직원, 입주자는 총 2,500명으로 추정됩니다. 


윙스타워에 별도의 임시 선별진료소를 설치하였고,

드라이브스루 방식의 선별진료도 병행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윙스타워 관련 확진자의 접촉자는 총 100명으로 파악되었고,

검사결과 음성 94명, 2명은 검사 중입니다. 4명은 기존 확진자입니다.


윙스타워와 관련하여 1003명이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였고,

이중 529명에 대해서 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이 중 73명은 음성, 현재 456명이 검사 중입니다. 


향후 추가 확진자 발생 추이와 역학적 특성을 

파악해 역학조사 및 방역조치를 강화해 가겠습니다.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해 

진주시를 비롯한 인근 시군 도민들께서는

외출 및 특히 다중이용시설 출입을 최대한 자제하여 주시길 당부 드립니다.


강력한 물리적 거리두기는 지속되어야 합니다. 

도민 여러분의 협조를 간곡히 요청 드립니다.


현재 경남도 내 확진자는 총 102명입니다. 


                                                                < 시군별 확진자 현황 >

                                                                                                        

총계

창원

거창

김해

창녕

합천

진주

거제

밀양

양산

고성

함안

남해

함양

산청

102

27

19

10

9

8

8

6

5

4

2

1

1

1

1


이 중 68명이 완치되어 퇴원하였습니다.


현재 입원 중인 확진자는 모두 34명입니다. 


<입원 병원별 분류>

마산의료원 28명, 양산부산대병원 3명, 창원경상대 병원 2명, 진주경상대병원 1명


입원자 34명 중 중증환자는 2명(73, 86번 확진자)입니다.

나머지 32명은 경증입니다. 건강상태는 양호한 편입니다.  


86번 확진자는 지난 주 토요일(3.28) 마산의료원에서 

진주 경상대병원으로 전원하였고 

그간 일반병동 음압병실에서 치료 중이었습니다.


전원 당시에는 증상이 다소 심하지 않았으나,  

이후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3월 31일(화)부터 중환자 음압병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경남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해외여행 관련 1명이 증가하였습니다. 


<경남 확진자 102명 감염경로 분류>

신천지 교회 관련 29명, 대구‧경북 관련 16명, 해외여행 및 방문 11명(증가 1명, 경남105)

대한예수교침례회 거창교회 관련 10명, 거창 웅양면 관련 8명, 윙스타워 관련 7명,

한마음병원 관련 7명, 창녕 동전노래방 관련 7명, 부산 온천교회 2명,  

불명 5명(경남25·72,84번(완치) / 87, 88번)

대구‧경북 확진자 63명이 도내 병원 병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어제 오후 국립마산병원에서 대구 제2미주병원(제이미주병원)에서 

대구·경북 확진자 5명이 추가로 이송되어

현재 41명이 입원 중에 있습니다. 


<대구·경북 확진자 병원별 현황>

국립마산병원 41명(5명 증), 마산의료원 8명, 창원병원 4명, 

창원경상대병원 4명, 양산부산대병원 3명,  진주경상대병원 3명


현재 도내 잔여병상은 151병상입니다. 


<도내 잔여병상 현황>

마산의료원 116, 진주경상대 15, 양산부산대 10, 창원경상대 7, 삼성창원병원 3 병상


다음은 해외입국자 방역상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어제(4. 1) 0시부터 모든 나라에서 들어오는 입국자는

2주간 자가격리를 실시합니다.


현재 우리 도의 해외입국자는 총 3,026명입니다.

어제 17시 대비 91명이 추가되었습니다.


입국 후 14일이 경과한 1,012명에 대해서는 능동감시를 해제하였고,  

2,004명(기존 확진자 10명 제외)에 대해 능동감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유증상자 633명(기존 확진자 10명 제외)을 확인해 검사를 의뢰했고,

음성 593명, 검사 중 40명입니다.  

 

공항검역을 통해 확인된 도내 추가 확진자는 없습니다.

우리 도는 김해공항 해외 입국자 현지 지원팀을 구성하였고,  

오늘 공항에 전담팀을 파견할 계획입니다. 


현재 김해공항의 해외 직항로는 

도쿄, 블라디보스톡, 싱가포르 3개 노선으로 축소된 상황입니다.


우선 입국 예정 인원을 사전 파악하게 됩니다. 

 

입국 당일에는 현지 지원팀이 입국자를 대상으로 

자가격리자 보호앱 설치 여부와 목적지 등 인적사항을 확인하고, 

자가격리 등 제반 유의사항을 안내합니다.  


자차를 이용하지 않는 입국자에 대해서는 

시군 관용차 및 소방 구급차로 거주지까지 이동하게 됩니다. 


이동시 공항에서 거주지까지 

도민들과의 접촉을 차단하여 

지역사회 감염우려가 없도록 하겠습니다. 


교육부는 4월 9일부터 

단계적 온라인 개학을 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오늘 오전, 김경수 지사는 각 시군 부단체장들과 함께 한 

재난대책본부 회의에서, 온라인 개학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교육청과 협력을 강화하고 적극 지원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온라인학습을 도와주는 도우미로 지원단을 꾸리고

공공일자리로 만드는 방안을 교육청과 협의해 

수립해 줄 것을 긴급히 지시했습니다.

온라인 학습 도우미는 스마트기기가 없는 학생들에 대한 기기 지원, 

인터넷 연결과 사용법, 학습 요령 안내 등을 돕게 됩니다. 


김경수 지사는 특히, 개학 연기로 인해 휴업 중인 

방과 후 학교 강사들과 학원 강사, 대학생, 청년실직자들이 

온라인 학습 도우미 지원단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공공일자리 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경남도에서는 코로나19 방역과 함께 

민생경제 회복에도 총력을 다 하겠습니다.


어제 5,017억 원이 증액된 9조 9,764억 원 규모의 

제1회 추경예산안이 도의회를 통과하였습니다.


필요한 곳에 제대로 쓰이도록 신속하게 집행하겠습니다.


추경 외에도 경남도는 경제위기를 함께 극복해 나가기 위해

민생·경제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하겠습니다. 


어제 민생·경제대책본부 제1차 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경남 경제상황 분석과 전망에 대한 보고,

그리고 분야별 피해 현황과 

각 부분별 대책이 논의되었습니다.


회의에 참석한 김경수 도지사는 

민생경제 각 분야의 현황과 피해상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현장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대책을 준비할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경남상공회의소에는 신용보증 한도 증액과 함께, 

각 국의 출입국 제한에 기업인을 예외로 하는 요청을 

경남도가 정부에 해줄 것을 건의하였습니다.


경남소상공인연합회에서는 

정책자금 대상 범위를 확대 하고, 

연합회와 도가 함께 위기실태조사를 해줄 것을 건의하였습니다.


우리 도에서는 관계 기관이 건의한 사항을 검토하여 

현실의 어려움이 해결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농수산 분야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겠습니다.


3월 27일까지 접수된 농어촌진흥자금 융자지원을 신속히 심의하여

109억 원 규모의 지원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농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사업은 

우유꾸러미를 포함하여 1만 6천 꾸러미 정도가 판매되었습니다. 


경남도는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사업을 비롯하여, 

수출 물류비 지원 등 농축산물 판매와 수출편의를 위해 

최대한의 지원을 하겠습니다.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민간 협업으로 쿠팡 등 온라인 판매를 늘려가고, 

매주 수요일 수산물 데이(DAY)도 지속 추진하겠습니다.


이 밖에도 우리 도에서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7대 분야 62개 시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지원책을 도민께서 쉽게 알 수 있도록 

앞으로 홍보를 더욱 강화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끝>

  1. 코로나19 발생대응 현황(09:00 기준)

경남도 발생현황 : 102(입원 34, 완치 68) (‘20.4.2. 09:00기준,)

                                                                              

번호

관할

성별

생년

감염경로

접촉자

확진

일자

입원기관

전국

번호

 

 

 

 

 

1,726

 

 

 

1

합천

‘96

신천지 관련

17

2.20

3.14. 해제

125

2

합천

‘48

신천지 관련

27

2.20

3.24. 해제

127

3

진주

‘01

신천지 관련

258

2.21

3.8. 해제

157

4

진주

‘06

신천지 관련

0

2.21

3.8. 해제

158

5

창원

‘73

한마음병원

82

2.22

3.26. 해제

490

6

합천

‘80

신천지 관련

46

2.22

3.5. 해제

2063

7

창원

‘99

대구·경북관련

39

2.22

3.24. 해제

549

8

양산

‘50

신천지 관련

17

2.23

양산부산대병원

551

9

거제

‘87

해외여행력

12

2.23.

2.28. 해제

886

10

창원

‘00

신천지 관련

2

2.23

3.22. 해제

563

11

함양

‘94

대구·경북관련

1

2.23

3.20. 해제

572

12

창원

‘71

한마음병원

16

2.23

창원경상대병원

566

13

고성

‘43

신천지 관련

25

2.23.

3.4. 해제

578

14

창원

‘88

신천지 관련

3

2.23

3.18. 해제

564

15

김해

'94

부산온천교회

27

2.23

3.25. 해제

577

16

합천

'86

신천지 관련

2

2.23

3.18. 해제

727

17

양산

'91

신천지 관련

18

2.23

3.19. 해제

732

18

합천

'81

신천지 관련

1

2.24

3.20. 해제

508

19

합천

'00

신천지 관련

2

2.24

4.1. 해제

511

20

합천

'55

신천지 관련

2

2.24

마산의료원(전원)

509

21

합천

'48

신천지 관련

34

2.24

3.17. 해제

510

22

김해

'69

부산온천교회

19

2.24

3.18. 해제

756

23

창원

'53

신천지 관련

23

2.24

창원경상대병원

2655

24

남해

'89

대구·경북관련

32

2.25

3.27. 해제

989

25

창원

'72

불명

31

2.25.

3.3. 해제

929

26

창원

'86

대구·경북관련

51

2.25

3.28. 해제

1553

27

거제

'99

대구·경북관련

7

2.25

3.22. 해제

987

28

창원

'98

신천지 관련

18

2.25

3.25. 해제

1178

29

창원

'04

대구·경북관련

9

2.26

3.25. 해제

1225

30

창원

'99

신천지 관련

7

2.26

3.12. 해제

1226

31

창원

'74

대구방문(25번가족)

0

2.26.

마산의료원

-

32

창원

'02

대구관련(25번가족)

0

2.26.

마산의료원

-

33

창원

'41

대구관련(25번가족)

0

2.26.

양산부산대병원

-

34

거창

'00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21

2.26

3.20. 해제

1233

35

거창

'75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31

2.26

3.14. 해제

1234

36

거창

‘54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9

2.26.

3.30. 해제

1240

37

창원

‘67

한마음병원

2

2.26

3.14. 해제

1236

38

창녕

‘61

대구·경북관련

0

2.26

3.23. 해제

1237

39

김해

‘55

대구·경북관련

0

2.26

3.15. 해제

1676

40

창원

‘64

신천지 관련

0

2.26

3.26. 해제

1433

41

밀양

‘85

신천지 관련

3

2.26

3.7. 해제

1757

42

창원

‘79

한마음병원

9

2.26

4.1. 해제

1756

43

김해

‘96

신천지 관련

10

2.26

3.8. 해제

1602

44

창원

‘76

한마음병원

62

2.27

3.16. 해제

1754

45

창원

‘78

한마음병원

60

2.27

3.16. 해제

1746

46

김해

‘61

신천지 관련

5

2.27

3.23. 해제

1677

47

거창

'71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5

2.27

3.23. 해제

2567

48

거창

'75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0

2.27

마산의료원

1722

49

밀양

'56

신천지 관련

4

2.28

3.8. 해제

1948

50

밀양

'15

신천지 관련

44

2.28

3.15. 해제

1947

51

창녕

‘59

동전노래방 관련

19

2.28

3.12. 해제

2176

52

거창

‘51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1

2.28

3.14. 해제

2178

53

거제

’68

대구·경북관련

5

2.28

4.1. 해제

2906

54

거창

’51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0

2.28

3.22. 해제

2918

55

밀양

’00

신천지 관련

3

2.28

3.28. 해제

2916

56

창녕

’90

동전노래방 관련

20

2.28

마산의료원

2913

57

거창

’55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1

2.28

마산의료원

2919

58

거창

’65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0

2.28

3.21. 해제

2917

59

거창

’66

대한예수교침례회거창교회

2

2.28

마산의료원

2920

60

김해

’66

대구·경북관련

4

2.28

3.20. 해제

2673

61

창녕

'90

동전노래방 관련

30

2.29

3.20. 해제

3325

62

창원

'99

신천지 관련

4

3.1

3.18. 해제

3563

63

고성

‘00

신천지 관련

4

3.1

3.21. 해제

3802

64

거창

‘00

신천지 관련

7

3.2

3.18. 해제

4567

65

거제

‘99

신천지 관련

5

3.3

3.20. 해제

5148

66

거창

‘62

웅양면 관련

15

3.3

3.25. 해제

4974

67

거창

`58

웅양면 관련

25

3.4

마산의료원

5537

68

거창

‘57

웅양면 관련

17

3.4

3.26. 해제

5716

69

거창

‘60

웅양면 관련

15

3.4

3.20. 해제

5615

70

창녕

‘96

동전노래방 관련

23

3.4

3.15. 해제

5604

71

창녕

‘04

동전노래방 관련

9

3.4

3.24. 해제

5418

72

창녕

‘54

불명

5

3.4

3.25. 해제

5366

73

밀양

‘57

대구·경북관련

4

3.4

양산부산대병원

5365

74

창원

‘83

대구·경북관련

3

3.4

양산부산대병원

5572

75

창원

‘14

대구·경북관련

1

3.5

3.19. 해제

6090

76

창녕

‘96

동전노래방 관련

9

3.5

3.25. 해제

5777

77

거창

‘44

웅양면 관련

13

3.5

3.25. 해제

5976

78

창원

‘75

한마음병원

3

3.5

마산의료원

6307

79

창녕

‘94

동전노래방 관련

3

3.6

3.25. 해제

6456

80

거창

‘69

웅양면 관련

19

3.6

3.18. 해제

6405

81

거창

‘47

웅양면 관련

1

3.6

마산의료원

6537

82

거창

‘63

웅양면 관련

4

3.7

3.19. 해제

6991

83

거제

‘92

대구·경북관련

1

3.10

3.30. 해제

7746

84

거제

‘71

불명

18

3.11

3.14. 해제

7779

85

창원

‘90

해외여행력

3

3.16

마산의료원

8274

86

창원

‘66

대구·경북관련

54

3.19

진주경상대병원

8633

87

창원

`67

불명

47

3.21

마산의료원

8873

88

창원

`94

불명

41

3.22

마산의료원

8953

89

함안

‘60

대구·경북관련

1

3.23

마산의료원

8982

90

양산

‘80

해외여행력

7

3.26

마산의료원

9302

91

김해

‘97

해외방문력

1

3.28

마산의료원

9583

92

창원

‘79

해외방문력

11

3.28

마산의료원

9561

93

진주

‘67

윙스타워 관련

40

3.28

마산의료원

9577

94

김해

‘91

해외방문력

19

3.29

마산의료원

9655

95

창원

‘62

해외방문력

9

3.30

마산의료원

9736

96

창원

‘57

해외방문력

22

3.31

마산의료원

9844

97

진주

‘60

윙스타워 관련

20

3.31

마산의료원

9799

98

진주

‘59

윙스타워 관련

5

3.31

마산의료원

9882

99

진주

‘80

윙스타워 관련

17

3.31

마산의료원

9927

100

진주

‘59

윙스타워 관련

5

3.31

마산의료원

9920

101

양산

‘80

해외방문력

24

3.31

마산의료원

9956

102

김해

‘91

해외방문력

1

3.31

마산의료원

9825

103

진주

‘89

윙스타워 관련

7

3.31

마산의료원

9914

104

산청

‘47

윙스타워 관련

6

4.1

마산의료원

9937

105

김해

‘96

해외방문력

조사중

4.1

마산의료원

9940

                                                                                               *접촉자 수와 경로 실시간 변동될 수 있음

        

 검사현황                                                                            (‘20.4.2. 09:00기준,)

                                                                                                      

검사자 수

자가격리자

소계

확진환자

의사환자

검사중

음성

14,064

102

505

13,457

1,089

                                                              

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