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혁신 연구개발비 지원’등 유치 활동 강화
울산시가 올해, 기술강소기업 55개 유치 목표에 도전한다.
울산시는 3월 26일 오후 2시 경제부시장실(본관 8층)에서 조원경 경제부시장 주재로 ‘2020년 제1차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전략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전략 회의는 울산시 관련 부서와 울산경제진흥원, 울산테크노파크, 울산정보산업진흥원 등 유관 기관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9년 추진 실적과 2020년 추진 계획을 점검하고,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지난해,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사업’은 시정 10대 핵심과제로 역점적으로 추진하였고, 기술력이 뛰어난 기술강소기업의 울산 이전을 촉진시키기 위해, 조례·규칙 개정과 입지·장비·고용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는 보조금 지침 등 제도를 정비했다.
기술강소기업 유치를 위한 입주 공간 확보, 투자유치위원회·협의회 구성, 창업 투자 지원, 기업 인증 지원, 투자유치팀 운영, 타깃기업 발굴(95개사), 투자설명회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부서와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협업과 노력으로 울산테크노파크 등 입주 공간에 강소기업 54개사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올해, 울산시는 주력산업을 더욱 고도화하고 새로운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이차전지, 수소산업, 자동차산업 등에 기술력을 갖춘 기술강소기업 55개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관내 이전·창업한 기술강소기업에 특별지원 보조금(입지, 장비, 고용보조금)을, 기술력이 뛰어난 기업의 울산 이전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개발비(R&D)를 지원하는 등 우수한 기술강소기업의 울산 유치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또한, 울산테크노파크, 정보산업진흥원 등 입주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 창업 지원, 대·중소기업 공동 기술개발 지원 등을 확대하며 기업맞춤형 투자유치팀 활동과 투자유치 설명회 개최 등을 통해 실질적인 투자유치 활동을 한층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대기업과 기술강소기업 간 균형 있는 산업 생태계 조성과 새로운 기술 중심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코로나19로 어려운 지역경제에 새로운 희망을 불어넣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 2019년 실적 및 2020년 계획. 끝.
붙임 1 | 기술강소기업 허브화‘19년 추진실적 및‘20년 추진계획 |
□ 2019년 추진실적
○ 2019년 시정 10대 핵심과제로「기술강소기업 허브화」의 제도적 기반 조성과 예산 확보
- 울산으로 이전·창업하는 기술강소기업에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조례·규칙 개정과 보조금 지원 지침 등 제도 정비
- 울산 이전·창업 촉진을 위한 투자유치 보조금과 연구개발비 마련
○ 부서와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협업과 노력, 전략적인 투자유치 활동으로 2019년 유치목표 초과 달성
- 기업유치 목표 : 50개사(TP, 정보산업진흥원, 경제진흥원 등)
- 기업유치 실적 : 54개 기업, 일자리 129개 창출
입주공간 조성
○ 지식산업센터 등 기술강소기업 유치 공간 확보 : 총 117개
* 울산TP, 정보산업진흥원, 울산대, UNIST,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 혁신성장 기반 조성을 위한 경제자유구역 지정 : 후보지역 선정(‘19.12.27.)
기술강소기업 유치 추진체계 구축
○ 울산광역시투자유치위원회 구성(‘19. 6. 28.) : 20명
○ 울산광역시투자유치협의회 구성·운영(‘19. 4. 10.) : 8개 기관, 3회
○ 기술강소기업 투자유치 전략회의 운영(4회)
기술강소기업 지원 제도
○ 기술강소기업 특별지원 및 R&D 예산 확보 : 4개 사업 2,350백만원
○ 창업기업 IR(투자설명)등 개최(4회), 창업펀드 투자(28건 298억원)
○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포럼 개최(5.2. 울산시청 대회의실, 50여명)
○ 기술혁신 및 경영혁신 기업 인증 지원 : 108건 84백만원(인증 8건)
전략적 투자유치 활동 전개
○ 타깃기업 발굴 및 DB구축 : 95개 기업(TP 55, 정보산업진흥원 37, 창조경제혁신센터 3)
○ 투자유치팀 활동(34개사), 투자기업 CEO·임원과의 상담(5회)
○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홍보 동영상 제작 및 광고), KTX객실내 모니터 홍보
○ 기술강소기업 투자유치 설명회 개최(서울권, 충청권 각 70명)
□ 2020년 추진계획
기술혁신 R&D자금(연구개발비) 및 인센티브 지원
○ 이전 희망 기술강소기업 R&D자금(연구개발비) 지원 : 8억원(시비)
○ 관내 이전·창업 기술강소기업 특별 지원 : 5억원(시비)
기술강소기업 집적화단지 및 입주공간 확충
○ 기술강소기업 집적화 단지 조성 : H.T.V 일반산단 1단계(분양중), 2단계(산단계획 수립, 토지보상 추진)
○ 기술강소기업 입주공간 지속적인 확충 : 117개소 입주가능(‘19.12.31.기준)
창업투자 생태계 조성 및 창업·벤처기업 육성 지원
○ 민간주도 투자생태계 구축 : 810억원 조성(청년창업펀드 등 4개 펀드)
○ 창업·벤처기업 육성 지원사업 추진(창업 단계별 지원)
- 지원예산 : 15,180백만원(국 9,730 시 4,745 민 705)
유망 타깃기업 발굴 및 DB 구축, 홍보 강화
○ 유망 타깃기업 발굴 및 DB구축(TP, 정보산업진흥원,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 ‘20년 기관별 기술강소기업 유치 자율목표제 설정 : 55개 유치 목표
합계(개사) | 경제진흥원 | 울산TP | 정보산업 진 흥 원 | 울산대 | UNIST | 창조경제혁신센터 |
55 | 5 | 30 | 15 | 2 | 1 | 2 |
○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홍보 : 투자유치단 활동(연중), 투자설명회 개최(상·하반기 2회), KTX 객실내 모니터를 통한 동영상 홍보 등
투자유치 전략회의 운영 정례화
○ 기술강소기업 투자유치 전략회의 지속 개최(분기 1회)
-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추진실적보고(총괄), 분야별 세부추진 실적보고 등
- 분야별 추진실적 보고, 추진상 문제점, 개선방안 도출 등
○ 기술강소기업 투자유치팀 운영(필요시 상황에 맞게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