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와 공동으로 ‘2020년 다문화가족 수출도우미 지원 사업’ 계획을 확정하고 참가기업 모집에 나선다.
다문화가족 수출도우미 지원사업은 한국어에 능통한 다문화가족 결혼이민자를 지역 중소기업들의 해외시장 개척 전문요원으로 활동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지난 2013년 시행 이후 참가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지원기간 확대(6개월→9.5개월)와 최대 3년까지 지원기간 보장, 월 활동비 지원 확대 등 수요자 중심으로 발전시켜 왔다.
그 결과 지난해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주관 2019년 균형발전사업 평가에서 ‘균형발전 및 사회적 가치 분야의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포창 수상과 함께 특전으로 예산 2억 원을 확보한 바 있다.
또한 사업 참가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도 사업 만족도와 성과가 높아 사업 예산과 지원기업 수를 매년 확대해왔다.
올해의 경우 지난해보다 3,000만 원 증액된 1억 2,000만 원의 예산으로 중소기업 12개사를 지원하게 된다.
울산시에 따르면 참가기업들은 다문화요원의 도움으로 현지 언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져 바이어의 요청사항을 정확히 이해한 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졌다.
특히 외국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경로 및 정보를 통해 바이어를 발굴하고, 현지 언어로 통·번역 및 상담 등을 지원받는 등 해외마케팅 업무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부터 3년간 지원받은 A사는 담당 다문화요원의 노력으로 베트남 내 제조 및 유통업체 등 600개사 이상의 잠재 바이어 리스트를 구축한 후 거래제안서 등을 송부한 결과 6개사에 샘플 및 제품 테스트용으로 약 3만 6,000달러의 수출에 성공했다.
2019년 사업 참가기업 10개사의 사업 실적을 집계한 결과 총 2,176건의 수출 상담 지원을 통해 702만 달러의 수출 상담실적과 497만 달러의 수출 계약 추진실적을 달성했다.
한편 선정된 기업과 요원에 대해서는 무역 실무교육과 무역협회 전문위원 상담 지원, 월 활동비 및 해외 출장비를 지원한다.
2020년 다문화가족 수출도우미 지원 사업 참가 접수 방법은 기업의 경우 울산시 통상지원시스템(http://ultrade.kr)을 통해 2월 21일(금)까지, 다문화요원의 경우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us.kita.net)로 3월 3일(화)까지 신청하면 된다. 끝.
참 고 | | 다문화가족 수출도우미 지원 사업 |
□ 사업개요
○ 목 적 : 모국어에 능통하고 현지 문화에 익숙한 다문화가족 수출도우미를 중소기업에 파견하여 해외마케팅 지원을 통해 수출기업으로 육성
○ 지원규모 : 12개사(12명)
○ 지원내용 : 다문화요원 활동비, 무역실무교육비, 해외동반 출장비
※ 업체 부담 : 다문화요원 출퇴근 교통비 15만원/월, 해외 출장 시 현지교통비 등
○ 사 업 비 : 120백만원(시 120)
□ 다문화요원 활동
○ (근무형태) 주 2회 내외 담당기업 출근 근무(그 외 시간 재택근무)
○ (역 할) 카탈로그 및 무역서신 등의 모국어 번역, 상담 및 통역, 현지 바이어 발굴, 시장조사 등 해외마케팅 업무
○ (전문성확보) 무역실무교육 년 2회, 무역전문위원(무역협회) 멘토링, 기업과 다문화요원이 상호 원할 경우 최대 3년간 지원
□ 그간 추진 실적
연도 | 예산 (백만원) | 지원기업 (신청기업) | 출신국 분포 | 만족도 | 계약추진실적 (천 달러) |
2016 | 50 | 8(12) | 중국4, 베트남3, 일본1 | 95점 | 5,100 |
2017 | 70 | 10(17) | 중국4, 베트남3, 일본2, 인도네시아1 | 90점 | 4,378 |
2018 | 85 | 10(18) | 베트남4, 중국3, 일본2, 러시아1 | 95점 | 3,392 |
2019 | 90 | 10(29) | 베트남4, 일본3, 중국2, 키르키즈스탄1 | 92점 | 4,974 |
□ 주요성과
○ 사업의 실질적인 성과 도출 등으로 기업만족도가 높고, 매년 수요 증가
※ (연도별 선정경쟁률) 2016년 1.5:1 / 2017년 1.7:1 / 2018년 1.8:1 / 2019년 2.9:1
○ 2019년 균형발전사업 지역자율계정 우수사례 선정(국가균형발전위원회)
- 기관표창, 인센티브 예산 2억원 확보
○ 기업 채용 실적 : 4명(정직원 1, 시간선택제 일자리 3)
○ 지역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 및 다문화요원의 자긍심 고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