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환경공단(KOEM, 이사장 박승기)은 지난 3월부터 10월까지 경남도 5개 기초 지자체(거제, 고성, 남해, 창원, 통영)를 대상으로 해파리 대량서식지를 발굴하고, 1억2천5백만 개체 이상의 부착유생을 제거했다고 밝혔다.
공단은 2013년도부터 어민과 해수욕객, 발전소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해파리의 대량발생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 해양수산부로부터 사업을 위탁받아 전국 주요 연안의 보름달물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금년도에 추가로 지자체의 요청에 따라 경남도 해역에서 해파리 부착유생 탐색·제거 사업을 실시했다.
경남도 해역은 복잡한 해안선과 유속이 빠른 수로가 산재해 있기 때문에 해파리가 쉽게 시·군 경계를 넘어 이동할 수 있어 경남도 인접 5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부착유생 제거를 동시에 실시하여 제거 효과를 극대화했다.
그 결과 매년 해파리 대량발생 경보가 끊이지 않았던 경남도 해역에서 올해는 해파리 주의보가 발령되지 않았으며, 어업피해도 급감했다.
박승기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은 “앞으로도 지자체와 협력하여 해파리 부착유생 대량 서식지를 적극 발굴, 사전 제거함으로서 해파리로 인한 피해를 줄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 보름달물해파리란? ㅇ 4월부터 8월에 전국 연안 중 주로 해류가 약한 곳에서 대량 발생하여 어업, 해수욕객에 피해 유발(15~30cm 크기로 보름달 모양) | 
|
◇ 보름달물해파리의 생활사 
◇ 수중에 구조물에 부착생활하며 개체수가 밀집된 폴립을 고압분사(water-jat)방식으로 사전에 제거하여 해파리 대량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 |
참고 2 | | 경남도 5개 지자체 해파리 폴립관리 추진경과 |
□ □ 사업개요
❍ 대상지 : 거제시, 고성군, 남해군, 통영시, 창원시
발주처 | 사업명 | 수행기간 | 사업내용 |
남해군 | 2019년 남해군 해파리 폴립제거 사업 | 2019.3.6.~5.31. | 적량항 탐색, 장포항 제거 |
통영시 | 2019년 통영시 해파리 폴립 제거사업 | 2019.2.28.~8.31. | 산양읍, 원문만 탐색·제거 |
창원시 | 2019년 창원시 해파리 폴립관리 사업 | 2019.2.21.~8.20. | 진동만(광암항, 고현항 포함) 탐색·제거 |
거제시 | 2019년 거제시 해파리 폴립제거 | 2019.3.7.~10.31. | 오송항, 죽림 탐색·제거 |
고성군 | 2019년도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사업 | 2019.3.7.~10.31. | 고성만, 자란만, 하이화력발전소 탐색·제거 |
□ 폴립 탐색 및 제거 현황
❍ 탐색 : 45,929㎡(715개 구조물) 탐색 실시
❍ 발굴 : 12,574㎡(175개 구조물), 폴립 1억6천5백만 개체 발굴
* 폴립분포 밀도 등을 고려하여 폴립제거 대상 7,510㎡(81개 구조물), 1억2천8백만 개체 선정
❍ 제거 : 6,777㎡(74개 구조물), 폴립 1억2천5백만 개체 제거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