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해양환경공단, 경남지역 해파리 대량발생 사전 차단

경남도 5개 지자체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 완료

 
해양환경공단(KOEM, 이사장 박승기)은 지난 3월부터 10월까지 경남도 5개 기초 지자체(거제, 고성, 남해, 창원, 통영)를 대상으로 해파리 대량서식지를 발굴하고, 1억2천5백만 개체 이상의 부착유생을 제거했다고 밝혔다.
  공단은 2013년도부터 어민과 해수욕객, 발전소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해파리의 대량발생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 해양수산부로부터 사업을 위탁받아 전국 주요 연안의 보름달물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금년도에 추가로 지자체의 요청에 따라 경남도 해역에서 해파리 부착유생 탐색·제거 사업을 실시했다. 
  경남도 해역은 복잡한 해안선과 유속이 빠른 수로가 산재해 있기 때문에 해파리가 쉽게 시·군 경계를 넘어 이동할 수 있어 경남도 인접 5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부착유생 제거를 동시에 실시하여 제거 효과를 극대화했다.
  그 결과 매년 해파리 대량발생 경보가 끊이지 않았던 경남도 해역에서 올해는 해파리 주의보가 발령되지 않았으며, 어업피해도 급감했다. 
  박승기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은 “앞으로도 지자체와 협력하여 해파리 부착유생 대량 서식지를 적극 발굴, 사전 제거함으로서 해파리로 인한 피해를 줄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참고 1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

  

보름달물해파리란?

4월부터 8월에 전국 연안 중 주로 해류가 약한 곳에서 대량 발생하여 어업, 해수욕객에 피해 유발(1530cm 크기로 보름달 모양)


 

 

보름달물해파리의 생활사


수중에 구조물에 부착생활하며 개체수가 밀집된 폴립을 고압분사(water-jat)방식으로 사전에 제거하여 해파리 대량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

 




  

참고 2

 

경남도 5개 지자체 해파리 폴립관리 추진경과

□   사업개요

대상지 : 거제시, 고성군, 남해군, 통영시, 창원시

    

발주처

사업명

수행기간

사업내용

남해군

2019년 남해군 해파리 폴립제거 사업

2019.3.6.~5.31.

적량항 탐색, 장포항 제거

통영시

2019년 통영시 해파리 폴립 제거사업

2019.2.28.~8.31.

산양읍, 원문만 탐색·제거

창원시

2019년 창원시 해파리 폴립관리 사업

2019.2.21.~8.20.

진동만(광암항, 고현항 포함) 탐색·제거

거제시

2019년 거제시 해파리 폴립제거

2019.3.7.~10.31.

오송항, 죽림 탐색·제거

고성군

2019년도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사업

2019.3.7.~10.31.

고성만, 자란만, 하이화력발전소 탐색·제거

    폴립 탐색 및 제거 현황
 ❍ 탐색 : 45,929㎡(715개 구조물) 탐색 실시
 ❍ 발굴 : 12,574㎡(175개 구조물), 폴립 1억6천5백만 개체 발굴
     * 폴립분포 밀도 등을 고려하여 폴립제거 대상 7,510㎡(81개 구조물), 1억2천8백만 개체 선정
 ❍ 제거 : 6,777㎡(74개 구조물), 폴립 1억2천5백만 개체 제거 완료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