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한국폴리텍대학 밀양캠퍼스 설립한다

한국폴리텍대학 밀양캠퍼스 설립추진단 운영


밀양나노융합국가 산업단지에 인력을 공급하게 될 한국폴리텍대학 밀양캠퍼스 설립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밀양시 내이동 옛 밀양대학교 부지에 설립될 한국폴리텍대학 밀양 캠퍼스는 대학본부와 학생복지관, 기숙사, 공학관, 경비실 건축을 위한 사업비 269억 6800만원(국비 193억100만원, 시비 76억 6700만원)이 소요된다.

 4개 학과(나노융합기계과, 나노융합설계과, 나노융합제어과, 나노융합응용과) 1,800명(정규과정 300, 단기과정 1,500)을 모집할 예정이다. 정규과정은 다기능 기술자과정 1,2학년 200명과 기능사 1년과정 100명 등 모두 300명이며 단기과정 정원은 1년에 1,500명 이다.

 현재 한국폴리텍대학 밀양캠퍼스 설립추진단이 꾸려져 밀양배드민턴경기장 내 사무실을 두고 운영 중이며,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될 경우 오는 2023년 3월에 개교하게 된다. 

 한국폴리텍대학 밀양캠퍼스는 지난 2015년 한국폴리텍대학 밀양캠퍼스 설립이 결정된 이후, 전국 폴리텍대학 캠퍼스의 종합적 조직진단 과정에서 사업이 일시 중단되으나, 시의 끈질긴 유치 노력으로 지난 8월 설립 재개가 확정됐다.

 밀양시는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가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한국폴리텍대학의 차질없는 설립을 위해 관계부서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이참에 나도 조상땅 찾아볼까? 고양시, 100년 전 토지문서 AI로 한글화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광복 80주년이자 세종대왕 탄신일(5월 15일)을 맞아 암호 같던 일제강점기 부동산 문서를 생생한 디지털 한글 화면으로 구현해 제공한다. 시는 100년 넘게 축적된 부동산 정보의 디지털화, 한글화를 마치고 조상땅찾기 등 맞춤형 부동산 정보 서비스를 확대 운영한다. 다양한 부동산 빅데이터 제공으로 잠들어 있던 땅의 기록을 쉽게 볼 수 있도록 정보 접근 문턱을 낮추고 행정·사법 시스템 효율도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부동산 정보 자산 디지털 전환과 빅데이터 기술 접목으로 시민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행정 업무를 효율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부동산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와 시스템 개선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방대한 부동산 정보 디지털 전환…1910~75년 토지정보 공백 해소 고양시는 1910년 일제강점기 토지조사사업 당시 만들어진 토지대장, 지적도, 측량원도 등 원본문서를 포함해 수십 년에서 길게는 100년 이상 된 방대한 양의 부동산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다. 시는 부동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하고 미래 세대가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도록 1975년부터 2003년까지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