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9월 10일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제14차 당사국총회에서 ‘평화산림이니셔티브(Peace Forest Initiative, 이하 PFI)’ 출범 행사를 가졌다.
* 평화산림이니셔티브(PFI)는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웃국가들이 해당 접경지역에 산림을 조성하거나, 황폐화된 토지를 복원함으로써 서로간의 신뢰를 쌓고, 평화를 증진하는 정책 프로그램을 말한다.
○ 이 행사에는 김재현 산림청장, 외교부 유연철 기후변화대사, 이브라임 띠아우(Ibrahim Thiaw)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사무총장과 함께 각 국가의 환경 및 산림과 기후변화를 담당하는 장관과 차관 등 약 100명이 참여하였다.
이번 총회에서 평화산림이니셔티브(PFI)는 갈등이 상존하는 접경지역들이 황폐화된 산림을 함께 복구하는 등 상호협력을 통해 신뢰와 평화를 이끌 수 있는 사업이라고 호평을 받았다. 더욱이, 산림복구 사업을 통해 해당 지역들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 발전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어 많은 국가로부터 뜨거운 지지와 호응을 받았다.
○ 평화산림이니셔티브(PFI)와 유사한 사례로는 ‘에콰도르와 페루의 평화공원’과 ‘조지아-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의 협력사례’ 등이 있다. 이들 국가는 산림협력을 통해 황폐지 복구를 하였고, 평화와 안보의 증진까지 이루었다.
○ 또한,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에티오피아 총리 면담(8월 26일)에서 평화산림이니셔티브(PFI)는 주요한 의제로 언급되었다. 분쟁을 겪은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리아가 함께하는 나무가꾸기를 통해서 평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책으로 제안이 된 바 있다.

산림청이 추진 중인 평화산림이니셔티브(PFI)는 ‘숲으로 만드는 평화와 번영’의 가치를 국제 사회에서 구체화하여 실현하는 것이다. 남한과 북한 사이에도 PFI를 통해서 접경지역에서의 산불, 홍수, 산사태 및 전염병 등의 문제에도 공동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병기 해외자원개발담당관은 “산림청은 평화산림이니셔티브(PFI)를 한반도 및 세계 평화증진에 기여하는 국제적 이니셔티브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평화산림이니셔티브(PFI)는 UN에서도 한반도를 포함한 접경지 평화증진을 위한 사업으로 상당히 관심을 갖고 있는 사항으로, 하나의 안건으로 논의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