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회 이영찬의원은 28일 제278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우리 부산도 세계적인 수준에 발맞춰 마리나 및 요트산업을 육성해 나가야 할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그 해법을 제시하였다.
이 의원에 따르면, 부산은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을 중심으로 북항재개발 사업지 등에 크고 작은 신규 마리나가 계획 중에 있고, 7개소의 해수욕장과 오륙도, 태종대 등 천혜의 해양경관을 가지고 있어 그 어느 지역보다 요트 등 레저선박을 이용한 해양레저․관광 활성화에 유리한 조건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마리나를 기반으로 하는 해양레저․관광산업은 고급스포츠라는 사회적 인식과 함께 각종 규제 등으로 지자체 주도의 성장정책을 마련하기엔 많은 걸림돌이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해양레저복합공간인 마리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마리나 산업의 핵심이자, 기반이 되는 요트를 비롯한 레저선박 산업을 키워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 의원은 부산의 마리나․요트산업 육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관련 산업의 법․제도 개선
- 마리나를 포함한 해양레저관광 인프라와 관련산업은 그동안 많은 규제에 묶여 활성화에는 그 한계가 있었으며, 해양 분야의 법적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시켜 해양자치분권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둘째, 요트제조산업 육성
- 부산지역 중소수리업체를 요트 제조업체로 전환하는 등 부산지역 요트 제조 산업 육성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마리나의 종합 해양레저 기지로 창출
- 마리나를 요트만 계류하는 고정적 개념에서 탈피하여, 종합 해양레저기지로 재창출해야 하며, 기존의 특색 없는 요트 계류장에서 벗어나 해상택시, 해상버스, 유람선 등 다양한 해상관광 기능을 복합적으로 발휘 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공간으로 창출해야 한다.
넷째, 체험교육 확대를 통한 수요 창출 유도
- 부산시 교육청에 학생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부산시 인재개발원에 요트 승선 체험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등 요트산업 활성화를 위한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
다섯째, 자유로운 요트운항을 위한 해상레저공간의 확보
- 요트 이용자들의 애로사항으로 많이 지적하는 것이 바로 어촌 어민들의 공유수면 점용 ․ 사용으로 인한 레저 활동의 어려움으로, 육지에서와 마찬가지로 해양에서도 해상레저관광특구를 지정하여 해양레저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한다.
끝으로, 이 의원은 마리나 ․ 요트산업을 부산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해 부산 바다에 수십 ․ 수백대의 요트가 운행되어 부산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해양수도로 거듭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