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조선시대의 호적등본은 어떻게 생겼을까?

대전시립박물관 2월의 문화재, 조선시대 호적등본인 호구단자 전시



 대전시립박물관이 2월‘이달의 문화재’로 조선시대 호적등본인 호구단자(戶口單子)를 전시한다. 

 조선시대 국가는 그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백성으로부터 조세(租稅)와 역(役)을 부과, 수취해야 했다. 

 호를 단위로 조세를 부과하고, 또 인구를 단위로 역을 부과했는데, 조세와 역을 부과 수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국가는 호적 만드는 제도를 일찍부터 발전시켰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호적제도가 성립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통일신라의 소위 '민정문서(民政文書)'가 호적대장에 준하는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호적제도가 확립됐고, 그 원칙은 3년에 한 번씩 호적을 개수(改修)하는 것이었으며, 그 제도는 조선에서도 계속됐다.

 조선왕조는 호구파악을 목적으로 매 3년마다, 자(子)·묘(卯)·오(午)·유(酉)로 끝나는 식년에 호적을 작성했다. 

 호주가 호구단자 2부를 작성해 올리면 이임(里任), 면임(面任)의 검사를 거쳐 주현(州縣)에 보내지고, 주현에서는 이전에 작성한 호구단자 또는 관계서류를 대조해 사실여부를 확인한 후 1부는 호주에게 돌려줘 호주의 집에 보관하게 하고, 1부는 관에서 보관했다.

 호구단자의 기재 내용은 가호의 주소, 호주의 직역·성명·나이·본관, 호주의 4조(부, 조, 증조, 외조), 호주 처의 성씨·나이·본관, 호주 처의 4조, 솔거자녀의 나이, 거느리고 있는 노비의 성명과 연령, 그들의 부모 등이다.

 2월 이달의 문화재로 선정된‘호구단자’는 대전의 오랜 세거성씨인 안동권씨 유회당가 권영수(權永秀, 1808~1867)의 호구단자다.

 그는 영조대 명신이던 유회당 권이진(有懷堂 權以鎭 1668∼1734)의 후손으로 1844년(헌종 10) 과거에 합격하여, 자산부사(慈山府使), 한성좌윤(漢城左尹),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낸 인물이다.

 이 호구단자는 권영수의 나이 60세에 작성한 호구단자로 당시 호주가 유회당가의 세거지인 무수동(無愁洞)에 거주했던 사실과 그의 4조 및 부인과 부인의 4조의 정보, 그리고 당시 동생 권영서(權永序)와 그의 처, 조카와 같이 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의 손자인 손병하(宋炳夏, 1646~1697)가 강희20년(1681)에 회덕(懷德)에서 발급받은 준호구(準戶口)와 대한제국 시기인 광무11년(1907)년 발급받은 호적표를 전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호구대장 작성의 역사와 조선시대 호구단자의 형식과 작성내용, 시대에 따른 변화, 그리고 당시의 가족제도 및 신분제도를 비롯한 사회상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2월 28일까지로 대전시립박물관 상설전시실에 코너가 마련돼있으며, 자료에 대한 기증기탁, 수집 제보는 상시 가능하다.

 관련 문의는 대전시립박물관 학예연구실.(042-270-8611~4)

[붙임] 대전시립박물관 이달의 문화재(2월) 이미지 자료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