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은행 등 10개 정책금융기관*이 참여한 신성장정책금융협의회** 산하 신성장정책금융센터는「신성장 공동기준」(‘17.1월)을 확대 개편한「혁신성장 공동기준」매뉴얼을 발간하였다.
* 산은, 기은, 수은, 신보, 기보, 성장금융, 신정원, 중진공, 무보, 농신보
** ‘정책금융의 미래 신성장 지원체계 구축방안’(제5차 경제장관회의, ’16.3.31) 추진기구
※ 신성장 공동기준 : 정책금융기관별로 신성장 산업 선정기준이 달라 지원과정에서 편중 및 누락지원 등 비효율성이 발생하였던 점을 개선하고자, 정책금융기관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기준(9대 테마, 45개 분야, 275개 품목)
□「혁신성장 공동기준」매뉴얼은 기존 공동기준의 품목설명을 보강하는 한편, 글로벌 최신 기술트렌드 등을 반영한 신규 품목을 추가하여 혁신성장 분야를 ‘9대 테마, 45개 분야, 300개 품목’으로 구체화한 것으로,
○ 공동기준 품목과 한국표준산업분류(KSIC)를 연계시킴으로써 적용대상 기업을 손쉽게 판단할 수 있고, 정책금융의 효과성 분석시 산업정보, 재무정보 등 각종 통계지표를 활용 가능토록 하였으며,
○ 또한, ‘혁신성장 공동기준 적용원칙’을 제정하여 전·후방산업 및 계획사업으로까지 혁신성장 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혁신성장 공동기준」은 혁신성장 분야를 300개 품목으로 구체화한 최초의 기준으로서 혁신기업을 발굴·지원하는데 지침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 특히, 정책금융기관의 혁신성장/4차 산업혁명 지원대상 선정 및 연계 상품 운용, 실적집계 기준으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 이외에도 정부기관 및 민간금융기관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하여 공동기준 품목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할 예정이다.
□ 향후 센터는「혁신성장 공동기준」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등을 위하여「혁신성장 인텔리전스시스템」을 정책금융기관 공동으로 개발, 혁신성장 정책금융 지원실적 집계 및 중장기 사후성과 분석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 한편, 혁신성장 정책금융 선도기관으로서 산업은행은 금년 혁신성장금융본부(본부장 양기호)를 신설, 센터를 정식부서로 편제하여 동 본부 내 벤처기술금융실, 간접투자금융실과 함께 효율적인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하고,
○ 10개 정책금융기관 협업을 바탕으로 신상품 개발 및 관행개선 등을 통하여 신산업 육성과 기존 산업의 4차 산업혁명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문의처 : 신성장정책금융센터 김영오 팀장(☏787-0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