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글로벌

한국수자원공사, 싱가포르서 대한민국 물관리역량 선보여

◇ 아시아물위원회와 함께 7월 8일부터 싱가포르 국제물주간 참여
◇ 국내 중소 물기업 해외진출 지원과 제2차 아시아국제물주간 홍보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사장 이학수)는 아시아물위원회, 국내 중소 물기업 10개사와 함께 7월 8일부터 12일까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호텔에서 열리는 ‘싱가포르 국제물주간’에 참가한다.
  ※ 아시아물위원회: 2016년 대한민국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 주도로 설립된 아시아 최대 물 관련 국제협의체로, 현재 이학수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회장을 맡고 있으며 세계은행, 민간기업 등 아시아 26개 국 130여개 기관이 참여  
 ○2008년 싱가포르 정부 주도로 시작한 ‘싱가포르 국제물주간’은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적인 물 행사다. 2016년엔 129개 국, 1천여 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올해에도 130개 국, 1천여 개 기업의 참가가 예상된다. 

□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행사 참여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우수한 물관리 역량을 비롯해 아시아물위원회 주관으로 2020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릴 예정인 ‘제2차 아시아국제물주간’을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 

 ○ 먼저, 7월 10일에는 아시아물위원회와 함께 우리나라와 중국, 싱가포르, 필리핀 등 국내외 스마트물관리 기술 사례를 공유하는 ‘스마트물관리 특별세션’을 개최한다. 

 ○ 스마트물관리는 물관리에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실시간으로 수질과 수량을 관리하는 기술이며, 미래 물산업 유망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 같은 날 오후에는 아시아물위원회 주관으로 ‘제2차 아시아국제물주간’의 개최계획 등을 공식 발표하는 발대식(킥오프 미팅)이 열린다. 

  ※ 아시아국제물주간 : 아시아 물문제 해결 논의를 위해 3년마다 개최되며, 제1차 아시아국제물주간은 2017년 대한민국 경주에서 개최 

□ 한국수자원공사는 7월 9일부터 11일까지 국내 10개 중소 물기업과 함께 전세계 물산업 교류의 장인 ‘워터 엑스포’에 참여한다. 

 ○ 한국수자원공사는 스마트물관리를 비롯한 최신 물관리 기술과 아시아물위원회 활동을 소개하는 홍보관을 운영하며, 중소기업은 자사의 우수 제품과 기술을 전시한 개별 홍보관을 운영한다. 


 ○ 참가기업은 복주, 서원기술, 썬텍엔지니어링, 에너토크, 에스엠테크,엔바이오니아, 테라하임, 필드솔루션, 하이드로넷, 엠비티 10개사다.

□ 이학수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이번 싱가포르국제물주간 참여는 전 세계에 대한민국의 물관리 역량을 소개할 기회”라며, “이러한 기회를 잘 활용해 국내 물산업 육성과 물분야 양질의 일자리 창출까지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싱가포르 국제물주간 개요.
      2. 한국수자원공사 참여계획.  끝

붙임 1 싱가포르국제물주간 개요 

□ (행 사 명) 싱가포르국제물주간(Singapore International Water Week)
□ (기    간) 2018. 7. 8(일) ~ 12(목), 5일간
□ (장    소)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호텔

□ (주    최) PUB (Singapore’s National Water Agency)

□ (참가규모) 130개국 약 21,000명

□ (행사개요) 세계 3대 물 주간 행사* 중 하나로서, 비즈니스 성격이 강한 정부 주도의 국제 물 행사(2008년 창설, 2012년 격년제 전환)
   * 싱가포르국제물주간과 세계물포럼(WWF: World Water Forum), 스톡홀름국제물주간(The World Water Week in Stockholm) 등 3개 국제 행사를 일컬음

붙임 2 한국수자원공사 참여계획 

1. 스마트물관리 (SWM: smart Water Management) 특별세션 개최

□ (시 간) `18. 7. 10(화) 16:30–17:40

□ (장 소)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호텔

□ (주 최) 아시아물위원회, 싱가포르 수자원공사(PUB)

□ (참여기관) 아시아물위원회 회원기관, 대한민국 환경부, 싱가포르 PUB, 프랑스 @qua, 한국수자원공사, 필리핀 MWSS 등

□ (주요내용) 국가별 스마트 물관리 적용 사례 소개 및 아시아물위원회 회원기관 확대 적용방안 토의

(참고) 스마트 물관리 기술 개요
 
 스마트 물관리 기술 정의
  ◦ 기존 물관리 기술에 스마트 기술(센서, 장치, 솔루션 등)을 적용해 생산성, 효율성 등을 향상시킨 것으로 인정되는 기술

 스마트 물관리 기술 분야
  ◦ (수자원) 수자원 분야 스마트 물관리 기술은 중소기업 제품(센서 및 감시제어설비 등) 구현이 용이한 홍수재해 모니터링, 지하수 관측망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분류

  ◦ (상하수도‧에너지) 상하수도 분야 스마트 물관리 기술은 정수장‧하수처리장 현대화, 유수율관리 기술, 에너지 효율화, 신재생에너지(수상태양광 등)로 분류 

   홍수재해 모니터링             지하수 관측 시스템               상하수도 시설 현대화

        스마트 관망 관리                        에너지 효율화                  신재생에너지

2. 2차 아시아 국제물주간 킥오프(Kick-off) 미팅
□ (목 적) 2020년 인도네시아 개최 예정인 2차 아시아국제물주간*에 대한 프로모션 및 킥오프 미팅을 통해 국제적인 관심 유도

□ (시 간) `18. 7. 10(화) 13:20–16:30

□ (장 소)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호텔

□ (주 최) 아시아물위원회, 인도네시아 공공주택사업부

□ (참여기관) 아시아물위원회, 회원기관, 대한민국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중국 수리부, 싱가포르 PUB, 프랑스@qua,베트남 NAWAPI 등

□ (주요 내용) 2차 아시아국제물주간 개최일정, 개최국(인도네시아),  주요 프로그램 등 소개 

3. 한국수자원공사, 아시아물위원회 및 중소기업 EXPO 참여
□ (목 적) 한국수자원공사 및 중소기업 우수(스마트 물관리 및 통합물관리) 기술 소개, 아시아물위원회 개요(조직 및 회원기관) 및 제2차 아시아국제물주간 홍보

□ (時/ 所) `18.7.9(월) ~ 11(수),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호텔

□ (참여규모) 11부스(168m2) 운영

블록 구성
세부 내용
한국수자원공사 & 아시아물위원회
‣ (한국수자원공사) 선진 물관리기술 홍보
‣ 아시아물위원회 소개 및 아시아국제물주간 홍보
비고
총 48㎡
(1부스)
중소기업
‣ 국내 중소기업 제품 소개 : 10개 부스
총 120㎡
(10부스)
 □ (중소기업 참여현황) 물산업 10개 기업 참여
  ①하이드로넷 (지하수 관측설비), ②썬텍엔지니어링(수질계측기), ③필드솔루션(IoT 기반 원격전송설비, ④복주(기타 수도시설), ⑤에너토크(밸브 전동조작기), ⑥서원기술(기타 수도시설), ⑦에스엠테크(기타 수도시설), ⑧엔바이오니아(기타 수도시설), ⑨테라하임(기타 수도시설) ⑩MBT(기타 수도시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⓶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경기도 변방에서 글로벌 도시로, 모두가 살고 싶은 김포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 2년 동안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 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 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시민 일상은 촘촘히 민선8기 김포시는 김포가 가지고 있는 매력과 자원을 발굴하고 재정비해 새로운 김포의 기회로 만들어 내고 있다. ‘김포가 가진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라는 시정 방향은 김포의 도시브랜드 향상으로 직결되고 있다. 가능한 모든 시도를 다 해보는 노력으로 김포는 유례없이 전국을 넘어 세계에서 관심을 가지는 도시로 거듭나고 있으며, 김포시민은 김포가 살고 싶은 도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수원지역 독립운동가의 희생이 잊히지 않도록!
수원지역의 뜨거웠던 만세운동의 중심에 있던 인물 ‘김노적’과 국내외 항일 활동의 흔적이 다수 남아 있는 ‘이현경’은 아직 국가의 포상을 받지 못한 대표적인 수원의 항일 인물이다. 수원시 박물관사업소는 최근 김노적과 이현경을 포함해 총 7명의 수원 출신 독립운동가에 대한 포상을 국가보훈부에 신청했다. 후손이 없거나 증거자료가 부족해 아직 서훈을 받지 못한 인물의 공로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그 희생을 잊지 않기 위해서다. 부족한 자료와 사라진 행적을 보강해 포상 신청구체적 자료가 부족해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한 인물의 대표적인 수원의 독립 인물로는 김노적과 이현경이 있다. 김노적(1895.~1963.)은 수원면 산루리에서 태어났다. 지금의 수원중고등학교인 수원상업강습소에서 초등과와 고등과를 다녔는데, 당시 소장(교장) 겸 소감(교감)이 수원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김세환이었다. 은사와 제자로 만난 이들은 1919년 만세 운동을 수원에서도 일으키기로 했고, 김세환은 김노적을 만세운동 인원 동원 책임자로 임명했다. 정오에 시작하려던 만세운동 계획이 발각됐다는 정보에 따라 시위는 저녁때 방화수류정 앞에서 횃불시위로 대체됐다. 이때 주도자로 체포된 김노적은 심한 고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