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보도에 의하면 정부가 4·3 희생자 재심사를 위한 사실조사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제주사회가 요구하는 4·3 희생자 재심사 절차를 중단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 속도만을 조절하면서 결국 희생자 재심사를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에 불과하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지난 1월 26일, 2월 19일 두 차례에 걸쳐 본 의원에게 제출한 서면답변서를 통해서도 희생자 재심사 강행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정부는 여전히 제주사회의 민의는 안중에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4·3 희생자 재심사를 위한 사실조사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것은 총선을 앞둔 정략적 판단이자 총선 후 이를 강행하겠다는 정치적 꼼수에 불과할 뿐 문제해결의 해법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부는 사실조사 속도조절을 운운할 것이 아니라 대립과 분열을 넘어 진정한 통합을 원하는 제주사회의 열망을 받들어 4·3 희생자 재심사 절차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
최소한 제68주년 4·3추념식 이전에 그 입장을 명확히 해야 한다.
대립과 갈등을 심화시키는 4·3 희생자 재심사의 철회 없이 진정한 화해와 상생의 의미를 되새기는 4·3추념식을 치른다는 것은 유족과 도민, 더 나아가 4·3영령에 대한 기본적 도리가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4·3추념식 참석도 다시 한 번 간곡히 요청 드린다.
국가지정 추념일 행사에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은 당연한 책무일 뿐 조건이 있을 수 없다.
대통령의 추념식 참석은 그동안의 4·3흔들기로 상처받았던 희생자 및 유족들의 상처를 치유함으로써, 진정한 회해와 상생, 더 나아가 국민대통합의 전기가 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